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주주의 어디까지 왔나: 성과와 과제

서문

<목차>

chapter 1. 어떤 민주주의인가? 조기숙

Part 1 절차적 민주주의 제도

Chapter 2 국회 조진만

Chapter 3 대통령 - 박용수

Chapter 4. 정당 채진원과 조기숙

Chapter 5. 선거 조기숙

Part 3 법치주의 제도

Chapter 6. 권력구조 - 김종철

Chapter 7. 검찰개혁 - 정태호

Chapter 8. 사법개혁 - 서보학

Chapter 9. 헌법재판소 - 김하열

Part 4 자치와 시민사회

Chapter 10. 지방정치 - 소순창

Chapter 11. 시민주권I - 안병진

Chapter 12. 민족주의- 전재호

Chapter 13. 민주주의 평가 - 박호성

후기 정태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저자: 홍정 (박정민)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1988년)했고

대홍기획, 맥켄에릭슨 등 광고대행사에서 AE와 카피라이터

및 컨셉 플래너로 일해 왔다. 저서로는 『관점과 논술』

(2006년)이 있다.

 

목차

서문

1부 수레 자체를 도둑질해라!

“닭도 제가 사람이라는 것을 알까요?”

부정의 부정

냉소적 소비자

페티시 소비자와 환상

제2부 싱글라리티로 컨셉 플래닝하라!!

마케팅 불변의 법칙은 없다

『블루오션 전략』

톰과 제리

X

제욱시스의 포도

파라시오스의 베일

눈[目] 컨셉 플래닝

시선(視線) 컨셉 플래닝

싱글라리티 컨셉 플래닝 1

스티브 잡스와 롤랑바르트의 ‘신화’

멘토

To see is to believe

포지셔닝 컨셉 플래닝

마들렌 과자(기호)

싱글라리티 컨셉 플래닝 2

제3부 빨간약을 찾아라!!!

상징계라는 브랜드들의 장(場)

<나는 가수다>와 틈(공백)

외설적 보충항의 양가성(兩價性)

남성과 여성의 성차 공식

주인기표

대표브랜드 마케팅

후발브랜드 마케팅

히스테리 브랜드 마케팅

붉은 군대

고흐의 <구두>

포틀래치와 <도둑맞은 편지>

<매트릭스>와 『코끼리를 생각하지마』

반자(反者) 도지동(道之動)

외부 마케팅의 브랜드 광고 컨셉

<인셉션>

싱글라리티 컨셉 플래닝 3

유명모델 캐스팅

응시와 베네통

회상과 재인

과시

<바르샤바에 있는 레닌>

본질은 외양의 외양

제4부 예외 없는 법칙은 없다

『마케팅 불변의 법칙』

제5부 존재품(存在品)에서 사유품(思惟品)으로

존재품과 사유품

네트크래트와 컨슘타리아트

카페인 없는 커피와 광고

몸과 생체 정보

서울 스노우잼 2009와 독일 베를린 장벽 붕괴 20주년 기념 축제

제6부 전통 마케팅 VS 싱글라리티 마케팅(마케팅 없는 마케팅)

컨셉(Concept)

인문학적 상상력과 마케팅

마케팅 없는 마케팅

문화 읽기

유대인 치부(致富)의 비밀

기호

『무지한 스승』

“생각대로”

“쇼를 하라”

“아메리카, 이것은 바로 코카!”

“또 하나의 가족”

칸트의 숭고함

<아버지, 제가 불타는 것이 안 보이세요>

젓 빨기 그 자체를 즐기는 충동

습관과 반복

대처보다 더한 대처, 토니 블레어

전통적 컨셉추출

불쾌 컨셉

상상적 동일시와 상징적 동일시

신화와 허구의 전통 마케팅

‘어두운 곳에서는 모든 소가 검다’

불쾌 마케팅(마케팅 없는 마케팅 · 싱글라리티 마케팅)

차이와 반복 마케팅

“여기가 로두스다, 여기서 뛰어라!”

