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푸코와 북한사회 신체왜소의 정치경제학

ISBN : 978-89-7418-317-2

부가기호: 93340

가 격: 20,000원

저 자: 김영희

발행일: 2013년9월30일

페이지: 373페이지

분 야: 정치학

 

지은이 김영희

1965년 함경북도 길주에서 태어나 대학을 졸업한 후 10여 년 동안 재정회계부문에서 근무, 2002년 12월 가족과 함께 대한민국에 입국한 탈북민이다. 2006년 8월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에서 석사학위, 2013년 2월 동국대학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입국 후 3년 동안 사단법인 “새조위(새롭고 하나된 조국 위한 모임)”에서 탈북민들의 정착지원 활동을 하였다. 2007년 2월부터 2010년 8월까지 한국산업은행에서, 2010년 9월부터 한국정책금융공사에서 수석연구위원, 2013년부터 북한경제팀 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저자는 그동안 석 박사 학위취득 과정과 북한 연구과정을 통해 두 체제를 경험한 탈북출신 연구자로 학술활동을 활발히 해왔다. 주요 논문으로는 「북한 중앙은행의 기능변화와 전망」, 「일상의 정치화, 군사화, 신분화를 통해 본 북한주민 일상」이 있으며 저서로는 『탈북부부 박사가 본 북한 : 딜레마와 몸부림』 등이 있다.

 

목차

책을 내면서5

1부 들어가며17

1장 북한주민 신체왜소, 왜 관심을 갖게 되는가?19

2장 신체왜소 관련 선행연구23

1. 식품정책에 관한 연구23

2. 식량난에 따른 신체건강 관련 연구25

3. 몸에 대한 권력의 각인 관련 연구 27

3장 북한주민의 신체왜소,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30

1. 연구방향30

2. 연구의 한계 및 범위 31

3. 용어해설33

2부 신체왜소에 대한 이해35

1장 신체왜소의 정의와 구분37

1. 신체왜소에 대한 정의37

2. 신체왜소 증상의 구분40

3. 기근과 기아의 관계42

가. 기근과 기아・42 | 나. 기근과 기아의 관계・44

2장 신체왜소의 발생 요인과 동학47

1. 개인적 차원의 신체왜소 발생요인47

2. 사회적 차원의 신체왜소 발생요인 48

가. 신체왜소 발생,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48 | 나. 신체왜소 발생요인・50

다. 요인요약 : 신체왜소 발생 3대 요인・56

3. 신체왜소 발생의 동학 58

가. 북한사회 신체왜소 발생과 각인・58 | 나. 신체왜소 발생경로・61 |

다. 신체왜소 발생의 확산 및 은폐・62

3장 푸코의 생명정치와 북한주민 신체왜소63

1. 푸코와 생명정치63

2. 푸코의 몸–권력에 대한 이해65

가. 몸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65 | 나. 푸코와 권력・67 | 다. 권력의 몸에 대한 각인・70 |라. 각인된 몸과 신체왜소・71

3. 푸코의 몸–권력과 북한사회 적용의 문제점72

4장 북한주민 신체왜소 실태와 특징74

1. 역사로 본 한반도 주민의 신장 74

2. 남북한 주민의 신장차이76

3. 북한 주민 신체왜소의 특징적 양상79

가. 신체왜소 발생의 일반적 특징・79 | 나. 탈북어린이와 청소년을 통해 본 신체왜소의 특징・81

5장 독일통일과 동서독 주민의 신장변화83

1. 통일에 따른 동독주민의 신장증가83

2. 통독 전 동서독 주민의 신장 차이의 원인84

3부 북한사회 신체왜소의 역사적 기원과 등장89

1장 신체왜소 발생의 기원 : 1950년대 - 1960년대 초반91

1. 식품생산 부문에 대한 투자제한91

가. 1953년 중공업 우선 발전정책・91 | 나. 1962년 경제국방 병진노선・93

2. 식품소비 통제기구의 작동95

가. 식량배급제 운영・95 | 나. 배급제와 공급제의 차이・96

3. 식품수요에 대한 시장기능 제거99

가. 농업협동화・99 | 나. 개인상공업의 사회주의적 개조・102

4. 식량절약을 통한 식생활양식 확립105

2장 신체왜소 확산의 잉태 : 1960년대 중반 - 1970년대 중반107

1. 전후 인구증가에 의한 식품 부족107

2. 특권경제의 등장과 식품 부족 109

3. 식품 부족해결을 위한 북한의 대책111

4. 사회주의 생활양식 확립112

3장 신체왜소의 발생 : 1970년대 말115

1. 신체왜소 우려와 체격개조 촉구115

2. 어린이 보육사업에서 영양제 공급 촉구117

3. 키 크기 운동으로 학교 체육사업 전환119

4장 북한 체제운영에서 신체왜소 발생의 필연성121

4부 북한 정부의 대응과 신체왜소의 지속123

1장 1980년대 이전 : 신체왜소 발생에 대한 초기 대응 123

1. 기구신설 및 신체건강 활동 전개125

2. 사회주의 건설에 따른 식품정책128

가. 일반식품・128 | 나. 성장식품・137 | 다. 국가의 식품공급제 운영・143 | 라. 상비식품 공급에 대한 북한의 관심・150 | 마. 어린이 콩우유 공급・153 | 바. 식품 부족해결을 위한 지역의 자립체제 구축・154

