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국 민 주 주 의

 

 

조 휘 각 지음

 

 

 

목 차

 

총 론

1. 한국민주주의

2. 한국현대민주주의

 

제1부. 근대 이전 한국인의 민주주의

 

Ⅰ. 인간존중의 민주의식 형성

1. 한국인의 문화와 세력

2. 한국인의 초기사상

3. 한국인의 근대사상

 

Ⅱ. 16세기 의식변화의 징후

1. 서론

2. 세력갈등과 의식의 변화

3. 전근대적 민주의식

4. 결론

 

Ⅲ. 17세기 민주의식 탐색과 변화

1. 서론

2. 의식변화의 배경

3. 민주사상의 생성

4. 결론

 

Ⅳ. 18세기 민주사상의 근대적 접근

1. 서론

2. 정국의 동향

3. 국민에 의한 민주주의

4. 결론

 

제2부. 근대 한국민주주의

 

Ⅰ. 19세기 근대 한국민주주의 태동

1. 서론

2. 근대민주주의 태동의 배경

3. 근대민주주의 태동

4. 결론

 

Ⅱ. 19세기 근대 한국민주주의 민중화

1. 서론

2. 동학의 민주주의 사상

3. 동학의 민주주의 민중화 시도

4. 결론

 

Ⅲ. 19세기 정치세력의 계보와 갈등

 

1. 정치세력의 계보

1. 머리말

2. 정치세력의 계보

3. 대항세력의 계보

4. 맺음말

 

2. 정치세력의 갈등

1. 머리말

2. 수구세력의 전위대-보부상

3. 개화 수구 세력간의 갈등

4. 맺음말

 

3. 근대정치운동의 성과와 한계

1. 근대정치운동의 성과

2. 근대정치운동의 한계

3. 맺음말.

 

Ⅳ. 20세기 현대 한국민주주의 논의와 준비

1. 무력저항과 민족운동 2. 3 1독립운동과 민주공화

3. 교육을 통한 민주운동 4. 신민회의 공화제

5. 민주공화 대한민국 임시정부

6. 신간회의 민주적 조직과 운동

 

제3부. 현대 한국민주주의

 

Ⅰ. 전근대에서 현대까지

1. 한국의 정치와 역사 지리

2. 한국민주주의의 역사

 

Ⅱ. 21세기 현대 한국민주주의

 

1. 현대 민주헌법

 

2. 현대 민주정부

이승만 제1공화국 정부 장면 제2공화국 정부

박정희 제3공화국 정부 유신 제4공화국 정부

최규하 단명 정부 전두환 제5공화국 정부

노태우 제6공화국 정부 김영삼 문민정부

김대중 국민의 정부 노무현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3. 현대 민주의회

 

4. 현대 민주법원

 

5. 현대 한국의 민족통합

1. 민족통합 이론 2. 민족통합의 역사성

3. 민족통합을 위한 구상

 

제4부. 민주주의와 다양한 발전

 

Ⅰ. 민주주의 일반론

1. 민주주의와 민주정치의 의미 2. 민주주의의 다의성

3. 민주주와 민주정치의 개념상 차이

4. 민주주의 과정

민주주의와 선거 민주주의와 정당 대통령(중심)제 의원내각(책임)제 이원(집)정부제

여론과 선전 민주시민의 등장 시민과 시민운동 시민과 자원봉사

 

∏. 개발도상국 민주주의와 민주화

1. 개발도상국 민주주의

2. 개발도상국의 민주화

 

Ⅲ. 20⦁21세기 민주화와 과제

1. 20세기 민주화과정

2. 21세기 신흥민주국가의 과제

 

참고문헌

 

색인

 

저자 : 조휘각

한국국민윤리학회 회장이며, 인천대학교 국민윤리학과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 『현대 민주정치의 이해』,『21세기 한민족통합론』,『근대한국정치론』,『민주주의론』,『민족과 사상』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