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피용 (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문장 발굴단


         본 코너에서는 제가 읽은 책에서 발견한 좋은 문장들을 기록합니다.

왜 선정했는지 뭐가 좋았는지에 관한 제 의견이나 코멘트를 따로 덧붙이지 않고,

단순하게 기록에만 집중합니다. 제가 추려낸 부분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새로운 시도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세 가지 적과 맞서게 되지. 첫 번째는 그 시도와 정반대로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야. 두 번째는 똑같이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지. 이들은 자네가 아이디어를 훔쳤다고 생각하고 자네를 때려눕힐 때를 엿보고 있다가 순식간에 자네 아이디어를 베껴 버린다네. 세 번째는 아무것도 하지는 않으면서 일체의 변화와 독창적인 시도에 적대적으로 반응하는 다수의 사람들이지. 세 번째 부류가 수적으로 가장 우세하고, 또 가장 악착같이 달려들어 자네의 프로젝트를 방해할 걸세.

pp.50-51





나는 지금 두려움과 미신, 어리석음을 이용해서 획득한 당신들의 기득권 보호를 이야기하는 게 아닙니다. 부모 세대에도 그랬다는 단 한 가지 핑계를 대며 비효율적이고 해로운데다 위험하기까지 한 행동양식을 반복하는 당신들의 전통을 이야기하는 게 아닙니다. 나는 지금 인간이라는 종의 생존을 말하고 있습니다. 현명하다는 것은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것입니다. 의식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언제나 무기력한 합의 속에 갇혀 있는 다수의 뜻에 굴복하는 것이 아니란 말입니다.

p.116


이런 시련들을 기회라고 생각합시다. 모든 일이 일사천리로 착착 풀리리라고 생각했소?

p.122




보수 반동적인 자들이지. 순식간에 우리가 그들의 새로운 증오의 대상이 된 거요. 대중들한테는 항상 누군가 증오할 대상을 만들어 줘야 하는 법이지.

p.145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는 인간형은 두 부류로 나눌 수 있소. 성공하는 인간과 실패하는 인간.

p.145

질투심은 인간의 가장 강력한 추동력 중 하나가 아닙니까. p.161



불만에 찬 물고기들 말이오. 물속에서 사는 게 편치 않았던 물고기들. 편안함을 느낀다면 삶을 변화시키고 싶은 마음이 생길 이유가 전혀 없겠지. 고통만이 우리를 일깨우고, 문제의식을 가지고 모든 것을 대하게 만들지요. p.175


"나는 우리가 고통 없이도 진화할 수 있다고 믿어요."

자베트가 분명한 어조로 말했다.

"나도 그랬으면 좋겠소. 하지만 인류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진보는 항상 고통 속에서만 가능했소.……

일종의 습성인 셈이지."

"습성은 바꿀 수 있어요."

"그럴 수 있으면 오죽이나 좋겠소." pp.175-176



우주선 내에서의 일은 <누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자발적 의사를 존중하여 분배되었다. 가장 고된 일들을 분배하는 데 있어서는 아드리앵이 약간 다른 방식을 도입하였다. <힘든 일일수록 노동 시간이 줄어든다>는 법칙이었다. 힘든 일을 택한 사람은 하루에 몇 시간만 일을 하면 되었다. p.214



다른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도 다 그렇게 생각했을걸. 페스트, 콜레라, 세계 대전, 노예 제도가 있었던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은 최악의 시대라는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모든 세대마다 예전보다는 나아졌고 다음 세대에는 더 나아질 것이라고 믿어. 어쩌면 결국 상황은 언제나 똑같을지 몰라. 단지 우리 시대는 더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끔찍하게 생각되는 거지. 그러니까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어. p. 220


"그럼 도대체 당신이 생각하는 용기라는 건 뭐지?"

"남아서 투쟁하는 것."

"이길 가능성이 있을 때 투쟁하는 거야. 지구에 남아 있었더라면 우리는 시련을 겪으며 자멸하는 인류의 모습을 두 손 놓고 지켜볼 수밖에 없었을 거야."

이브가 입 벽을 깨물었다.

" 끝까지 노력해 보지 않은 건지도 몰라." p.220





실수를 저질러 놓고도 굳건한 모습을 보이는 게 진실을 확보해 놓고도 흔들리는 것보다 낫지. 회의를 품은 사람들의 이야기는 누구도 귀 기울여 듣지 않거든. p.233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리즘메이커 2018-01-13 16: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선의로 시작된 유토피아 프로젝트는 인간이라면 지니고 태어나는 동물적 본능에 의해 좌절되기 마련,
그러나 그 좌절의 극한은 다시 새로운 문명의 싹이 되나니...해체와 창조를 반복하는
인간의 역사는 과연 진보하는 것인가.. 인간의 의지는 본능을 결코 꺾을 수 없는 것일까?

2018-01-14 09: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14 10:0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