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제단 - 개정판
심윤경 지음 / 문이당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주의: 소설의 재미를 더 느끼고 싶은, 아직 안 읽으신 분은 이 리뷰를 읽지 말아주세요^^

최근 읽은 현대 한국 소설가들의 작품 중에서 가장 만족스러웠던 작품이다.

소설의 첫 부분부터 마지막 순간까지 눈을 뗄 수 없게 하는 놀라운 흡인력. 여성 작가임에도 남자 주인공의 심리를 탁월하게 묘사한 능력. 서안 조씨 가문과 효계당을 둘러싼 조손과의 갈등과 소산 할매의 서간의 번갈아간 제시가 퍼즐처럼 맞물려 소설의 주제를 더욱 심도있게 드러내며 전개되는 설정. 철저한 사전조사를 한 듯한, 전통 제례문화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옛 서간체 문투를 능수능란하게 다룬 표현력. 어느 하나 감탄스럽지 않은 것이 없었다.

해월당 어머니, 달시룻댁과 정실 등 한많은 삶을 살아간 여성들과, (여러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서는) 소설의 말미에서 충격적으로 밝혀지는 소산할매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놀랍게도 열쇠구멍과 열쇠의 이가 맞물리듯이 맞아 떨어지고 있다. 현대의 '할아버지'와 옛 판서 벼슬을 지낸 조원찬 대감 등의 가문의 후계자들은 종가의 뿌리를 지키기 위해 많은 여성들의 삶을 짓밟고 유린한다. 끝내는 계집 아이를 출산하고 자진하게 되는 소산할매의 조모는 가슴아프게도 "애고애고 내 아가야 자진하지 말거라"고 설득하지만 가문의 후계를 지키고자 하는 지독한 관습 아래에선 무력할 뿐이다.

한편, 삶의 평생을 바쳐온, 자기 존재를 규정지어 온 '신념을 지키려는 의지'라는 것이 고결한 한편 허무하다는 양면성을 작가는 주인공의 할아버지를 통해 탁월하게 드러내었다. 그렇기에 왜곡된 진실이 드러나도 믿지 않으려고 하며 추악한 가문사가 드러난 서간을 불태우려는 할아버지의 완고함, 그로 인해 그가 평생을 바쳐 지켜오려 한 효계당이 불타버린 마지막 장면은 많은 것을 느끼게끔 한다.

또한, 주인공 상룡의 희극적인 연인 정실과의 사랑은 충격적이었지만 '병신'이었던 정실이 상룡의 사랑으로 인해 그 일그러진 태내에 새 생명을 잉태하게 되었다는 설정은 가슴 깊은 감동으로 다가왔다. 정실이 임신하여 자기 태내의 생명의 소중함에 대해 상룡에게 호소하는 장면은, 그녀가 희극적이고 매우 모자란 캐릭터였던 까닭에 더욱 설득력있고 감동을 주는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아이러니가 감탄스럽다.

이렇게 많은 인물들의 갈등과 수난의 역사가 제시되지만ㅡ특히 가문을 잇는다는 명목하의 남아선호사상에 희생된 여성들의 수난ㅡ작가는 따끔하게 꾸짖는 것도 아니고, 한편으로는 전통을 지킨다는 것과 현대적으로 어떻게 그것을 계승해나가는지에 대한 제시도 조심스레 하면서 양편의 입장을 모두 애틋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 듯했다.

제목은 왜 《달의 제단》일까? 원형상징으로서 여성을 드러내는 '달'의 제단이라는 제목은, 몇 백년을 내려온 가문의 '제단'ㅡ뿌리ㅡ을 지킨다는 명목하에 희생된 여성들의 우여곡절 많은 역사를 상징하는 것일까, 하고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