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계단 - 제47회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작 ㅣ 밀리언셀러 클럽 29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 황금가지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길을 가다 떡 하니 몇 사람이 일렬 횡대로 길을 가로막고 있는 걸 볼 때면, 복잡한 지하철에서 무감하게 서로를 치고, 버스나 지하철 할 것 없이 다리를 쩍 벌리고 앉아 있는 남정네들을 볼 때면, 더군다나 조금 불쾌한 기색에 찰싹 달라붙어 옆으로 다리를 오므리려고 해도 아무 생각 없이 그러고 있는 걸 볼 때면, 분명 내리는 사람이 내리고 나서 타야 함에도 불구하고, 내리는 쪽으로 쳐들어오는 사람들을 볼 때면,
아이구 저 인간들을 어쩌나, 혹은 저 사람들이 무슨 죄겠어, 잘못 가르친 이 사회가 잘못이지, 그걸 용인해 온 오래된 관습이 문제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하루가 멀다 않고 세상을 떠들썩하게 하는 사건들을 보면, 쳐죽일 놈들, 하는 생각이 불쑥불쑥 고개를 드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기에 쉽게, '죄는 미워하되 사람을 미워할 수는 없다' 혹은 '사형인의 죄가 옳다는 것이 아니라, 사형제도만큼은 폐지하자!'는 의견에 동조하다가도, 세상 살아가다 보면 어느덧 좀 강력한 응징이 있어야 사람들이 세상 무서운 줄 알게 되는 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게 사실이다.
<13계단>을 읽은 지금도, 사형제도를 폐지해야 하는가, 극악한 범죄(로 보이는 것까지 포함)는 어떻게 막을 수 있는 걸까, 혹은 원인이 어떻든 끔찍한 사고(상해)를 당한 피해자 본인과 가족에 대한 보상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에 대한 명확한 주장을 펼치지기는 어렵다.
그만큼 하나의 끔찍한 사건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연루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13계단>은 특이하게도, 교도관과 보호관찰대상자(일전에 범죄를 저지르고 가석방된)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그들이 사형까지 3개월밖에 남지 않은 또 다른 인물의 무죄를 증명하게 한다.
그리고 밝혀지는 진실들은, 약간의 반전을 포함해서 가슴을 저리게 한다. 단지 독자들을 놀래키거나, 교묘하게 사건을 꼬거나, 트릭을 이용하지 않고, 정직하게, 그리고 진지하게 사건에 얽힌 다양한 맥락들을 하나하나 짚어 가면서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것이다.
가장 명확한 것은, 사형'제도'라는 것이 결국에는 사람이 하는 일이기에, 특히나 정치인들이 끼어 있는 일이기에, 말 그대로 공정할 수 없다는 것, 그 적나라한 헛점을 드러낸다는 점만으로도 이 작품은 의미가 크다.
가끔 CSI를 볼 때도 느끼는 것이지만, 세상에는 결국 사연 없는 무덤이 없고, 이유 없는 결과는 별로 없다. 다 할 말이 있는 것, 그 할 말을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 역시 사람의 몫.
그러기에 법전만 외운다고 모든 게 이뤄지는 것은 아닐 것이다.
앞서 봤던 <손님은 왕이다>도 그렇지만, 이 작품 역시 추리소설이라는 장르의 공식에 기본적으로 충실하면서도, 한발 나아가 등장인물들의 개연성, 사람과 사람의 얽힘, 사건과 사건의 얽힘, 그리고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합의와 제도를 잘 엮어냈다고 할 수 있다. 사람 냄새가 물씬 풍기는 추리소설이기에, 단지 캐릭터들이 멋지거나 개성적이라는 뜻이 아니라, 인간적인 고뇌와 노력, 그리고 어찌할 수 없음을 잘 보여 주고 있기에 꽤 괜찮은 장르소설로 탈바꿈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미스틱 리버>와 함께, 인간에 대해, 그 운명에 대해, 살인에 대해, 제도에 대해 한번쯤 깊게 생각해 보게 해 준 썩 괜찮은 작품이다!
(그 복작거리는 지하철역에서 어느 날인가 계단을 오르던 한 여자의 손에 <블랙 다알리아>를 봤다. 드 팔머 감독이 영화한다고 어디선가 들은 거 같았는데, 우리나라에도 나왔구나 생각했는데, 알라딘 등을 보니 절판이다. 헹... 어찌 찾아 볼 수 있을까? 지하철, 좋은 정보도 가끔 주고, 재밌는 인간군상도 많이 볼 수 있고, 그나마 젤 편한 교통수단인데...... 참 알 수 없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