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갱스 오브 뉴욕 (2disc) - 아웃케이스 있음
마틴 스콜세지 감독,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외 출연 / 엔터원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아일랜드 이주민(구교도)과 미국 원주민(신교도)(사실 WASP들이 원주민이라는 것은 말도 안 되는 말이지만, 영화 속에서는 자신들이 뉴욕 토박이라고 그리 불러댄다)들이 한판 벌이기 일보 직전이다.
백인 빈민층들이 상류층들을 향해 '당신들의 자식들부터 전쟁터로 보내라'며 폭동을 일으킨다. 그러면서 흑인들을 보이는 족족 죽인다.
정부 해군들은 대포를 쏘아대고, 군대를 파견하여 폭동 주모자들을 몰살시키려 하고 있다.
<갱스 오브 뉴욕> 마지막 장면, 그야말로 일촉즉발의 장면이다.
결국 미국이라는 나라의 탄생은 이렇듯, 구교도와 신교도의 대립, 자본가와 빈민들의 대립, 중앙과 지역의 대립에서 시작된 것이었다.
그러한 뉴욕의 갱들, 그 시작은 미국의 현재와 다를 바 없다.
그 어떤 나라보다 자유로운 것 같지만, 세상 모든 독과점의 모범을 보여 주고 있는 빌 게이츠가 세계 1위의 기부자라는 아이러니, 그 반대편에서 돈 놓고 돈 먹는 데 귀재인 워런 버핏은 누구보다 승부사 기질이 강한 아날로그 부르조아지의 모범을 보이는 동시에 35조를 기부하는 아이러니를 선보이는 나라.
그 어던 나라보다 많은 이민자들로 구성된 나라이지만, 결국 WASP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나라.
대학 어디를 가도 자유로운 토론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의견이 존중된다는, 민주주의의 중심에 있는 듯 보이지만 결국에는 부시 같은 인간이 모든 걸 엉망으로 만들 수도 있는 나라.
그 기원을 너무나 적나라하게 잘 보여 주는 <갱스 오브 뉴욕>.
그 동안 미국 현대사회의 치부를 <좋은 친구들> <분노의 주먹> <택시 드라이버> 등을 통해서 유감없이 보여 줬던 마틴 스콜세지 감독은, 아예 그 기원을 쫓아 들어간다.
놀랍다.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현상들이 역시, 그저 한순간의 모순이 아님을, 그리고 겉으로 드러나는 자유와 평등이 결국 그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기본적인 파워 게임을 파악한다면 위선에 불과할 수도 있음을 너무도 잘 그려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문제는 일상이다.
일상에서 그들이, 혹은 우리가 이러한 자본과 차별과 불평등의 모순을 인지할 수 있는지, 보편적인 일상의 민주주의가 어디까지 진실이며, 의미가 있는 것인지는 여전히 풀기 어려운 숙제다.
디카프리오는 이제 포스트 로버트 드니로, 스콜세지의 2기 페르소나가 돼 가고 있다.
한동안의 방황은 스콜세지로 인해 극복되어, 분노의 표정, 고뇌에 가득찬 몸짓, 혹은 유쾌한 시선 등을 자유자재로 연기해 내고 있다.
이는 그동안 짐 쉐리던의 휴머니즘 영화로 인해 내 관심에서 멀어졌던 다니엘 데이 루이스의 카리스마가 있었기에 또한 가능했다. 마치 <카우보이 비밥>의 비셔스를 연상시키는, 비정하면서도 개똥철학이 명확한, 그러면서 인생의 고뇌를 가득 담고 있는 비열한 다니엘 데이 루이스의 미치광이 캐릭터는 정말 원더풀!이다.
그리고 카메론 디아즈. 작지도 크지도 않지만, 그 시대에 있을 법한 잡초 같은 여성상을 제대로 재현하고 있다. 과하게 여성주의를 내뿜지 않지만, 여성으로 살아가는 것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미인형이 아닌 디아즈의 얼굴은 야비하고도 아름답게 잘 드러나고 있다.
거칠지만 어지럽지 화면은 인물과 장면을 또렷이 응시하면서 영화에 몰입할 수 있게 하며, 예상보다 한 박자 빠른 편집(카메론 디아즈를 향해 칼 던지기 묘기를 보여 주는 장면은 그 정점을 보여 준다. 도대체 어느 순간에 칼이, 어디서 어떻게 던져질지 보는 이의 예상을 깨 버리는 그 순간은 섬뜩함은 편집과 촬영의 극치를 보여 준다. 또한 다니엘 데이 루이스의 표정과 카메론 디아즈, 디카프리오의 리액션은 더할 나위 없이 마에스트로의 작품임을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과하지도 약하지도 않은 사운드의 활용은 쉽지 않은 영화에 재미까지 더해 준다. 또한 언제나 그렇듯이,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결코 하나하나가 쉽게 다뤄지지 않는 그 연출력은 더 말할 필요가 없을 지경이다.
스콜세지.
이 노장의 행보가 어디까지 갈지 계속 궁금하다.
<애비에이터>를 보고, 극장에서 <디파티드>를 보고, 예전의 <좋은 친구들>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 <분노의 주먹> <카지노> 등을 다시 보면 또 한번 행복한 충격파가 계속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