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

부 제: 도덕교육론의 새로운 동향과 근거

ISBN : 978-89-7418-069-0

부가기호: 93370

가 격: 19,000원

저 자: 웨인 윌리스, 다니엘 패스코 쥬니어

역 자: 박병기, 김동창, 이철훈

발행일: 2013년1월31일

원서명: Contemporary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Moral Development and Education ( 2008년 )

원저자: Daniel, Jr. Fasko, and Wayne Willis

페이지: 403페이지

판 형: 신국판

분 야: 국내도서 > 인문 > 윤리학

국내도서 > 인문 > 심리 > 심리학 이론

국내도서 > 사회 > 교육 > 교육학 일반

 

 

지은이

웨인 윌리스_Wayne Willis

볼링그린 주립대학교 교육심리학 교수

다니엘 패스코 쥬니어_Daniel Fasko, Jr.

모어헤드 주립대학교 교육학 교수

옮긴이

박병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졸업(교육학 박사)

불교원전전문학원 삼학원(三學院) 수료(5년제)

전주교대 교수, 고등학교 선택윤리 교육과정 심위위원장

국가생명윤리위원회 전문위원 역임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동양윤리교육학회장, 철학윤리교육학회장

주요 저서 및 논문 : 『윤리학과 도덕교육 1·2』(인간사랑), 『동양 도덕교육론의 현대적 해석』(인간사랑, 2010년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다문화교육의 동양윤리사상적 토대와 방향(2012)」외 다수

김동창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졸업

현재 경기도 안산 본오중학교 도덕교사

주요 논문 : 「물리계에서 마음의 존재론적 지위(2011)」

이철훈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철학교육) 및 박사과정(윤리교육) 수료

현재 경기도 양주 덕정고등학교 윤리교사

경기도 중등 도덕윤리교육연구회 연구위원

주요 논문 : 「지눌 수행론의 도덕교육적 함의」(석사학위논문), 「2011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도덕 교과의 위기현실과 공감적 정서를 자극하는 도덕교과서 개발」

 

 

차례

역자 서문 ․ 7

감사의 글 ․ 13

머리말_웨인 윌리스(W. Willis) ․ 15

1부도덕교육의 철학적 기초들 ․ 29

1장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교육론에 대한 칸트의 영향 ․ 47

2장덕윤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 81

3장비판이론과 도덕 : 해방, 복잡성, 그리고 힘 ․ 112

4장배려적 추론 ․ 148

2부도덕성 발달과 도덕교육에 관한 심리학적 관점들 ․ 189

5장도덕교육의 다양한 접근과 심리학적 기초 ․ 197

6장가치교육과 청소년 문제의 재검토 ․ 244

7장구조행위에 대한 반성적 고찰 : 도덕적 동기의 근본원리는

무엇인가? ․ 280

8장도덕판단 역량의 의미와 측정 : 양면 모델을 중심으로 ․ 313

에필로그 일방적 접근방법의 두 측면들 ․ 369

 

 

이책은:

최근 몇 년간 정치가들과 학자들, 종교지도자들, 교육 정책가들은 물론 교사들과 많은 시민들이 우리 시대의 문화가 보여주고 있는 도덕적 쇠락을 받아들이면서 목소리를 높여오고 있다. 그 중 많은 사람들이 단순한 해결책을 내놓기도 했고, 교육부와 정책가들은 이런저런 요란한 대책을 앞 다투어 내놓기도 했다. 이런 대책들이 결여하고 있는 것은 도덕발달과 도덕교육의 심리학적이고 철학적인 기반에 관한 좀 더 숙고된 성찰이다. 도덕교육은 단순히 십계명을 외우거나 자신이 스스로 선택한 가치들을 좀 더 정교하게 하는 일 이상의 것이다. 이 책에서는 우리 최고의 학자들이 생물학적 기반을 갖는 발달요인과 합리적인 학습과정, 문화적 요인과 개인의 선택에 관한 매우 복잡한 논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또한 도덕교육에 관련지어 심리학적 관점과 철학적 관점에서의 심도 있는 분석과정을 통해 우리의 도덕교육에 관한 이해력과 결정능력 증진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책은 관련 자료에 대한 상징적인 틀보다는 세계 최고의 학자들의 보다 넓은 심리학적·철학적 관점들의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주고자 한다. 우리의 이런 노력이 성공을 거둔다면 교사와 연구자, 교육지도자나 정책 결정자들에게 도덕교육의 심층에 관련된 더 명료한 감각과 현명한 결정을 내리기 위한 더 나은 맥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전복의 정치학

