난데 없이 생뚱맞게 튀어나오는 언어처럼 신선한 영화가 주는 감흥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어쩐지 불쾌감을 주는 제목부터가 심상치가 않았더랬는데 그건 리뷰를 읽었을 때나 영화를 보고 확인하는 절차에서 가진 일관적인 불편함이었다. 문학 용어로 치면 일상화된 인식을 깨뜨리며 사물의 본질을 알려주려는 데 목적이 있는 '낯설게 하기' 정도 될까. 조명이 꺼져 있는 연극 무대를 보는 듯한 배경과 챕터 형식의 구성이 그러했고, 인물들의 치부를 드러내려는 감독의 의도가 마치 눈 앞에서 개 흘레 붙는 걸 봐버린 것처럼 멋적고 껄끄러웠다. 

 도그빌은 평범하지만 자신의 평범함을 경멸하고 조롱하기까지 한다. 인물을 보면 그들은 절망에 가까운 실낱같은 소망들이 있지만 개선 의지가 결여되었거나 부재하므로 무료하기 짝이 없다. 톰은 성인이 되어서도 아버지의 연금에 기생하며 시간을 죽이지만 작가가 되기 위한 자료를 소중하게 보관한다는 점에서 재능 없는 자신을 기만한다. 마을을 벗어나고 싶지만 여의치 못해 남자들의 끈적한 시선을 감내하는 젊은 여자의 삶 또한 시시하긴 마찬가지다. 시각 장애가 있으나 남들의 눈을 속이려는 노인이나, 정욕 때문에 창녀촌을 찾으면서도 스스로 부끄러워하는 남자도 남들에게 자신의 속살을 보이길 꺼려 한다. 즉 단절되어 소통되지 않은 조용한 마을안에 한 마리의 먹잇감이 뛰어든 것이다. 그들만의 개, 그레이스. 나약한 것들은 쉽게 위험한 존재가 된다.

그들 앞에서 수용을 가르치려던 톰이나 다른 인간들에게 자신의 심리를 들킬까 마지못해 참석하는 회의에서 불만스럽던 실례였던 그레이스가 짐승 취급을 당하며 난교를 당하는 일은 낯선 것들을 사납게 경계하며 한편 전전긍긍하는 맹수의 본능과 너무나 닮아 있다.  권력자에게 힘을 부여 받고 인간의 본능적인 나약함과 두려움, 이기심을 응징하는 그레이스 또한 새로운 권력의 범주 안에 들게 되고, 종국엔 경멸해 마지않던 이들과 융화된다. 뫼비우스의 띠나 클라인 씨의 병처럼 끝없이 물고 뜯는 권력의 카테고리에서 양심을 지키려는 인간의 의지가 이렇듯 허약한 것인가. 

권력자나 권력을 마지 못해 따르는 자와 그에 맹종하는 자의 차이가 과연 뭘까 생각해 본다. 개 목걸이를 채우려는 자는 더욱 잔인해지고 개 흉내를 내는 자는 더욱 비참하게 굴종하게 되는 건 아닐지. 누구나 개 목걸이를 찬다면 비슷해질 게 뻔하다는 생각에 두려움에 휩싸인다. 개를 한 번 때리기 시작하면 습관처럼 손이 올라가는 일처럼. 뼈다귀와 사소한 관심을 위해 주인의 눈치를 보는 개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