3. 식품의 구입지위 박탈157

4. 검박한 사회주의 식생활양식 확립159

가. 검박한 생활교양 및 처벌・159 | 나. 사회주의 식생활양식에 따른 소비자 지식제공・160

5. 체육의 대중화·생활화를 통한 키 크기 운동 전개162

가. 사회적 분위기 조성・162 | 나. 철봉, 평행봉을 통한 키 크기 운동 강화・165

6. 개별주민 신체왜소로 국한165

2장 1990년대 : “고난의 행군”에 따른 신체왜소 확산에 대한 대응 167

1. 식품 및 신체건강 관련 법제화168

가. 식품 관련법제 현황과 배경・168 | 나. 신체건강 관련 법제 현황과 배경・171

2. “고난의 행군”에 따른 식품정책173

가. “고난의 행군” 시기 식품 부족 해결방향・173 | 나. 대용식품 개발 및 구황식품 섭취・175 | 다. 양어생산・177 | 라. 평양시 어린이 콩우유 생산・179 | 마. 식품공급에 대한 국가의 책임 분담・180

3. 식품의 구입지위 용인183

4. 검소한 우리식 식생활양식 확립185

가. 배금주의 교양을 통한 유도・185 | 나. 항일투쟁 일화를 통한 교양・188

5. 학교출석률 저하에 따른 키 크기 운동 침체189

6. 주민 전반의 신체왜소 확산 190

3장 2000년대 이후 : 경제난 지속에 따른 신체왜소 확산에 대한 대응192

1. 식품 및 신체건강 관련법 제・개정192

가. 식품 관련법제 동향과 배경・192 | 나. 신체건강 관련 법제 동향과 배경・195

2. 선군시대에 따른 식품정책196

가. 식량문제 해결 방향과 감자농사・196 | 나. 풀 먹는 집짐승 기르기・198 | 다. 과일생산・200 | 라. 어린이 전문식품 공장 건설 확대・202 | 마. 7.1경제조치와 식품생산・203 | 바. 선군시대 식품공급・207

3. 식품의 구입지위 보장214

가. 종합시장 운영을 통한 보장・214 | 나. 수매상점의 기능변화를 통한 식품 보장・216

4. 선군시대의 식생활양식 확립219

가. 비사회주의 근절 및 처벌을 통한 유도・219 | 나. 선군시대를 반영한 식생활지식 제공・221

5. 농구를 통한 키 크기 운동 강화225

6. 신체왜소 확산의 둔화228

4장 연대별 대응의 특징230

1. 주제별 대응의 특징230

가. 기구 및 법제화・230 | 나. 일반식품 및 필수영양식품의 생산·공급・231 | 다. 식품획득 지위 보장・232 | 라. 저소비의식 확립・234 | 마. 집단적 키 크기 운동・235

2. 주요 대책별 대응의 특징236

5부 신체왜소 극복정책 평가239

1장 주제를 통해 본 실패 원인241

1. 형식적인 법제화241

2. 식품생산에 대한 투자 제한 243

가. 국방공업 우선 투자・243 | 나. 민수산업 군수화・245

3. 식량절약 중심의 식품공급247

4. 식품획득을 위한 지위보장 미약249

가. 식품 공급을 위한 형식적 지위보장・250 | 나. 식량공급을 위한 지위 박탈 ・256 | 다. 시장억제를 통한 식품 구입지위 약화・260 | 라. 강제저축을 통한 식품구입 원천제약・267

5. 저소비의식 확립에 대한 강요271

가. 저소비의식 확립을 위한 활동・271 | 나. 저소비의식 확립에 따른 생활태도・279

6. 성장발육에 필요한 환경 부재284

가. 식품 부족과 동반된 키 크기 운동・284 | 나. 성장기의 과도한 노력동원・286

7. 주민들의 노력 한계287

2장 권력의 의도와 정책집행에서 본 실패 원인290

1. 권력의 의도와 정책집행 관계290

2. 신체왜소 극복 정책의 추진배경292

가. 국가는 어린이의 보모・292 | 나. 국민건강은 체제수호, 나라의 흥망・294 | 다. 신체왜소 확산 우려・296

3. 북한의 대응과 경로 의존성의 영향298

3장 신체왜소 극복정책 실패의 은폐 원인300

1. 언론의 자율적인 정보전달 기능 부재300

가. 북한 언론의 기능・300 | 나. 북한지역에서 외국 언론기관의 활동・302

2. 식품 부족에 대한 책임전가304

가. 신체왜소 발생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관료숙청・304 | 나. 제국주의 경제봉쇄 선전과 한계・306