부 제: 21세기를 위한 선언

ISBN : 978-89-7418-064-5

부가기호: 93300

가 격: 20,000원

저 자: 안토니오 네그리

역 자: 최창석/김낙근

발행일: 2012년8월20일

원서명: The Politics of Subversion ( 2005년 )

원저자: Antonio Negri

페이지: 367페이지

입고예정일: 2012년 8월 20일

저자 약력:

저자_ 안토니오 네그리(Antonio Negri, 1933~ )

이탈리아 파도바 출생. 청년시절인 1950년에 가톨릭 철학에 관심을 갖고 가톨릭 행동파에 가입했으나 1954년에 추방되었고, 자유주의적 가톨릭 그룹인 〈인테사〉(Intesa)에 가입했으나 탈퇴했다. 1954년 이탈리아 통일사회당(PSIUP)에 가입, 같은 해 프랑스의 소르본, 독일의 튀빙겐, 프라이부르크, 하이델베르크, 뮌헨, 프랑크푸르트에서 수학했다. 1957년 23세에 독일 역사주의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59년에 법철학 교수자격, 1967년에 국가론 교수자격을 취득한 후 파도바 대학에서 정치학을 가르쳤다. 또한 네그리는 1960년대에 《노동자의 힘》, 《콰데르니 로시》, 《노동계급》 등의 잡지에 관여했다. 특히 1966년에 마리오 트론티, 로마노 알꽈티, 세르지오 볼로냐 등과 함께《노동계급》(Classe Operaia)을 창간하는데, 이것은 이탈리아 노동자주의인 오페라이스모(Operaismo)의 시작이 되었다. 국가론 교수자격을 취득한 1967년에 《노동자의 힘》 집단에 참여했다. 이후 그는 〈파도바 대학 정치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오페라이스모와 아우토노미아 사상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켰다. 1977년 폭동교사 혐의로 수배되어 〈파도바 대학 정치과학연구소〉가 조사를 받게 되자 알튀세르의 초청으로 파리고등사범학교에서 『맑스를 넘어선 맑스』를 강의했다. 1979년 4월 7일 기독민주당의 핵심인 알도 모로 총리에 대한 납치 및 살인 사건의 수괴라는 조작된 죄목으로 수감된 뒤 의도적인 재판 연기와 반복되는 이감에 시달리다가 1983년 이탈리아 총선에서 급진당 후보로 당선되었다. 1983년 프랑스로 망명하여 파리 8대학에서 정치학을 가르치는 한편, 『전 미래』지 발간을 주도했다. 1997년 자진 귀국하여 약 6년여의 수감과 연금생활을 마친 후 2003년 4월에 자유의 몸이 되었다.

네그리는 현재 그의 제자인 마이클 하트와 함께 쓴 세 권의 책 『제국』(윤수종 역, 이학사, 2001)과 『다중』(정남영․서창현․조정환 역, 세종서적, 2008), 『공통체』(Commonwealth, 2009)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아울러 그는 평생 코뮤니즘을 개조하고 혁신하기 위해 투쟁해 온 혁명적 투사이자 맑스, 들뢰즈, 마키아벨리, 스피노자를 아우르는 당대 최고의 지성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제국󰡑과 󰡐다중󰡑이라는 관점으로 푸코의 생명정치 비판과 맑스, 들뢰즈/가타리의 자본주의 비판을 창조적으로 접합시킴으로써 현시대 지배 이데올로기인 신자유주에 대한 급진적 비판과 그 너머를 꿈꾸고 있다.

