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여성정치할당제

부 제: 보이지 않는 벽에 문을 내다

저 자: 김민정,강경희,김경미,김은희,문경희,신은영,조현옥

가 격: 17,000원

발행일: 2011년 8월 20일

바코드: 978-89-7418-029-4




CONTENTS




펴내는 글07

I부여성정치할당제의 의미와 이론적 고찰 | 김민정11

Ⅱ부법적 여성정치할당제 국가

1장 프랑스 : 동수법의 제정과 영향 | 김민정 37

2장 한국 : 제도적 강제와 구체적 실천의 간극 | 조현옥․김은희87

3장 라틴아메리카와 멕시코 : 할당제 정착과정의 상이한 효과 | 강경희127

Ⅲ부정당 여성정치할당제 국가

4장독일 : 자율적 정당할당의 대표 사례 | 김경미161

5장스웨덴 : 여성주의적 정치를 향한 도전 | 문경희205

Ⅳ부의석유보 여성정치할당제 국가

6장 대만 : <의석유보제>에서 <성별비례제>로 | 신은영247

Ⅴ부여성정치할당제를 넘어서

7장 실질적 여성 정치세력화를 향한 전망 | 김은희281




저자 소개


김민정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저서 : 『여성정치학입문』(공저), 『세계가 주목하는 여성정치인의 리더십』(공저), 『한국민주시민교육론』(공저) 등

이메일 : mjkim@uos.ac.kr


강경희

제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저서 : 멕시코의 페미니스트 운동과 낙태정책, 라틴아메리카 제2기 여성운동의 특징, 신자유주의 하에서 멕시코 농촌여성의 삶 등

이메일 : khkang625@hanmail.net


김경미

서강대학교 국제지역문화원 연구교수

저서 : 『여성정치학입문』(공저), 『세계가 주목하는 여성정치인의 리더십』(공저), 체제전환 이후 동유럽국가 여성의 정치참여 등

이메일 : kimirosa@hanmail.net


김은희

한신대학교, 경희대학교 NGO대학원 강사

저서 : 『여성이 당선된다』(공저), 공직선거법상 여성정치할당제의 효과 분석 : 2010년 동시지방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등

이메일 : imhyunjoom@naver.com


문경희

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전임강사

저서 : 여성정치할당제의 대안과 전망, 제도화된 여성운동의 가능성과 한계, A comparative study of electoral gender quotas in Sweden, Germany, and South Korea 등

이메일 : khmoon@changwon.ac.kr


신은영

(사)동아시아 여성정치연구소 소장

저서 : 개혁시기 중국여성의 지위변화, 중국가족의 변화와 국가의 대응, 베트남 전쟁에서의 여성의 역할 등

이메일 : shiniy63@hanmail.net


조현옥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특임 교수

저서 : 『여성이 지방의회로 간다』(공저), 『한국에서의 녹색정치, 녹색국가』(공저), 여성의 정치적 역량 기르기 방법론 등

이메일 : hocho2002@hanmail.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이청준과 라깡

바코드: 978-89-7418-812-2

가 격: 25,000원

페이지: 548페이지

발행일: 2011년 7월 25일

저 자: 김종주



목차


차례



서문 : 분석경험의 여정7



제1부 이청준과 라깡

1. 문학과 정신분석23

2. 떠도는 능기 : 「이어도」의 정신분석55

3. 소리의 얼굴, 그 시니피앙의 정신분석75

4. 영화와 소설의 욕망 : 『축제』에 관한 정신분석95

5. 죽음에 관한 몇 가지 소설적 서술117

6. 이청준의 보로메오 매듭137

7. 이청준의 섬 이야기161

8. 어머니 담론의 정신분석183

9. 가위눌림 속의 풍경201

10. 왜곡된 기억의 정신분석217

11. 이청준의 정신병리학235

12. 한의 정신분석255


제2부 은유의 창조적 번득임

1. 인간의 순환성 : 만해의 생애를 중심으로277

2. 침묵하는 님의 정신분석307


3. 만해의 욕망331

4. 거울을 모티프로 한 이상 시에 나타난 주체349

5. 분석행위를 분석하는 행위 : 이상 작품에 관한 라깡적 고찰371

6. 구반포 사막을 걸어가는 낙타의 신화387

7. 환상을 건너는 통과의례405

8. 󰡐더러운 그리움󰡑의 텍스트421

9. 욕망의 욕망 : 김현의 정신분석435

10. 향수의 정신분석 : 김송배 시인의 귀환453

11. 부패에 관한 연구 : 이성복의 시를 중심으로473

12. 다산 정약용의 치료시491


다시 시작하며 : 의학과 문학509

색인533



저자 약력:


김 종 주

____

1971년 연세대 의과대학, 1981년 연세대 대학원(의학박사) 졸업. 원광대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 겸 제2병원 원장을 맡아 했고, 인천기독병원으로 옮겨서 정신과장과 기획실장을 지냈음.

