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들과의 인터뷰
로버트 K. 레슬러 지음, 손명희 외 옮김 / 바다출판사 / 200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살인자들 중에는 파충류의 뇌의 수준에서 머물은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화가 났을 때 그 화를 터뜨리는 것이 그의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식으로 정리되는 이들...

전쟁광, 연쇄살인마, 전형적인 인물도 있다. 공공의 적에 나오는 이성재, 식의 사람들. 그들은 사고하지 않는다. 자신의 분노를 다스리는 법을 모른다. 실제로 그들의 뇌사진을 찍어보면 전두엽이 활동을 활발하게 하지 않는다고 한다. 전두엽피질은 이성적인 사고나 절제 등을 관장한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엽기적인 행각의 사람들을 프로파일링 한 저자의 실제경험을 근거로 쓰여져 있다. 물론, 상상을 초월한다. 사람이 어떻게 이런 짓을...이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범죄학이라든지 범죄심리학은 또다른 범죄를 막기 위한 방법을 찾는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 정석이 아닐까. 다소 흥미로운 시선을 제공하는 바람에, 어떤 이들이 보았을 때는 흥미진진한 모험이나 비밀스러운 음모를 보여주는 듯한 느낌이다.  그러면서 이 책을 사서 읽는 나는 뭔가.

제목에서 후한 평가를 줬던 것같다. 그토록 위험한 이들을 가까이서 들여다보면 어떤 느낌일까라는 막연한 호기심이었나보다.

재미있고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지만,  그 내용의 위험성은 개인의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다.

시사프로를 보면서 대체 저들의 의도는 뭔가라고 내가 삐딱한 시선을 갖는 것과 어느 정도는 유사한 느낌이다. 그래서 어쩌라는 것인가라는 혼잣말을 계속하게 된다. 사람이 사람을 죽인다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든지 용서받지 못한다. 반성이 있을 수 있을까. 반성이 생명을 되돌이킬 수 있는가. 아, 이 정도의 생각이라니 나는 왜 이렇게 옹졸하고 편협한 사고에 사로잡혀 있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