4장 푸코의 몸-권력에서 본 북한사회 신체왜소308

1. 몸-권력의 북한사회 적용에 대한 해명308

가. 권력의 작동환경과 북한・308 | 나. 권력의 작동수단과 북한・311

2. 권력의 각인에서 본 북한주민 신체왜소312

6부 신체왜소의 지속 메커니즘과 극복 가능성315

1장 북한사회 신체왜소 지속 메커니즘의 구성317

1. 신체왜소 발생 메커니즘 논의317

2. 신체왜소와 식품정책318

가. 북한의 식품정책 실행방향・318 | 나. 식품생산 및 공급관련 기구체계 운영・320

3. 신체왜소와 식품획득 지위 박탈321

4. 신체왜소와 저소비의식 확립324

가. 20세기 사회주의권의 대기근 비교・324 | 나. 구소련과 중국에서 발생한 대아사・325 | 다. 북한의 대기근・327 | 라. 대기근의 초기조건과 저소비의식의 영향・332

5. 북한사회 신체왜소와 지속 메커니즘 구성요인 관계334

가. 극복정책에 따른 구성요인 변화・334 | 나. 신체왜소 발생과 지속 메커니즘 구성요인의 함수관계・335

2장 북한사회 신체왜소 지속 메커니즘의 작동 행태337

1. 발생요인 작용에서 본 작동 행태337

2. 식품획득을 위한 지위변화에서 본 작동 행태338

3. 저소비의식 변화에서 본 작동 행태339

3장 북한체제 운영과 신체왜소 극복 가능성341

1. 신체왜소 지속 메커니즘과 극복의 한계341

2. 북한의 경제개혁과 신체왜소 해결 전망342

7부 나오며345

참고문헌355

찾아보기371

 

책소개:

이 책에서는 ‘누가 신체왜소를 발생시켰는가 하는 문제보다 어떠한 요인이 주민 전반의 신체왜소 확산 및 지속에 영향을 주었는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책에서 서술한 것처럼 북한사회 신체왜소는 식품부족만이 아닌 식품획득 지위의 박탈, 식품 부족의 환경에 적응시키기 위한 당국의 끈질긴 노력의 산물이었다.

미셀 푸코는 몸을 가리켜 권력이 행사되고 작용하는 지점이고 장소라 했다. 이에 따르면, 북한사회에 만연된 신체왜소는 권력이 주민들의 몸에 각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주민전반의 신체왜소를 극복하는 것은 북한 정부가 해결해야 할 문제이지만, 이것이 방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민족 모두의 진심어린 관심이 필요하다. 북녘땅 없이 내 생의 출발을 생각할 수 없듯이 남녘땅이 없이 연구자로의 오늘의 삶의 희열을 느낄 수 없다. 남북을 다 같이 사랑하는 대한민국 국민의 한사람으로 북녘 동포들의 신체왜소가 극복되길 진심으로 바라고 바랄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책제목(가제): 21세기 글로벌사회 공공성 – 현장을 가다

 

  

■ 취지 및 성격

 

- 경제적으로 발전한 대한민국이 명실공히 글로벌시대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사회의 공공성을 높여야 한다는 취지에서 집필

- 사회 각 분야, 예컨대 정치리더십, 안전사회, 핵에너지, 의료복지, 교육, 환경,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다문화, 국제개발협력 등에서 공공성에 대해 탐구

- 해외의 공공성을 벤치마킹하여 각 국가별 사례, 예컨대 중국, 일본, 싱가폴,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 스웨덴, 아프리카를 망라하여 취급

 

 

 

■ 목차

 

 

<서문>

<1장> : 정치리더십과 공공성 - 중국의 집단지도체제 (이동수)

 

<2장> : 안전사회와 공공성 - 싱가폴의 안전지상주의 (김태영)

 

<3장> : 사회복지와 공공성 - 스웨덴의 보편적 복지 (신동면)

 

<4장> : 기업과 공공성 - 일본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 (김운호)

 

<5장> : 에너지와 공공성 - 미국의 원자력정책 (남순건)

 

<6장> : 환경과 공공성 - 독일의 열린 환경정책 (이영식)

 

<7장> : 교육과 공공성 - 미국 대학의 사회공헌 (송세련)

 

<8장> : 다문화와 공공성 - 프랑스의 다문화정책 (이화용)

 

<9장> : 국제개발협력과 공공성 - GAVI의 아프리카 질병퇴치 (손혁상)

 

저자 약력:
이동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연구원을 거쳐,2008년 현재 경희대학교 NGO대학원 원장으로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서양정치철학이며, 지은 책으로 <이상국가론>(공저) 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