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 돌봄의 정치: 플라톤 정치 철학의 기원과 전개

박성우 저

 

목 차

제1장 서론: 영혼 돌봄, 자기 돌봄, 그리고 정치

제1절 영혼 돌봄과 정치: 현대 정치에서 잃어버린 주제

제2절 소크라테스 이전 그리스에서 영혼과 정치

제3절 영혼 돌봄의 정치의 창시자, 소크라테스와 그 계승자, 플라톤

제4절 책의 전체적 개관과 구조

 

제2장 소크라테스의 영혼 돌봄: 철학, 시민 윤리, 교육, 국제정치

제1절 영혼 돌봄의 철학과 정치의 충돌: <변론>

제2절 영혼 돌봄과 소크라테스적 시민성: <변론>, <크리톤>

제3절 국가 돌봄의 교육에서 영혼 돌봄의 교육으로: <알키비아데스>

제4절 소크라테스와 푸코의 영혼 돌봄

 

제3장 영혼 돌봄과 수사학

제1절 소크라테스의 삶에 대한 플라톤의 검증

제2절 영혼 돌봄과 정치의 수사학적 화해 가능성: <고르기아스>/ 고르기아스

제3절 영혼 돌봄과 정치와 수사학의 양립 불가성: <고르기아스>/ 폴로스

제4절 영혼 돌봄과 진정한 정치인의 딜레마: <고르기아스> 칼리클레스

제5절 니체의 영웅과 진정한 정치인

 

제4장 플라톤적 영혼 돌봄의 정치1 :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

제1절 정의로운 삶과 영혼: <국가>1권을 중심으로

제2절 글라우콘·아데이만토스의 도전과 국가-영혼 유추의 발명

제3절 소크라테스의 영혼삼분설과 영혼 돌봄의 정치

제4절 국가-영혼 유추와 민주주의: <국가> 8권, 9권을 중심으로

 

제5장 플라톤적 영혼 돌봄의 정치2: 플라톤 정치철학의 발전

제1절 철인왕의 기획과 영혼 돌봄

제2절 데모스와 철학자의 영혼돌봄

제3절 레오스트라우스의 정치의 한계와 철학자의 안전

 

제6장 영혼 돌봄의 정치와 현대 정치

제1절 현대정치의 토대, 자유주의, 민주주의, 공화주의, 법치주의

제2절 영혼 돌봄과 포스트모던 정치 사상: 아렌트, 니체, 포퍼, 스트라우스

제3절 영혼 돌봄과 현대 정치: 탈세속화의 정치

 

저자 약력:

박성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 정치학과에서 “Politics of Soul-Care: Socratic and Platonic Political Life and its Modern Reclamations” 란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요 논문으로 “국익 추구의 도덕적 한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좋은 삶의 정치”(2011), “지구화와 민주적 정당성 : 새로운 민주주의 담론을 위한 예비적 고찰”(2011),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에서 “투키디데스 읽기”의 한계와 대안의 모색“(2008) 등이 있다. 2005년부터 현재까지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에서 정치사상을 담당하여 가르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