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쟁 한국

 

박상섭

 

 

목차

1. 근대국제체제의 사회학을 위한 시론

1. 서론: 국내정치와 국제체제의 구조적 연결성에 관한 기존의 논의

2. 근대국가의 역사적 성격과 근대 국제체제에 있어서 지정학적-전략적 상호작용의 중심성

3. 근대국제체제 강화의 국내적 제요인

4. 결어

2. 전쟁, 국가형성 및 정치발전: 영국 입헌주의와 프랑스 절대주의의 역사적 기원에 관한 연구

1. 서론

2. 국내정치와 국제관계의 매개 요인으로서의 자원동원의 문제

3. 영국의 경험

4. 프랑스의 경험

5. 토의와 결론

3. 서양 근대국가형성과 화폐, 800-1800

1. 서론: 이 글의 목적

2. 카롤링거 왕조와 근대 서유럽 화폐제도의 기초 확립

3. 이탈리아

4. 영국

5. 프랑스

6. 독일

7. 기타 국가

8. 결어

4. 현실주의: 막스 베버에서 신현실주의까지

1. 유럽 국제정치의 종언과 막스 베버

2. E. H. 카와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의 태동

3. 전후 미국에서의 정치현실주의의 발전과 한스 모겐소

4. 신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 왈츠

5. 결어

5. Karl Marx의 「국가이론」 소고

1. 서론

2. 마르크스 국가론 연구의 일반적 문제점

3. 마르크스에 있어서 국가의 중요성

4. 마르크스에 있어서 국가의 독립성

5. 국가의 계급이론적 이해

6. ‘부르주아’국가의 역사적 기원과 기능

7. 국가의 소멸

8. 결어

6. 배링턴 무어와 독재와 민주주의의 사회적 기원

1. 서론

2. 무어 교수의 약전

3. 사회적 기원의 내용 요약

4. 사회적 기원에 대한 학계의 반응

5. 평가와 결론

7. 한국정치와 자유민주주의

- 현대한국정치사의 정치사회학적 이해를 위한 일시론(一試論)

1. 머리말

2. 한국에 있어서 자유민주주의의 도입과 그 의미

3. 남한에 있어서 국가형성의 성격: 국제정치적 및 사회적 요인

4. 한국 자본주의경제발전의 성격

5. 군사정권의 등장과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공개적 도전

6. 효과성과 정당성: ‘사회행복론’적 정당화 노력과 그 실패

7. 자유민주주의의 공개적 부인

8. 토의와 결론

8. 일본 문화의 특질을 이해하는데 있어 사무라이

1. 서론: 問題의 제기

2. 중세무사의 前史: 고대에서 중세무사단의 형성까지

3. 중세무사와 무사단의 출현

4. 막부 체제와 전국시대의 출현

5. 통일정권의 출현과 군사의 쇠퇴: 織豊 정권과 德川 막부

6. 요약과 결론

저자 약력: 박상섭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학사, 석사 1966-1972) 육군사관학교에서 4년간 전임강사로 정치학을 가르침 (1972-1976). 1976년부터 미국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t Carbondale에서 정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고 1982년에 박사학위를 받은 후 귀국함. 1983년 3월부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현 정치외교학부 외교학 전공)에서 조교수와 부교수를 거쳐 교수를 역임한 후 2013년 2월말로 정년퇴직함. 교내외 봉사활동으로는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서울대학교 연구부처장 직을 수행하고 1993년부터 1997년까지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의 위원을 역임하였음.

저서

자본주의국가론: 현대 마르크스주의 정치이론의 전개」 (한울, 1985).

근대국가와 전쟁: 근대국가의 군사적 기초, 1500-1900 (나남, 1996).

국가와 폭력: 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2).

국가 ‧ 주권 (소화, 2008).

번역

씨쎌라 복, 평화를 위한 전략 (인간사랑, 1991) (Sissela Bok, A Strategy for Peace).

잔프랑코 폿지, 근대국가의 발전 (민음사, 1995) (Gianfranco Poggi,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State: A Sociological Introduction).

마키아벨리, 군주론 (서울대출판문화원, 2011) (Niccolò Machiavelli, Il Princip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