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국가 전쟁 한국

 

박상섭

 

 

목차

1. 근대국제체제의 사회학을 위한 시론

1. 서론: 국내정치와 국제체제의 구조적 연결성에 관한 기존의 논의

2. 근대국가의 역사적 성격과 근대 국제체제에 있어서 지정학적-전략적 상호작용의 중심성

3. 근대국제체제 강화의 국내적 제요인

4. 결어

2. 전쟁, 국가형성 및 정치발전: 영국 입헌주의와 프랑스 절대주의의 역사적 기원에 관한 연구

1. 서론

2. 국내정치와 국제관계의 매개 요인으로서의 자원동원의 문제

3. 영국의 경험

4. 프랑스의 경험

5. 토의와 결론

3. 서양 근대국가형성과 화폐, 800-1800

1. 서론: 이 글의 목적

2. 카롤링거 왕조와 근대 서유럽 화폐제도의 기초 확립

3. 이탈리아

4. 영국

5. 프랑스

6. 독일

7. 기타 국가

8. 결어

4. 현실주의: 막스 베버에서 신현실주의까지

1. 유럽 국제정치의 종언과 막스 베버

2. E. H. 카와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의 태동

3. 전후 미국에서의 정치현실주의의 발전과 한스 모겐소

4. 신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 왈츠

5. 결어

5. Karl Marx의 「국가이론」 소고

1. 서론

2. 마르크스 국가론 연구의 일반적 문제점

3. 마르크스에 있어서 국가의 중요성

4. 마르크스에 있어서 국가의 독립성

5. 국가의 계급이론적 이해

6. ‘부르주아’국가의 역사적 기원과 기능

7. 국가의 소멸

8. 결어

6. 배링턴 무어와 독재와 민주주의의 사회적 기원

1. 서론

2. 무어 교수의 약전

3. 사회적 기원의 내용 요약

4. 사회적 기원에 대한 학계의 반응

5. 평가와 결론

7. 한국정치와 자유민주주의

- 현대한국정치사의 정치사회학적 이해를 위한 일시론(一試論)

1. 머리말

2. 한국에 있어서 자유민주주의의 도입과 그 의미

3. 남한에 있어서 국가형성의 성격: 국제정치적 및 사회적 요인

4. 한국 자본주의경제발전의 성격

5. 군사정권의 등장과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공개적 도전

6. 효과성과 정당성: ‘사회행복론’적 정당화 노력과 그 실패

7. 자유민주주의의 공개적 부인

8. 토의와 결론

8. 일본 문화의 특질을 이해하는데 있어 사무라이

1. 서론: 問題의 제기

2. 중세무사의 前史: 고대에서 중세무사단의 형성까지

3. 중세무사와 무사단의 출현

4. 막부 체제와 전국시대의 출현

5. 통일정권의 출현과 군사의 쇠퇴: 織豊 정권과 德川 막부

6. 요약과 결론

저자 약력: 박상섭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학사, 석사 1966-1972) 육군사관학교에서 4년간 전임강사로 정치학을 가르침 (1972-1976). 1976년부터 미국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t Carbondale에서 정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고 1982년에 박사학위를 받은 후 귀국함. 1983년 3월부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현 정치외교학부 외교학 전공)에서 조교수와 부교수를 거쳐 교수를 역임한 후 2013년 2월말로 정년퇴직함. 교내외 봉사활동으로는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서울대학교 연구부처장 직을 수행하고 1993년부터 1997년까지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의 위원을 역임하였음.

저서

자본주의국가론: 현대 마르크스주의 정치이론의 전개」 (한울, 1985).

근대국가와 전쟁: 근대국가의 군사적 기초, 1500-1900 (나남, 1996).

국가와 폭력: 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2).

국가 ‧ 주권 (소화, 2008).

번역

씨쎌라 복, 평화를 위한 전략 (인간사랑, 1991) (Sissela Bok, A Strategy for Peace).

잔프랑코 폿지, 근대국가의 발전 (민음사, 1995) (Gianfranco Poggi,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State: A Sociological Introduction).

