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와 전망

부 제: 민주화, 세계화, 탈안보화

ISBN : 978-89-7418-311-0

부가기호: 93340

가 격: 20,000원

저 자: 장훈 외

발행일: 2013년6월20일

페이지: 257페이지

분 야: 정치학

 

저자 약력:

강석훈성신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박성우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박인휘이화여자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유웅조국회 입법조사관

 

유현석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승주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이혜정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장 훈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목차

 

서문・6

1장한국 민주주의론의 반성과 전망 :

민주주의론의 세 가지 패러독스를 중심으로_장훈9

2장지구화와 민주적 정당성의 위기 :

새로운 민주주의 담론을 위한 이론 탐색_박성우 30

3장9·11의 (탈)안보화와 미국 패권 : 대테러전쟁의 구성과 해체_이혜정66

4장세계화 시대 한반도 안보위기 : 북미관계를 중심으로_박인휘92

5장한국 경제개혁의 양면성 : 

세계화와 민주화의 정치적 동학_이승주132

6장한국 사회 거버넌스의 위기 : 

발전 모델과 정치체제의 부조응성의 측면에서_유현석 169

7장글로벌화와 일자리, 그리고 민주주의_강석훈204

8장세계화와 한국 외교정책 거버넌스_유웅조234

 

 

책소개:

 

한국 민주주의는 안보의 차원에서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다. 남북한 대치라는 독특한 현실에 처해 있는 한국 민주주의는 탈냉전이라는 역사적 현실과 탈안보화라는 정책적 대안에 적정한 입장을 취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민주화에 따라 한국의 대외정책 특히 대북정책은 과거의 과도한 안보중심의 체제에서 탈피하여 한미동맹, 남북관계에서 탈안보화를 시도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사회통합과 정책적 실효성의 측면에서 심각한 회의를 불러일으켰다. 전세계 탈냉전이 전제된 한반도에서의 탈안보화 전략은 대내적으로 이데올로기적 분열을 야기했고, 대외적으로도 국가이익과 위신을 일관되게 확보하는 비전과 전략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비판이다. 한국 민주주의는 한반도에서 새로운 안보관을 제시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오늘날 한국 민주주의는 민주화, 세계화, 탈안보화라는 새로운 도전과 위기에 직면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