악무한(惡無限)과 시간 점유율

『디퍼런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목차

서문11

제1장 서론17

제1절 인류의 역사와 마약의 역사17

제2절 마약식물 및 마약의 종류23

제2장 원시 시대(BC 10000-500)41

제1절 신화와 마약식물41

제2절 원시종교와 마약식물48

제3장 고대 시대(BC 500-AD 500)59

제1절 그리스 시대와 마약59

제2절 로마 시대와 마약68

제4장 중세 시대(AD 500-1500)79

제1절 로마 가톨릭교와 마녀사냥79

제2절 마녀사냥과 마약92

제5장 근대 시대(1500-1800)105

제1절 이성의 시대와 마약의 부활105

제2절 동서교역과 아편무역111

제6장 19세기(1800-1900)121

제1절 화학발달과 합성 마약121

제2절 합성 마약과 중독 개념132

제3절 제국주의와 아편전쟁153

제7장 20세기 전반(1900-1950)163

제1절 1900년대 : 상하이아편위원회와 미국의 등장163

제2절 1910년대 : 헤이그아편협약과 마약 불법화의 시작166

제3절 1920년대 : 금주법과 미국 마피아의 형성169

제4절 1930년대 : 프렌치 커넥션과 국제 마약밀매의 시작173

제5절 1940년대 : 정치권력과 마약조직의 공생관계176

제8장 20세기 후반(1950-2000)187

제1절 1950년대 : 매카시즘, MK-ULTRA, 쿠바 커넥션188

제2절 1960년대 : 반항문화운동, 환각제 혁명, 프렌치 커넥션198

제3절 1970년대 : 마약과의 전쟁, 통제약물법, 피자 커넥션205

제4절 1980년대 : 마약전의 군사화, 코케인과 크랙, 아프간 커넥션214

제5절 1990년대 : 탈냉전, 조직범죄의 세계화, 글로벌 마약밀매238

제9장 21세기와 전망265

제1절 21세기 : 팔레르모 협약, 테러와의 전쟁, 멕시코 마약전쟁267

제2절 21세기 국제 마약밀매의 구조280

제3절 21세기 국제 마약밀매의 전망283

제10장 결론289

 

이책은

국내에서 마약학 분야는 매우 미진하다. 마약학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가 마약의 역사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마약의 역사를 가르치거나 저술한 단행본은 없다. 이것은 마약학을 사회과학 혹은 자연과학의 일부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인문학 분야에서도 관심을 두지 않는다. 그렇다고 사회과학 분야에서 마약의 역사를 취급하지도 않는다. 이처럼 마약의 역사는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런 연유로 마약의 역사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마약학 분야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왜냐하면 역사학은 모든 학문의 근원이 되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마약의 역사는 마약학의 연구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미개척분야인 이 연구를 통해 장래 마약학의 학문적 토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저자약력]

조성권

한국외국어대학교 서반아어과 졸업(문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졸업(이학사)

University of New Mexico 지역학 석사(중남미지역 전공)

University of New Mexico 정치학 박사(국제범죄 전공)

국가안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국제문제조사연구소 선임연구원

현재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부교수

주요 저서

『세계화와 인간안보』(2005, 공저)

『한국조직범죄사』(2006)

『마약학의 이해』(2007, 공저)

21세기 초국가적 조직범죄와 통합안보』(20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2.

안녕하세요?
독자님들에게 표지 시안 여론 조사?
어느 표지가 더 좋을까요?
감사합니다.
인간사랑 블로그 담당자 드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지역통합의 국제정치경제

ISBN : 978-89-7418-053-9

부가기호: 93340

가 격: 20,000원

저 자: 미네르바정치학회 편 유호근 외

발행일: 2012년 2월29일

페이지: 355페이지

제본형태: 반양장본

입고예정일: 2012년 3월 6일

분 야: 국제정치학

[저자약력]

유호근 청주대학교 교수

양오석 한동대학교 교수

강경희 제주대학교 교수

하상섭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연구교수

정상률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

금상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연구교수

황규득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설규상 (재)극동문제연구소 연구위원

이지영 국민대학교 일본연구소 전임 연구원

김기석 강원대학교 교수

차례

서문 7

01.지역주의의 새로운 경향성 | 유호근 11

[1부]지역주의의 진전 및 전망 : 유럽 및 미주

02.리스본 체제 이후 유럽연합(EU)의 정치적 변신 | 양오석 41

03.북미자유무역협정(NAFTA)과 멕시코 :

북미연합체 형성은 가능한가? | 강경희 67

04.미주대륙 에너지 통합과 지역통합의 미래 | 하상섭 97

[2부] 지역주의의 현황 및 가능성 : 중동 및 아프리카

05.중동 아랍지역 국가들의 지역주의 : 정치․종교적

통합과 분열 | 정상률 145

06.아랍마그렙 국가들의 통합 가능성과 한계 :

아랍마그렙연합(AMU)을 중심으로 | 금상문 183

07.아프리카 지역통합의 가능성 : 남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의

정치안보지역주의를 중심으로 | 황규득 205

[3부] 지역주의의 새로운 전환의 모색 : 아시아

08.동아시아 지역주의와 공동체론 : 현실과 유토피아 | 설규상243

09.동아시아 지역통합과 지역제도 :

일본의 열린 지역주의와 다층구조 | 이지영 285

10.동아시아 협력의 이론적 지평 :

동아시아적 적실성을 찾아 | 김기석 3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