네그리의 여러 저서들 중 『지배와 사보타지』(윤수종 역, 중원문화사, 2010), 『맑스를 넘어선 맑스』(윤수종 역, 중원문화사, 2010), 『야만적 별종』(윤수종 역, 푸른숲, 1997), 『자유의 새로운 공간』(가따리와 공저, 조정환 역, 갈무리, 2007), 『전복의 정치학』(최창석․김낙근 역, 인간사랑), 『디오니소스의 노동 1․2』(마이클 하트와 공저, 조정환 역, 갈무리, 1996/7), 『제국』(마이클 하트와 공저, 윤수종 역, 이학사, 2001), 『혁명의 시간』(정남영 역, 갈무리, 2004), 『전복적 스피노자』(이기웅 역, 그린비, 2005), 『혁명의 만회』(영광, 갈무리, 2005), 『귀환』(윤수종 역, 이학사, 2006), 『다중』(정남영․서창현․조정환 역, 세종서적, 2008), 『굿바이 미스터 사회주의』(박상진 역, 그린비, 2009), 『예술과 다중』(심세광 역, 갈무리, 2010), 『네그리의 제국 강의』(Empire and Beyond, 서창현 역, 갈무리, 2010), 『제국과 다중』(Reflections on Empire, 정남영․박서현 역, 갈무리, 2010), 『욥의 노동 』(Il lavoro di Giobbe, 박영기 역, 논밭출판사, 2011) 등이 한국어로 출간되었다.

옮긴이 약력:

최창석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식민지 조선에서의 통치성과 일상적 저항이라는 주제로 학위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김낙근[來已]

대학원에서 정치사회학, 역사사회학, 문화사회학을 전공하고 있다. 구한말과 식민지 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에서 근대적인 형태의 음악의 탄생 메커니즘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학위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알라딘에서 <무화과나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고 있고, 블로그는 http://blog.aladin.co.kr/booktopia이다.

차례

개정판 서문_ 7

얀 물리에의 서문_ 17

1 부

1파리, 1986년 11월 26일부터 12월 10일까지_ 73

2세기의 종말_ 93

3대중 노동자에서 사회적 노동자로, 그리고 그 너머_ 115

4공장에서 생태학적 기계로_ 135

5사회적 노동자의 세계 경제_ 153

6성숙 자본주의에서의 수탈_ 171

7적대적 주체성의 생산_ 187

8자율, 비밀조직에서 정당으로_ 205

2 부

9펠릭스 가타리에게 보내는 편지 : 󰡐사회적 실천󰡑에 대해_ 225

10시민사회를 통한 여행 : 피터 브루크너를 추모하며_ 247

11실질적 포섭단계에서의 국가와 계급_ 259

12핵국가 개념에 대한 몇 가지 노트들_ 281

13포스트모던_ 295

14새로운 가치에 대하여?_ 309

부록_ 327

옮긴이 후기_ 336

색인_ 356

이책은:

2012년 1월 현재 한국에는 수많은 네그리 관련 번역서들과 해설서들이 나와 있다. 그렇다면 네그리 사상에 대한 일반론과 이 책에 대한 요약․해석을 덧붙이는 게 독자들에게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질까? 2012년 한국 역시 자본의 빈곤화 전략에 따른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양극화 현상은 지역 간 갈등을 넘어 세대 간 갈등으로 번져가고 있으며, 아직까지 극우정당이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웹(Web) 상에서 반외국인 정서가 급속히 펴져나가고 있다. 그러나 󰡐88만 원 세대󰡑로 대표되는 새로운 빈곤층은 앞서 언급한 집단지성과 분리되지 않는다. 새로운 주체는 결정론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존재론적 활동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주체는 자본의 빈곤화 전략에 맞서 연대와 통합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전복의 정치학』은 새로운 주체의 등장을 선언했지만 새로운 주체의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 책은 빈곤화 전략이 가져온 폐해에 대해 적시하고 있다. 따라서 21세기 새로운 주체에게는 보다 적극적인 연대와 통합을 위한 존재적론 활동이 요구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첨부 파일 이미지 미리보기

