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미술관 - 사랑하고 싶은 그대를 위한 아주 특별한 전람회
이케가미 히데히로 지음, 김윤정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늘 생각하지만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서 글쓰기는 어렵다. 그림은 여전히 2차원적인 평면 묘사밖에 할 줄 모르고, 미술관은 평생 몇 번 가 봤을 뿐이니 난 그야말로 '미알못'이다. 책은 재밌게 읽었으나 미알못이라 배경지식도 없고 작가의 안목을 평할 계제도 되지 않아 서평 쓰기 망설여진다. 그냥 맛집 평가하는 기분으로 가볍게만 쓰고 넘어가자.

 

책은 서양 미술사 전공한 양반이 사랑의 테마를 설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작품을 골라 썰을 편하게 풀어놓은 것이라 생각하면 되겠다. 시대 순으로 작품을 늘어놓았다면 참 고루했을 텐데, 테마별로 묶어서 시대와 상관없이 상황에 맞는 여러 작품을 끌어다 해설하는 구성이 좋았다.

 

요즘 (후근대 또는 현대가 되나?) 미술의 대세인지는 모르겠지만, 현대에 등장한 추상적/전위적인 미술 자체에서 서사를 찾긴 어렵다고 느낀다. 그에 반해 책에 소개된 근대까지의 미술 작품을 보니 미적 성취와 별개로 은유와 서사가 성실히 기록된 느낌이다. 그러니까, 순간을 그린 그림 한 장에도 그리스 신화나 당대의 종교/윤리관이 적극 반영된 것. 그러므로 그림의 감상에도 그런 배경 지식이 필요하고, 풍부한 배경 지식을 가지고 그림을 시대별로 들여다보면 당시의 사랑/연애/결혼 풍토를 짐작할 수 있겠다. 물론 우리에게 그런 소양은 없으니 그림 읽어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책 읽고 나면 두어 시간 정도 똑똑한 가이드와 함께 사랑의 미술관 한 바퀴 둘러보고 나온 듯한 기분이 든다. 맹목의 큐피드가 어쩌고저쩌고 하며 약간 꺼드럭 거릴 수 있을 것도 같고, 교양이 풍부해진 것 같은 근거 없는 충만감도 들고 ㅎㅎ.

 

그럼 미술이 반영한 시대의 사랑은 대체 무어냐고? 1세기경 폼페이 벽화의 여성 상위 자세로 교합하는 남녀 그림이라든지, 아내와 바람난 동생을 죽이려는 형의 그림이라든지, 또는 몰래 하는 키스나 멍하고 물에 들어가 있는 오필리아의 얼굴 같은 걸 보면 뻔하지 않나. 그러니까 김연수 말을 빌리면 '사랑은 제각각이지만 증오는 하나'인데, 그 제각각인 사랑의 모습조차 하나하나 이미 전부 과거에 존재했었다는 말. 늘 그렇듯 현재는 과거의 반복이고 사랑도 예외가 아님을 확인하는 독서였다,라고 말하면 사랑 쥐뿔도 모르는 놈이 건방 떠는 것이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