마키아벨리, 군주론 (서울대출판문화원, 2011) (Niccolò Machiavelli, Il Princip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

행위, 전통, 인물

 

 

 

- 목 차 -

 

저자 서문

 

 

제1부 새로운 시작: 행위와 정신의 삶

 

제1장 언어행위와 공공영역: 대화, 논쟁 그리고 이야기하기

 

제1절 언어와 공간의 정치화

제2절 노출과 은폐, 소리와 적막, 경쟁과 조율: ‘현상’의 양면성

제3절 들리지 않는 언어행위와 ‘내면적’ 공공영역

제4절 소리 나는 언어행위와 ‘비가촉적’ 인간관계망

제5절 이야기하기와 회상의 공공영역

제6절 언어행위와 참여정치

 

제2장 ‘새로운 시작’에 대한 개념적 사유

 

제1절 새롭게 발견한 진주

제2절 절대적 시작(principium)과 상대적 시작(initium)

제3절 새로운 시작: 행위와 자유

제4절 새로운 시작: 혁명과 건국, 세계사랑과 정치적 용서

제5절 새로운 시작: 사유, 의지 그리고 판단

제6절 사막화된 세계를 옥토로

 

제3장 책임, 용서, 화해의 정치

 

제1절 우리 시대에도 공명하는 문제

제2절 행위의 여러 유형

제3절 과거의 부담과 정치적 책임

제4절 용서, 보복 그리고 화해: 개념적 사유의 궤적

제5절 화해의 정치: 세계사랑, 정치적 판단과 약속

제6절 새로운 공동 세계를 위하여

제4장 정신적 왕래와 정치적인 것: 정치와 문학예술

 

제1절 삶의 영역을 넘나들며

제2절 정신적 왕래와 이야기하기

제3절 시작(詩作) 언어와 시적 상상력의 ‘정치화’

제4절 희곡 작품 속의 역사적, 정치적 지혜: 발굴과 세련화

제5절 전기, 소설 그리고 정치적 이야기하기

제6절 학문 영역을 넘나든 정치이론가

 

 

제2부 전통과 근대성

 

제5장 정치철학의 전통과 그 역사적 운명

 

제1절 전통의 두 갈래

제2절 활동적 삶에 대한 형이상학적 편견

제3절 정신의 삶과 연계된 형이상학적 오류

제4절 전통의 종말: 전도와 뒤집기의 역설

제5절 파국 시대 전통의 단절

제6절 난간 없는 정치적 사유

 

제6장 근대성의 특징적 양태

 

제1절 근대와 근대성 비판

제2절 세계소외와 지구소외

제3절 제작하는 동물과 노동하는 동물의 부침

제4절 사회 영역의 확장과 국민국가의 정체성 약화

제5절 인권의 역설

제6절 근대성의 위력과 미해결된 문제

 

제7장 선악 문제와 정치적인 것

 

제1절 선악 문제의 정치화

제2절 선악의 문제와 ‘시작’ 능력

제3절 절대적 선과 근본적 악

제4절 정신의 삶과 선악의 평범성

제5절 삶의 방식과 선악의 다차원적 위상

제6절 세계사랑의 위력

 

 

 

제3부 어두운 시대 사람들의 대화

 

제8장 칼 야스퍼스와 한나 아렌트의 대화

 

제1절 스승과 제자의 우정

제2절 범죄와 책임 문제

제3절 한계상황과 인간조건

제4절 소통과 행위

제5절 인간성, 인류 그리고 세계시민

제6절 마무리하기

 

제9장 발터 베냐민과 한나 아렌트의 유산: 진주조개잡이 어부들의 정치적 이야기

 

제1절 두 국외자의 우정의 대화

제2절 ‘파편화된’ 시간과 역사, 그리고 파국

제3절 판단활동의 중요 요소: 비자의적 기억과 상상력

제4절 혁명과 폭력: 중지와 새로운 시작

제5절 정신적 교감과 이야기꾼

제6절 해체와 복원의 정치적 함의

 

제10장 조소앙과 한나 아렌트의 혁명이론

 

제1절 역설을 기대하며

제2절 혁명에 대한 성찰의 계기: 정치적 악과의 투쟁

제3절 혁명 이전, 과정 그리고 이후: 절대적인 것의 문제

제4절 혁명의 목표와 정치행위: 삼균과 자유 확립 문제

제5절 혁명과 이상적 정치공동체

제6절 마무리하기

 

제11장 자의식적 국외자와 혁명적 지성: 아렌트와 하벨

 

제1절 현재 이곳의 경험과 정치적 사유

제2절 전체주의와 후기전체주의: 인간적 실존의 위기

제3절 공공영역과 ‘유사’ 폴리스

제4절 정치행위와 ‘반정치적’ 정치: 자유를 위하여

제5절 책임과 타자에 대한 배려

제6절 세계의 인간화

 

