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둠의 저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사상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이 재미가 없다. 읽고 나면 대체 뭔 얘기인지 잘 모르겠고, 논리적으로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아서 실망하곤 한다. 어차피 내 독서 취향이 이야기 중심인 책들을 좋아하고, 논리적이고 짜임새 있는 내용을 좋아하기 때문인 것 같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에는 자꾸 손이 간다.(무라카미 책이 새우깡도 아닌데, 참 희한하다.) 추측해 보면, 무라카미 하루키에 대한 명성 때문에 나도 모르게 읽어야 한다는 강박 관념을 가지고 있는 것 같고, 이번 책은 꼭 이해하리라는 오기가 발동하기 때문인 것 같다.
어둠의 저편, 이 책은 하루키의 다른 어떤 책보다 분량이 적어 섣부르게 읽기 시작했다. 그러나 혹시나 했지만 역시였다. 책 읽는 속도가 빠르게 나아가지 않았다. 그러다가 그냥 한동안 덮어 두었었다. 그런데 어제 이 책이 눈에 다시 들어와 읽기 시작했다. 분량이 적어 집중한다면, 완독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는 않는다. 하루키 다른 책에 비해 읽기도 쉽다. 그래서 하루 만에 모두 읽었다. 하지만 하루키는 하루키다. 하루 밤 동안 일어나는 아주 소소한 이야기를 인간의 내면의 모습과 비교하며 이야기를 적어나가고 있다. 하루키 책 중 비교적 이해하기가 쉬우니 하루키 책에 처음 도전하는 것이라면 권하고 싶다.
"인류가 어두워진 후에도, 예사로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된 건, 역사적으로 보면 아주 최근의 일이었어. 옛날 사람들은 일단 해가 지고 나면, 모두 동굴 속에서 틀어박혀서, 외부 세계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지 않을 수 없었으니까, 우리 몸속의 시계는 아직 날이 저물면 잠을 자도록 설정돼 있는 거야"
이 구절은 책에서 내포하는 실존적인 의미를 떠나 현재 시골에서 닭과의 말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는 나에게는 의미 심장한 내용이기도 했다.
본인이 읽은 책은 2005년 발매된 책이라 위에 올려진 표지의 책이었다. 하지만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지금은 아래 모양으로 표지가 바뀌어 있었다. 점수는 82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