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저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사상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이 재미가 없다. 읽고 나면 대체 뭔 얘기인지 잘 모르겠고, 논리적으로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아서 실망하곤 한다. 어차피 내 독서 취향이 이야기 중심인 책들을 좋아하고, 논리적이고 짜임새 있는 내용을 좋아하기 때문인 것 같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에는 자꾸 손이 간다.(무라카미 책이 새우깡도 아닌데, 참 희한하다.) 추측해 보면, 무라카미 하루키에 대한 명성 때문에 나도 모르게 읽어야 한다는 강박 관념을 가지고 있는 것 같고, 이번 책은 꼭 이해하리라는 오기가 발동하기 때문인 것 같다.

어둠의 저편, 이 책은 하루키의 다른 어떤 책보다 분량이 적어 섣부르게 읽기 시작했다. 그러나 혹시나 했지만 역시였다. 책 읽는 속도가 빠르게 나아가지 않았다. 그러다가 그냥 한동안 덮어 두었었다.  그런데 어제 이 책이 눈에 다시 들어와 읽기 시작했다. 분량이 적어 집중한다면, 완독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는 않는다. 하루키 다른 책에 비해 읽기도 쉽다. 그래서 하루 만에 모두 읽었다. 하지만 하루키는 하루키다.  하루 밤 동안 일어나는 아주 소소한 이야기를 인간의 내면의 모습과 비교하며 이야기를 적어나가고 있다. 하루키 책 중 비교적 이해하기가 쉬우니 하루키 책에 처음 도전하는 것이라면 권하고 싶다.

"인류가 어두워진 후에도, 예사로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된 건, 역사적으로 보면 아주 최근의 일이었어. 옛날 사람들은 일단 해가 지고 나면, 모두 동굴 속에서 틀어박혀서, 외부 세계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지 않을 수 없었으니까, 우리 몸속의 시계는 아직 날이 저물면 잠을 자도록 설정돼 있는 거야"

이 구절은 책에서 내포하는 실존적인 의미를 떠나 현재 시골에서 닭과의 말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는 나에게는 의미 심장한 내용이기도 했다.



본인이 읽은 책은 2005년 발매된 책이라 위에 올려진 표지의 책이었다. 하지만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지금은 아래 모양으로 표지가 바뀌어 있었다. 점수는 82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