 

 

도서명: 글로벌 사회학

ISBN : 978-89-7418-057-7

부가기호: 93330

가 격: 30,000원

저 자: 로빈 코헨 / 폴 케네디

역 자 : 박지선

원서명: Global Sociology (2nd, Paperback 2007년)

원저자: Robin Cohen and Paul Kennedy

발행일: 2012년 8월 10일

페이지: 707페이지

제본형태: 반양장본

입고예정일: 2012년 8월 10일

분 야: 사회과학

[저자역자 약력]

저자 : 로빈 코헨 Robin Cohen

사회학 교수로 워윅 대학 글로벌리제이션과 리져널리제이션학센터 선임연구원

저자 : 폴 케네디 Paul Kennedy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 대학 부교수

역자 : 박지선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 영어영문학 복수전공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지역학 전공

현재 동경대학교 법학정치학연구과 박사과정 재학중

차례

삽화목록017

도표목록019

글로벌 사상가021

머리말022

약어목록025

역자서문028

서론029

반글로벌리제이션 운동030

2001년 9․11 테러의 영향031

규제완화 시장에 대한 비판032

말다툼이 아닌 전쟁033

미래에 대한 함의033

이 책의 구성035

- 글로벌 사회학의 형성

- 글로벌적으로 생각하기

- 모더니티와 세계 사회

- 변하고 있는 세계 노동

- 국민의식과 민족국가

- 사회 불평등

- 기업의 권력

- 불균등 발전 : 그 희생자

- 범죄, 마약 그리고 테러리즘

- 인구와 이주

- 보건, 라이프스타일, 신체

- 관광 : 그 사회적․문화적 영향

- 소비문화

- 미디어와 정보화 시대

- 글로벌 시대의 스포츠

- 세계 종교

- 도시생활

- 세계 시민사회

- 전통적 성 사회에 대한 도전

-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환경운동

- 아이덴티티와 소속의식

- 미래에 대한 논쟁

준비작업049

1부해석

1장글로벌 사회학의 형성053

사회학의 주요한 출발점054

- 과학으로서의 사회학

- 사회학의 특수성과 보편성

- 상상으로서의 사회학

- 사회학과 지식에 대한 탐구

- 사회학의 비판기능과 공적 책임

사회학사 안의 주요 이정표062

사회학의 문맥 변화067

한 발짝 후진 : 국가 사회학으로의 회귀068

두 발짝 전진 : 글로벌 사회학의 시작070

정리077

2장글로벌적으로 생각하기081

글로벌리제이션이란 무엇인가?082

- 공간과 시간의 개념 변화

- 늘어나는 문화교류

- 공통의 문제

- 상호작용과 상호 의존

- 초국가적 행위자와 기구들

- 전 차원에서의 동조화

글로벌리티 : 새로운 현상099

- 우리 자신을 집합적으로 생각하기

- 다문화․초국가 의식의 성장

- 재귀적 사회행위자와 모더니티

- 아이덴티티의 확장

정리106

3장모더니티와 세계 사회의 진화109

글로벌리제이션의 원형110

자본주의적 모더니티 : 유럽적 토대113

- 국민국가 체제

- 유럽의 계몽사상

-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분석

- 합리성의 증대

인종과 식민지주의123

1945년 이후의 변화와 미국의 지배128

- 경제성장

- 브레튼우즈 금융체제

- 미국의 국제적 경제력과 정치적 리더십

- 케인즈식 국가 경제의 운영

- 대량소비의 출현과 생활양식의 변화

국제어로서 영어의 보급135

