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문의 힘 - 공부의 시작과 끝, 논문 쓰기의 모든 것
김기란 지음 / 현실문화 / 201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나와 나의 동생은 같은 배에서 나와 한 배에서 자랐지만, 정반대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 나는 외향적이지만 동생은 집돌이이며, 나는 골수 문돌이 정치학도이지만 그는 수학적 역량이 출중한 공학도이다. 그런데 선동에 능한 나의 영향을 어떻게 받았는지, 그 전자공학도가 갑작스레 복수전공으로 정치외교학과를 신청했다고 했다. 나와 밥상머리에서 주고 받은 토론이나 문제의식이 꽤나 신기하고 재밌었다고 했다. 동생은 나보다 강성이다.
그러던 어느 날 동생이 물었다. 선톡을 하는 경우가 잘 없는 데, 뜬금없이 선거제도가 왜이리 복잡하냐는 것이었다. 나는 정치학 석사과정을 밟으면서도 그 질문에 대해 생각조차 해본 적이 없어, 적지않아 당황을 했더랬다. "음 글쎄..세상이 발전해서 제도도 같이 자랐나?" 터무니없는 대답을 했다. 동생은 나를 정외과 알파고라고 불렀었는데, 알파고 resign....
좀 기다리니 자기가 알아서 답을 내렸다. "아 그거네, 하도 독재 해쳐먹으니까 그거 못하게 할라고 반칙 막을라고 제도가 복잡해지는 거네. 꼼수를 못부리게 더 촘촘히 정교하게." 직관이자 통찰이자 현답이었다. 짜식. 군생활 잘하고 있으려나...형보다 먼저간 내 아우여... 날 놀리지 말거라..
책을 읽다 불현듯 이 일화가 떠올랐다. 논문도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표절을 막기위해, 연구의 엄격한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해 절차와 규칙이 엄격하고 복잡해진 것이다. 엄격한 형식논리를 지켜야만 한 마디를 보탤 수 있다. 선행연구들의 도움을 받아 분과학문 나름의 체계에 맞춰 그 논리 구조를 지켜야지만 믿을 수 있는 '지식생산'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세상의 발전과 더불어 학문의 공적의미를 비롯해 볼 때 번거롭지만 불가피한 일이다.
논문은 화려한 문장력이나 세상을 뒤흔들 천재적 발상을 담는 글이 아니다. 논문을 쓴다는 것은 하고싶은 말을 하는 게 아니라, 그것을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하는 과정을 뜻한다. 적어도 논문에서는 형식이 내용에 앞선다. 이것저것 재보고 뜯어보고 앞뒤를 가리면서, 엄격한 형식이 담보하는 윤리성 위에서 논리와 체계와 트렌드를 모두 갖춰야만 하는 일종의 종합예술인 셈이다.
대학원에 복학했다. 엊그제 지도교수를 배정받아 다음학기면 학위논문 프로포절을 준비해야한다. 학위과정은 여전히 장인에게 기술을 배우는 도제식 시스템이기 때문에, 설계론이나 방법론은 체계적인 학습과정이 있다기 보다는 따로 찾아 물어물어 공부해야 한다. 그래서 이 책을 샀다. 그래도 내가 논문 쓸 쯤 나와서 다행이다. 까마득 했는 데, 그래도 그 규칙에 대해 갈피를 잡은 것 같다.
-2018.03.28 @PrismM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