1982년 『심상』에 만해에 관한 글을 싣기 시작하여 1992년에는 『외국문학』에 만해론을 쓰기도 하다가 『예술세계』 1993년 1월호에 「부패에 관한 연구」로 예술평론상을 받으며 등단.

1994년 9월 반포에 클리닉을 열고 난 뒤로 〈라깡정신분석연구소〉를 개설하고 매월 제2․4주 토요일 〈라깡독회〉를 열어 라깡의 세미나와 『에크리』를 읽고 있으며, 요즘엔 동료들과 함께 듀크 대학에서 출간된 SIC 시리즈를 읽고 번역하고 있음. 이미 제1권인 『사랑 대상으로서의 시선과 목소리』를 출간했고 제2권인 『코기토와 무의식』을 곧 출간할 예정임.

1998년에는 〈한국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를 창립하여 초대회장을 지냈고, 2000년 4월에는 서울에서 『우울증과 향락』에 관한 국제학술대회를 열었음. 2002년 요코하마에서 열린 〈세계정신의학회〉 학술대회에서 󰡒 Depression and Neo-Confucian Ethics󰡓를 발표하였고 그 논문이 The Letter 2005년 여름호에 실려 있음. 2003년 영국 런던에서 창간된 Journal for Lacanian Psychoanalysis의 associate editor로 활동했음. 근래에는 〈다산 강독회〉에 참석하면서 다산 정약용의 정신분석학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음.

임상적인 라깡 정신분석학에 관한 역서 및 저서로는 『라깡의 정신분석 입문』, 『라깡과 프로이트의 임상정신분석』, 『라깡 정신분석 테크닉』, 『라깡 정신분석 사전』(공역) 등이 있고, 철학과 언어학에 관련된 역서로는 『라깡과 언어와 철학』, 『철학적인 병』이 있음. 문학과 관련된 저서로는 1996년에 출간했던 『라깡 정신분석과 문학평론』이 있고 딸과 함께 번역한 엘리자베스 라이트 교수의 『무의식의 시학』이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자기계몽

부  제: 자기 삶과 사회를 뒤바꾸는 꿈

바코드: 978-89-7418-026-3

가  격: 15,000원

발행일: 2011년 6월 20일

저  자: 이 인




목차


★ 왜 꿈인가    9


- 왜 난 지금까지 그런 생각을 못했지?    19

- 늙은 아이들          25

- 젊은이들이 괴로운 까닭       32

- 그릇된 꿈에 빠졌거나 꿈이 없거나     38

- 꿈과 꿈꾸기          45

- 터무니없는 꿈?       50

- 삭아버려야 하나      56

 

- CEO 대통령과 스펙, 그리고 양극화    65

- 사는 데가 가난하면 꿈도 가난하다     71

- 초식남이 되고 건어물녀가 되는 까닭    76

- 짐승으로 길러지는 88만 원 세대       82

- 누가 한국에서 아이를 낳아 키울 수 있나       89

- 왜 사람들은 월요병에 시달릴까        95

- 나만 배불리 먹으려는 짐승이 아니려면         101

 

- 자기계발을 하는데 왜 안절부절못할까          109

- 사연과 봉사, 여행경험마저 팔라는 사회         116

- 다이어트, 초콜릿 복근, S자 몸매       122

- 겉모습의 정치성      129

- 옷을 입는 순간 욕망하는 주체가 된다          135

- 알짜배기 책읽기      142

- 성공이란     150

 

- 복불복       159

- 막장 연속극과 성차별         164

- TV와 매트릭스       170

- 뻥튀기 강냉이 같은 나날      177

- 아이돌, 성상품의 봉우리       183

- 백화점, 허영, 소비사회        190

- 루저의 난과 인터넷    196

 

- 솔로천국 커플지옥?    205

- 연애는 흥정          211

- 결혼은, 미친 짓이다    218

- 혼인을 생각하지 않다     224

- 입맞춤, 그 아찔한 평화        230

- 왜 사랑에 목매는 걸까?       236

- 사랑을 공부하자      242

- 김연아도 학벌을      251

- 서울대학교, 그 욕망의 떡밥    256

- 학벌이란 도깨비가 휘두르는 방망이    263

- 요즘 아이들은 어떻게 자라고 있나     269

- 학번과 나이에 붙잡힌 젊은이들        276

- 김예슬 선언, 당신은 왜 대학에 왔습니까?       284

- 대학생들이 힘을 모아         291

- 행복하려면    301

- 정치란 금기를 깨뜨리며       309

- 먹거리와 술문화      316

- 말과 몸짓, 날마다 혁명        323

- 삶을 바꾸는 인문학 공부      330

- 누구를 만나고 누구와 함께 하는가?    338

- 봄이여, 다시 한 번!    345

★ 잃을 게 없는 사람들의 마음맺음       353

 

지은이 이 인

20세기가 뉘엿뉘엿 저물 무렵, 봄에 태어났다.