정리136

4장변화하는 노동의 세계141

축적과 재생산 : 개요142

포드주의적 축적체제144

- 대량소비사회의 출현

- 효과적인 글로벌․국가 수준 조정양식

󰡐황금 시대󰡑의 쇠퇴에 대한 설명151

- 생산체제로서 포드주의의 위기

- 국가․글로벌 조정양식의 붕괴

- 재패니제이션과 노동유연성의 출현

포드주의의 쇠퇴를 동반한 변환158

- 서비스업으로의 이전

- 정보통신 기술(ICTs) 혁명과 상징경제의 출현

- 여성 노동력의 급격한 증가

- 신흥공업국으로부터 심화되는 경쟁

󰡐노동유연성󰡑과 경제적 불안정의 시대163

- 포스트 포드주의와 기업조직

포스트 포드주의 시대의 노동자167

- 여성과 새롭게 등장한 임시노동자

- 산업공동화와 󰡐사양󰡑 지대

- 구공산주의 국가

- 사회적 배제와 경제적 주변성

정리171

5장국민의식과 국민국가175

사회학, 국민국가, 국제체계176

- 고전사회학과 사회변동

- 보편주의와 내셔널리즘

시티즌십 : 권리와 의무182

정치이론과 국가 간 관계185

- 현실주의적 관점

- 현실주의적 관점의 평가

- 󰡐사회󰡑의 국가․글로벌 정치학으로의 복귀

- 사회와 국제관계

- 역사사회학

페미니즘의 재평가191

- 여성과 국가

- 여성과 내셔널리즘

- 여성, 폭력, 그리고 현대의 전쟁

글로벌리제이션은 국민국가의 쇠퇴를 의미하는가?193

- 경제적 자율성

- 모더니티에 대한 반감

국민국가의 유효성에 대한 끊임없는 요구198

정리201

2부균열

6장사회 불평등 : 젠더, 인종, 계급207

숨어 있는 사회 불평등269

- 종교활동

- 장애와 󰡐이동권󰡑

- 시민적 지위

- 연령

페미니즘 : 젠더 불평등과의 대결212

- 여성성과 남성성의 젠더화

- 젠더 계층구조와 여성의 종속

- 가부장제적 사회와 가부장제적 관계

- 사적 가부장제에서 공적 가부장제로

인종과 민족성223

- 󰡐인종󰡑의 생물학적 개념 검증

- 인종의 사회학적 개념

- 민족성

계급230

- 마르크스주의와 네오 마르크스주의의 계급관념

- 베버주의의 계급관념

- 계급 모델의 응용

초국가적 계급의 등장234

젠더․인종․계급의 상호작용236

정리237

7장기업권력과 사회적 책임241

TNCs의 기원과 특징243

- 특징

- 정의

TNCs, 글로벌화․국제화하는 행위자246

- TNCs, 글로벌화하는 행위자

- 글로벌 행위자가 아닌 국제행위자

- 평가

TNCs와 국민국가249

라이프스타일의 수출 : 담배의 경우254

TNCs 안의 노동255

- 수출가공구에서의 노동

- 글로벌 공급 체인 : 슈퍼마켓의 역할

TNCs : 책임 없는 권력259

TNCs : 사람들의 반격261

정리263

8장불균등 발전 : 그 희생자267

불균등 발전에 대한 이론269

- 세계체제론

- 신국제분업

글로벌리제이션과 부272

글로벌리제이션과 빈곤274

기아 희생자 : 기아는 어떻게 발생하는가277

- 식량불안

- 자연재해

- 권원이론

- 정책 실패

산업공동화 국가의 노동자들283

소농민과 토지 없는 노동자285

- 소작계급과 농촌 붕괴

도시 빈민층287

정리291

9장범죄, 마약, 테러리즘 : 글로벌 통제의 실패295

범죄의 감시297

- 살인

- 도시의 악몽과 인종 간 격차

- 화이트칼라 범죄

- 기업 범죄

마약 : 수요와 공급309

- 글로벌 스포츠계에서의 약품 사용

테러리즘의 이해314

- 기원과 정의

- 비정부 테러리즘의 특성과 설명

정리319

10장인구와 이주323

인구과잉에 대한 불안324

인구증가의 이해328

세계의 인구 : 불안의 원인?329

그들은 모두 어디로 가는가? 도시화와 국내 이주331