참고문헌

색 인

 

저자: 홍원표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고전적 합리주의의 현대적 해석: 스트라우스, 보에글린, 아렌트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있으면서 한나아렌트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아렌트의 다양한 모습을 조명하는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 저서로는 『현대 정치철학의 지형: 언저리에서의 사유』, 『정치의 대전환』(공저), 『한나 아렌트와 세계사랑』(공저), 『언어와 정치』(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한길사에서 펴낸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을 비롯해 『정신의 삶』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 영-브륄의 『한나 아렌트 전기: 세계사랑을 위하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에서 선악의 문제」 「정치적 책임과 용서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이해」 「칼 야스퍼스와 한나 아렌트의 대화: 정치철학적 논제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조조의 병법경영

ISBN : 978-89-7418-067-6

부가기호: 03320

가 격: 19,000원

저 자: 신동준

발행일: 2012년10월20일

페이지: 442페이지

입고예정일: 2012년 10월 20일

분 야: 경제경영>기업 경영전략>자기개발

 

목차
저자서문 _ 3
1장 │ 세계경영 이용후생을 내세워라 13
2장 │ 부국경영 최상품으로 승부하라 33
3장 │ 애민경영 민생을 염두에 둬라 13
4장 │ 내실경영 때가 오길 기다려라 13
5장 │ 위기경영 초지를 잃지 말라 13
6장 │ 민심경영 민심과 부합하라 13
7장 │ 인재경영 인재를 영입하라 13
8장 │ 위임경영 맡겼으면 믿어라 13
9장 │ 소통경영 귀를 크게 열어라 13
10장 │ 체계경영 한몸처럼 만들라 13
11장 │ 명분경영 진퇴를 분명히 하라 13
12장 │ 전략경영 밑그림부터 그려라 13
13장 │ 복안경영 속셈을 깊이 숨겨라 13
14장 │ 속도경영 번개처럼 움직여라 13
15장 │ 자강경영 과거 영광을 잊어라 13
16장 │ 상벌경영 크게 상을 내려라 13
17장 │ 결단경영 과감히 결단하라 13
18장 │ 창조경영 인문학을 익혀라 13
19장 │ 승세경영 흐름에 올라타라 13
20장 │ 후사경영 후계자를 엄선하라 13
부록 1 난세의 간웅인가 영웅인가 _ 3
부록 2 조조연표 _ 3
참고문헌 _ 3

 

저자 신동준

학오學吾 신동준申東埈은 고전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의 길을 찾는 고전 연구가이자 역사문화평론가다.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탁월한 안목을 바탕으로 이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의 저서는 독자들에게 고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경기고 재학시절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학의 대가인 청명 임창순 선생 밑에서 사서삼경과 『춘추좌전』, 『조선왕조실록』 등의 고전을 배웠다. 서울대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등에서 10여 년 간 정치부 기자로 활약했다. 1994년에 다시 모교 박사과정에 들어가 동양 정치사상을 전공했고, 이후 일본의 도쿄대 동양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을 거쳐 「춘추전국시대 정치사상 비교연구」로 모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21세기 정경연구소 소장으로 있는 그는 격동하는 21세기 동북아시대를 슬기롭게 헤쳐나가기 위해 동양고전의 지혜를 담은 한국의 비전을 꾸준히 제시하고 있으며, 서울대 ·고려대 · 한국외국어대 등에서 학생들에게 동양3국의 역사문화와 정치사상 등을 가르치고 있다. 동양3국의 역대 사건과 인물에 관한 바른 해석을 대중화하기 위해 『월간조선』, 『주간동아』, 『위클리경향』, 『이코노믹리뷰』 등 다양한 매체에 꾸준히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 《조선일보》 주말판 경제 섹션 〈위클리비즈〉의 인기 칼럼 ‘동양학 산책’을 연재 중이다.

저자 및 역서

『후흑학』, 『조선국왕 vs 중국황제』, 『인물로 읽는 중국 현대사』, 『삼국지 군웅과 치도를 논하다』, 『조조 사람혁명』, 『팍스 시니카』, 『열국지 교양강의』, 『춘추전국의 영웅들』(전3권), 『실록 초한지』, 『CEO의 삼국지』, 『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연산군을 위한 변명』, 『자치통감 삼국지』, 『춘추좌전』 등이 있다.지》,《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연산군을 위한 변명》,《자치통감 삼국지》, 《춘추좌전》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