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

부 제: 도덕교육론의 새로운 동향과 근거

ISBN : 978-89-7418-069-0

부가기호: 93370

가 격: 19,000원

저 자: 웨인 윌리스, 다니엘 패스코 쥬니어

역 자: 박병기, 김동창, 이철훈

발행일: 2013년1월31일

원서명: Contemporary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Moral Development and Education ( 2008년 )

원저자: Daniel, Jr. Fasko, and Wayne Willis

페이지: 403페이지

판 형: 신국판

분 야: 국내도서 > 인문 > 윤리학

국내도서 > 인문 > 심리 > 심리학 이론

국내도서 > 사회 > 교육 > 교육학 일반

 

 

지은이

웨인 윌리스_Wayne Willis

볼링그린 주립대학교 교육심리학 교수

다니엘 패스코 쥬니어_Daniel Fasko, Jr.

모어헤드 주립대학교 교육학 교수

옮긴이

박병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졸업(교육학 박사)

불교원전전문학원 삼학원(三學院) 수료(5년제)

전주교대 교수, 고등학교 선택윤리 교육과정 심위위원장

국가생명윤리위원회 전문위원 역임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동양윤리교육학회장, 철학윤리교육학회장

주요 저서 및 논문 : 『윤리학과 도덕교육 1·2』(인간사랑), 『동양 도덕교육론의 현대적 해석』(인간사랑, 2010년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다문화교육의 동양윤리사상적 토대와 방향(2012)」외 다수

김동창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졸업

현재 경기도 안산 본오중학교 도덕교사

주요 논문 : 「물리계에서 마음의 존재론적 지위(2011)」

이철훈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철학교육) 및 박사과정(윤리교육) 수료

현재 경기도 양주 덕정고등학교 윤리교사

경기도 중등 도덕윤리교육연구회 연구위원

주요 논문 : 「지눌 수행론의 도덕교육적 함의」(석사학위논문), 「2011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도덕 교과의 위기현실과 공감적 정서를 자극하는 도덕교과서 개발」

 

 

차례

역자 서문 ․ 7

감사의 글 ․ 13

머리말_웨인 윌리스(W. Willis) ․ 15

1부도덕교육의 철학적 기초들 ․ 29

1장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교육론에 대한 칸트의 영향 ․ 47

2장덕윤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 81

3장비판이론과 도덕 : 해방, 복잡성, 그리고 힘 ․ 112

4장배려적 추론 ․ 148

2부도덕성 발달과 도덕교육에 관한 심리학적 관점들 ․ 189

5장도덕교육의 다양한 접근과 심리학적 기초 ․ 197

6장가치교육과 청소년 문제의 재검토 ․ 244

7장구조행위에 대한 반성적 고찰 : 도덕적 동기의 근본원리는

무엇인가? ․ 280

8장도덕판단 역량의 의미와 측정 : 양면 모델을 중심으로 ․ 313

에필로그 일방적 접근방법의 두 측면들 ․ 369

 

 

이책은:

최근 몇 년간 정치가들과 학자들, 종교지도자들, 교육 정책가들은 물론 교사들과 많은 시민들이 우리 시대의 문화가 보여주고 있는 도덕적 쇠락을 받아들이면서 목소리를 높여오고 있다. 그 중 많은 사람들이 단순한 해결책을 내놓기도 했고, 교육부와 정책가들은 이런저런 요란한 대책을 앞 다투어 내놓기도 했다. 이런 대책들이 결여하고 있는 것은 도덕발달과 도덕교육의 심리학적이고 철학적인 기반에 관한 좀 더 숙고된 성찰이다. 도덕교육은 단순히 십계명을 외우거나 자신이 스스로 선택한 가치들을 좀 더 정교하게 하는 일 이상의 것이다. 이 책에서는 우리 최고의 학자들이 생물학적 기반을 갖는 발달요인과 합리적인 학습과정, 문화적 요인과 개인의 선택에 관한 매우 복잡한 논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또한 도덕교육에 관련지어 심리학적 관점과 철학적 관점에서의 심도 있는 분석과정을 통해 우리의 도덕교육에 관한 이해력과 결정능력 증진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책은 관련 자료에 대한 상징적인 틀보다는 세계 최고의 학자들의 보다 넓은 심리학적·철학적 관점들의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주고자 한다. 우리의 이런 노력이 성공을 거둔다면 교사와 연구자, 교육지도자나 정책 결정자들에게 도덕교육의 심층에 관련된 더 명료한 감각과 현명한 결정을 내리기 위한 더 나은 맥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