글로벌 이주334

난민과 피난민335

- 1914-89년의 난민

- 냉전 후의 난민

- 국내 피난민

불법 노동자341

여성 이주자343

- 노동수출국 : 필리핀의 경우

글로벌 이주의 관리347

정리349

11장보건, 라이프스타일, 신체353

의학적 응시의 등장355

메디컬리제이션과 생물의학 모델356

보건의 사회학, 󰡐새로운󰡑 질병과 근대 기술358

삶의 구현화362

글로벌리제이션과 보건 : 초기의 특성364

글로벌리제이션과 보건 : 현대365

보건 불균형과 글로벌리제이션 : 정책효과369

- 신자유주의 경제의 글로벌 강요

- 세계은행과 글로벌 보건정책

- 글로벌 보건동맹과 기업의 관여

- 변화하는 글로벌 경제와 보건정책 결과

남․북 문제를 둘러싼 보건 패러독스와 균열373

기업자본과 서구 라이프스타일의 보급376

- 제약회사

정리378

3부경험

12장관광 : 사회적․문화적 영향385

국제관광과 글로벌리제이션386

- 관광객의 증가와 분포

관광 사회학391

관광자 등급에 대한 고찰398

국제관광과 󰡐전통󰡑문화 아이덴티티404

- 스페인 바스크 지방에 대한 사례연구

- 인도네시아 토라자 문화의 재생

세계 관광무대 위의 지방과 글로벌의 상호작용409

정리411

13장소비문화415

소비주의와 일상생활417

소비주의의 의미418

비관적 시나리오 : 우둔한 소비자422

- 상품에 대한 물신숭배

- 대량소비

- 문화의 의미화

- 깊이의 결여

- 현실이 되는 판타지

- 무(無)에 대한 글로벌 소비

낙관적 시나리오 : 창의적인 영웅으로서의 소비자426

- 상품의 구별

- 광고와 그 한계

- 사회적 여과기

-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 소비

- 소비자의 창의성

균일화한 미국화? 글로벌 문화를 향하여432

- 경험을 쌓은 소비자

- 문화변동의 뿌리

- 균일화 국가들 안의 다양성

- 지역문화의 생존

- 문화의 역흐름

글로벌 문화의 형성 : 지방의 역할438

- 토착화

- 재발명과 재발견

- 크레올리제이션

정리442

14장미디어와 정보화 시대445

󰡐미디어󰡑란 무엇인가?447

미디어의 기업 소유권449

텔레커뮤니케이션452

컴퓨터와 인터넷455

정보화 사회의 도래457

정보화 사회 : 경제적 영향460

정보화 사회 : 사회적 영향461

- TV 시청의 부정적 영향

- 문화의 저급화

- 소비주의

젠더와 표상465

미디어, 인종, 사회적 정체성466

정리468

15장글로벌 시대의 스포츠473

스포츠의 기원474

󰡐패트리어트 게임󰡑 : 스포츠와 국가형성476

영국, 제국과 경기 참가476

다른 민족과 스포츠 : 제국의 역습477

올림픽 경기 : 전 세계의 조화?478

글로벌리제이션과 스포츠 정체성 : 로컬리티, 계급, 남성성480

위협받는 주권독립주의자/지역 정체성483

신체 그리고 스포츠 문화의 부상485

- 근대 신체문화와 케냐 주자

- 스포츠 신체의 인종화 : 진행되는 변화

글로벌화, 미국화 혹은 동일화490

- 미국 스포츠의 지배 : 평가

- 글로벌 스포츠와 미국 영향력의 상업화

글로벌 스포츠의 텔레비쥬얼리제이션과 그 영향497

정리499

16장글로벌 종교503

초기 사회학자와 종교 : 콩트와 마르크스504

종교 표현의 이해 : 의식, 토템, 터부506

종교와 자본주의511

세속화 이론512

종교의 부활514

- 새로운 종교운동

- 또 다른 형태의 종교 부활 : 순례자들

이슬람으로부터의 󰡐위협󰡑520

- 이슬람의 복합성

- 서구의 󰡐이슬람 영토󰡑로의 침입

- 서구사회와 이슬람이 함께하는 미래?

