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제는 <흉포한 신: 자살의 연구The Savage God: A Study of Suicide> 로 앨 앨버레즈Al Alvarez의 1971년작을 최승자 시인이 번역하여 1995년에 청하출판사에서 출간했으나 절판되었고, 해당 판본에서 누락된 4.1-4.3장을 황은주 번역가가 추가 번역, 을유문화사에서 개정판으로 올해 30년 만에 재출간되었다.
본작은 천재적인 창작혼을 불태우다 31세라는 젊은 나이에 우울증으로 스스로 삶을 마감한 시인 실비아 플라스에 대한 헌사로 시작, 자살에 대한 역사적, 사회문화적, 철학적, 정신분석적인 지적 고찰로 빛나 독해가 술술 넘어가는 책은 아니나 개인적으로 2025년 최고의 책 중 하나로 꼽겠다.
1장
시대의 아이콘이었던 천재적인 시인이자 친우였던 실비아 플라스Sylvia Plath의 죽음에 대한 깊은 애도와 일종의 부채감이 본작의 모티브가 된 것 같다. 테드 휴스와 함께 부부가 유명한 시인 커플이었으며 작가는 시 평론가로 플라스의 생애 마지막 3년간 비평가-시인의 관계이자 친우로 교류해온바, 앨 앨버레즈는 그의 추모에 한 장을 할애한다. 세간에 자살의 아이콘처럼 사후 유명세를 치르게 되어버린 악명을 바로잡으려는 듯한 조심스러운 배려와 애정이 돋보인다. 실비아 플라스의 작품과 삶에서 드러났던 창조성-파괴성이라는 양극단의 전투적 에너지와 내면의 양가감정을 분석함으로써 이 책에서 앞으로 논의할 자살의 복잡한 정신심리적 측면을 암시한다.
2장
서구문화에서의 자살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 논한다. 오늘날도 자살에 대해 논하는 것은 금기인 것은 마찬가지이나 그래도 자살자를 희생자로 접근하는 반면에, 19세기까지는 자살에 실패하면 범죄자 낙인이 찍혔고 성공하면 사후 제도적으로 시신에 갖은 오욕을 보이고 유가족을 박해하였다고 한다. 서구 사회에 기독교 교리가 미쳤던 영향인데 놀랍게도 성경에는 직접적으로 자살을 금지하는 표현은 존재하지 않는다. 자살을 죄악으로 보는 관념은 6세기에 이르러 기독교 교리에 추가되었으며, 오히려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에는 ‘품위있는 대안’이었고 초기 기독교들에게는 순교를 영광으로 여겨 열풍이 일었다고도 한다. 이에 반대파가 정교하게 교리를 가다듬어 자살을 죄악시하는 교리가 만들어져 오늘에까지 이르렀다.
3장
이 책의 가장 핵심적인 장이라고 본다. 자살에 대해 흔히 알려진 오해를 실제 통계와 사례를 통해 바로잡으며, 자살에 대한 정신사회심리적 이론에 큰 부분을 할애한다. 사회적 오욕이자 도덕적 낙인에 불과했던 자살은 1897년 에밀 뒤르켐의 명저 <자살론>의 출간 이후 학문적인 연구 대상이 된다. 작가는 사회학적 측면이 지나치게 부각되는 한편 정신분석학적 분석이 아직 부족함을 비판하며,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자들의 이론을 통해 비에로스적 원시 공격성인 죽음 본능으로부터 자살의 근원이 비롯함을 논증한다.
이어 자살자의 감정적 측면을 다루는데, 동기는 세간의 인식과 달리 명확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명징하지 않으며 (완벽한 이성이란 허상이듯이) 정신병적 강박이 있는 사람들이거나, 혹은 완벽주의를 통해 자살자로 태어나는 부류의 사람들, 만성 자살자들이 결국 성공에 이른다고 한다.
자살의 이론을 다룬 제3장은 이 책에서 가장 어려운 장이면서 가장 재미있는 부분이다. 강력 추천.
4장
문학 비평가답게 서구 문학과 자살의 역사에 대해 다룬다. 불후의 명작 <신곡>에서 단테는 자살을 죄악으로 다루던 중세인인 만큼 자살을 거부하였으나 자살의 괴로움을 나름 공유했음이 암시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어 르네상스 시대의 수사이자 자살에 대한 최초의 옹호인 <비아타나토스Biathanatos>의 저자 존 던, 계몽주의 시대의 자살 실패자 카우퍼와 21세에 자살에 이른 천재시인 채터턴, 천재는 요절한다며 자살을 낭만화한 낭만주의자들, 실존주의자들, 키릴로프라는 유명한 가상인물을 낳은 도스토예프스키, 세계대전으로 귀결된 이성에 대한 조롱과 반예술을 주창하며 자살의 릴레이를 낳은 다다이즘, 모더니즘까지 숨쉬지 않고 달린다. 예술의 속성상 비탄의 언어를 만들어낼 수밖에 없으므로 상처받기 쉬운 자기 안의 영역을 모두 탐구하는 것이 예술가이며 이에 모든 죽음의 가능성을 머릿속에서 상징적으로 시행하기에 알베르 카뮈의 말처럼 “자살이란 훌륭한 예술 작품처럼 마음의 침묵 속에 이미 준비되어 있다”는 것이다.
5장
에필로그. 마지막장에서 앨버레즈는 본인 역시 자살 생존자임을 밝힌다. 최근에 읽었던 클랜시 마틴의 <나를 죽이지 않는 법>은 저자가 자살 생존자임을 밝히고 진솔하게 경험담으로부터 자살자의 심리를 분석하면서 시작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저자의 생생한 체험담을 통해 이상에서 논의했던 자살의 복잡한 정신심리적 측면을 추체험하며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금기인 주제인 듯하나, 섹스와 마찬가지로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욕망이면서 우리가 극복해야 하는 것이 바로 자살인 것이다. 카뮈가 시지프 신화에서 일찍이 그렇게 밝히지 않았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