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미안 ㅣ 소담 베스트셀러 월드북 18
헤르만 헤세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1991년 11월
평점 :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곧 세계이다.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새는 신을 향해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프락사스라고 한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더 많고, 다양한 책을 읽고 싶은 욕망이 생긴다. 하지만 막상 책을 읽으려면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 엄두가 나지 않는다. 고전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한번 읽어 보고 싶기는 한데, 막상 책을 펼쳐 보면 요즘 시대와는 잘 어울리지 않는 문체와 낯선 시대적 배경, 그리고 작은 글씨 등이 책을 읽는 데 걸림돌이 되곤 한다. 특히 누구나 다 읽었을 법한 유명한 책들은 몇 번씩이나 책을 들었다 내려놓기를 반복하게 된다. 강제적으로 읽어야 하는 무언가가 있으면 그래도 읽을 텐데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었다. 그런 면에서 내가 즐겨 듣는 팝캐스트 빨간책방은 나에게 책을 읽어야 할 강제적 의무감을 만들어주곤 한다. 이번에 읽은 '데미안'도 빨간책방 덕분에 읽게 되었다. 이 책은 영화나 드라마 등 뭔가 있어 보이는 작품에서 항상 거론되는 책이기도 하고, 웬만한 사람은 다 읽었을 것 같지만 웬만한 사람은 다 읽지 않은 책이다.
빨간책방에서 리뷰된 후 곧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었는데, 드디어 읽게 되었다. 너무 많이 귀에 익은 책이고, 유명한 책이라 집에도 당연히 이 책이 있는 줄 알았었는데, 막상 찾아보니 집 어디에도 없었다. 식구들도 모두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는지 모두들 한결같이 '어디선가 본 거 같은데?'라는 말만 되풀이 했다. 집에 없는 것을 확인하고, 새 책보다는 헌책을 사기 위해 몇 군데 헌책방을 둘러봤는데 '개똥도 약에 쓸려면 없다'고 책을 구입할 수가 없었다. 결국, 읽기로 마음 먹은지 두어 달 만에 부천의 알라딘 헌책방에서 책을 샀다.
이 책은 전형적인 청소년 성장 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쉽게 읽히는 책은 아니다. '호밀밭의 파수꾼'을 재미있게 있었던 나로서도 매우 힘들게 읽었다.
지금이 아니라 청소년 시절 읽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전반적인 진행은 이야기 중심이라기보다는 인생에 대해 설명하는 식으로 쓰여졌다. 책은 분량은 그렇게 많지 않아 짧은 시간에 볼 수는 있다. 이 책을 읽고나면 어디 가서 책 '데미안'의 주인공(화자)이 데미안이라 말하는 망신은 당하지 않을 것 같다. 점수는 82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