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러 다녔고 여기저기 신세를 졌다. 그러다 젊은이들에게 손을 건네는 인생 선배들을 만나 『청춘대학』(동녘, 2010)을 엮었다.

2008년 가을부터 <꺄르르>라는 이름으로 블로그를 꾸리고 있다. 사회철학, 정신분석, 문화종교, 생태생명 등등을 공부하며 글을 쓴다. 꺄르르 웃는 나 너 우리를 꿈꾸면서♡

blog.ohmynews.com/speciali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이야기 문학 도덕교육

부  제: 이론과 실제

바코드: 978-89-7418-028-7

가  격: 25,000원

발행일: 2011년 6월 20일

저  자: 도홍찬




목차




저자 서문  9




        1부    이론

1장  이야기와 도덕교육  17

2장  대화와 도덕교육  53

3장  문학과 도덕교육  85

4장  논술과 도덕교육  113

5장  이야기와 도덕과 교육과정  145

6장  문학작품을 통해 본 이성과 정서의 의미  181







        2부    실제

1장  도덕적 주체로서 나의 이야기  215

1. 〈강아지똥〉  나는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가  218

∙〈항아리〉  자아를 실현하는 방법은  235

2. 〈코〉  콤플렉스는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240

3. 〈자전거 도둑〉  왜 도덕적이어야 할까  251

∙〈X : 양성적 어린이의 이야기〉  내 안에는 몇 개의

성(性)이 있을까  260

∙〈동백꽃〉, 〈별〉  우리 시대의 사랑법은  263




2장  우리 타인 사회와 관련된 이야기  267

1. 〈감자〉  비도덕적 사회에서 인간은 도덕적일 수 있을까  270

∙〈불〉  조화냐 갈등이냐  284

2. 〈변신〉  오늘날 가족의 의미는  292

∙〈아버지의 자리〉  어버이가 된다는 것은  308

3. 〈우상의 눈물〉  도덕적 인간은 어떻게 가능할까  316

∙〈개밥바라기별〉  배움은 어디에서 오는가  331

∙〈내 그물로 오는 가시물고기〉  자본과 노동의 상생관계는  338

 

3장 국가 민족 지구 공동체와 관련된 이야기  341

1. 〈붉은산〉, 〈논 이야기〉  나라를 사랑한다는 것은  344

∙〈낙랑공주와 호동왕자〉  사랑이 먼저인가, 조국이 우선인가  360

2. 〈모래톱 이야기〉  민중의 삶은 어떻게 개선될 수 있을까  365

3. 〈숨쉬는 영정〉  통일을 준비하는 방법은  375

∙〈마지막 수업〉  지구화 시대에 민족의식은 어떤 의미를 가지나  389




4장 자연 초월적 존재와 관련된 이야기  393

1. 〈나무를 심는 사람〉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관계는  396

2. 〈어린왕자〉  이상적인 인간관계는  408

∙〈치숙〉  이상주의인가, 현실주의인가  426




5장 후기 산업사회와 관련된 이야기  429

1. 〈두 파산〉  물질적 가치인가, 정신적 가치인가  432

∙〈운수 좋은 날〉, 〈가난한 날의 행복〉  물질과 행복의 관계는  444

2. 〈침이 고인다〉  오늘날 노동을 하는 이유는  449

∙〈반품왕〉  소비사회에서 인간의 욕망은  461







저자 소개

지은이  도홍찬(fado11@hanmail.net)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에서 학부․석사․박사 과정을 마치고 같은 대학원에서 『내러티브(narrative) 도덕과 교육과정의 체계화 방안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2008년)를 받았다. 서울대, 동국대, 춘천교대 등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서울 고척중, 오륜중, 면목고 등에 재직하면서 도덕과 윤리과목을 가르쳐 왔다. 도덕교육의 이론과 실천을 연결하는 작업에 관심이 많으며, 그 매개체로 이야기에 주목하고 있다. 문학교육과 도덕교육의 연계방안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