정리528

17장도시생활533

식민도시535

공업도시와 시카고 학파537

글로벌 도시라는 개념542

글로벌 도시로의 이주547

고용구조의 변화549

고용의 여성화550

글로벌 도시의 지역화551

- 로스엔젤레스 : 메트로폴리스의 분화

- 요하네스버그 : 이해하기 어려운 메트로폴리스

인종, 도시, 미국의 언더클래스556

- 블랙 파워

- 블랙 무슬림

- 미국의 논쟁 : 올레타의 견해

- 언더클래스에 대한 윌슨의 견해

- 페인스타인의 윌슨 비판

- 부조화 이론

정리561

4부원동력과 과제

18장글로벌 시민사회567

사회운동의 정의569

1960년대 이후 변화하는 사회운동의 특성570

- 아이덴티티 정치로의 전환

- 비물질적 가치와 󰡐대항문화󰡑

- 권위에 대한 도전

- 풀뿌리운동의 성장

사회운동의 글로벌리제이션 : 제약과 기회579

글로벌 사회운동 : 원천과 과제585

-경제적 글로벌리제이션과 신자유주의 정책에 관련된 문제들

- 정신의 전환 : 글로벌 사고를 향해

-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변화

21세기로 : 행동, 과제, 균열591

정리593

19장젠더화 세계로의 도전597

글로벌 질서 안에서의 여성 : 개관598

여성운동의 한계600

세계적 운동의 성장606

- 네트워킹을 위한 UN의 프레임워크

- 제2물결과 남반구 페미니즘

- 자신들을 대변하려는 여성들 : 독자적 커뮤니케이션

여성에 적대적인 국가, 전쟁, 폭력610

여성, 건강, 가정폭력 : 다국가 연구611

공통된 문제로 인한 단합612

- 종교적 원리주의

- 경제 글로벌리제이션의 가속화

-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와 경제정책

재택 노동자의 보호614

여성과 글로벌 케어 체인617

- 케어 체인의 광범위한 함의

정리620

20장지속 가능한 미래로 : 환경운동623

자연의 사회학624

변화하는 환경운동의 성격627

인류를 위한 담화 : 환경운동의 주장629

- 다수 환경문제의 초국경적 성격

- 산업발전의 글로벌리제이션

-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우주로부터의 풍경

- 회의론의 근거

환경운동의 지지자?639

- 1972년 이후 환경운동에 있어서 국가와 UN의 관여

- 지속 가능한 성장 : 녹색개혁을 위한 매뉴얼

- 지속 가능한 성장에 대한 비판

- 엘리트 기관과의 연대 : 위험과 새로운 경로

로컬과 글로벌 활동을 위한 아래로부터의 지원 동원646

정리649

21장아이덴티티와 소속의식653

로컬리즘의 부활656

로컬 아이덴티티의 주변화659

- 근대화론

- 마르크스주의자

로컬리즘은 어떻게 발생하는가?661

- 법적․정치적 제한

- 강제 이주의 역사

- 외양 차이

- 주관적 민족성

내셔널리즘, 글로벌 변화의 반응667

- 다문화 국민의식의 한계 : 미국

트랜스내셔널리즘과 다수준 아이덴티티672

- 코스모폴리타니즘과 도시

- 디아스포라

- 다수준의 종교 아이덴티티

정리679

22장미래에 대한 논쟁683

글로벌리제이션, 새로운 현상? 글로벌리제이션의 확장684

- 최근 글로벌리제이션의 측정

글로벌리제이션에 대한 도덕적․정치적 입장688

- 지지자

- 중상자

- 개혁가

- 아웃사이더

글로벌 배제와 포용691

문화 글로벌리제이션 : 통일 혹은 크레올리제이션694

- 크레올리제이션과 하이브리디티

글로벌 사회의 건설702

정리와 최종적 견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