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가 들려준 이야기 - 인류학 박사 진주현의
진주현 지음 / 푸른숲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대 커리큘럼에 비교 해부학, 해부학이 있기 때문에 토끼 뼈와 사람 뼈를 만져보긴 했다. 일단 예과 2학년 최대 고비 토끼 뼈 맞추기가 있다. 조원들 집 중에서 희생양이 될 자취방을 뽑고, 그 집에서 불쌍한 토끼를 삶는다. 그리고 살을 발라내고 뼈를 다시 맞춰 붙이는 지난한 과정이 이어진다. 간혹 토끼 뼈 조그만 게 몇 개 없어져서 치킨을 시켜 먹고 그 뼈를 붙였다는 전설이나, 젓가락이나 손가락보단 혀가 살 바르는 데 제일이라는 전설이 내려오긴 했지만 우리는 정도를 밟았다. 다 맞추고 나니 토끼라기보단 왠지 공룡 같아서 다 같이 웃었던 기억이다.


본과 일학년 들어가기 전 겨울방학엔 골학(osteology) 오리엔테이션이 있었다. 7박 8일 동안 18시간 정도의 잠을 세 번에 나눠 자며 뼈 공부를 하는 과정이었다. 굳이 이런 혹독한 스케줄로 공부할 필요는 없으나 통과의례 같은 전통이었다. 뼈는 206개뿐이지만 뼈의 세세한 indication, 통과 구조물, 부착 구조물까지 합치면 외울 게 만 개도 넘었을 것이다. 끝나곤 Calvaria에 소주 담아 마시는 사발식을 했다. 지금은 거의 까먹었지만(이럴 거면 왜!) 아직 라틴어 근육 이름 같은 것을 어렵지 않게 말할 수는 있다. 예를 들면 Gluteus maximus. 로마 장군 이름 같지만 엉덩이에 붙은 큰 근육, 대둔근이라는 식. 그렇게 겨울방학 오리엔테이션을 마치고 본과 진입했으나 실제 시체 해부는 너무 하기 싫어서 만날 딴짓 했다. 간신히 유급 면했다 ㅎㅎ.


이 책은 내가 배웠던 진절머리나는 골학/해부학과는 거리가 멀다. 책에 담긴 뼈와 관련된 풍부한 인류학적 상식, 과학사는 의사가 아니더라도 아주 재밌게 읽을 수 있는 것들이었다. 가령 위시본(wishbone)은 새의 V자형 쇄골인데 소망 뼈란 이름은 어디서 기원했는지, 같은 것들. 책을 읽고 생각해보니 만날 시승기 동영상에서 듣던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도 새의 쇄골 모양을 했기 때문이었다 (빙고!). 한국에만 있는 산후조리(sanhujori) 문화가 속설대로 인종 간 골반 구조 차이 때문이었는지도 몹시 궁금했었는데 그것도 책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자에 의하면 골반 구조는 서양이나 동양이나 골반뼈 구조 차이는 없다 (그러니 남녀 모두에게 당당히 쓸 수 있는 출산/육아휴직을 보장해 달라!).


책 후반부엔 한국의 뼈 연구 실태에 대한 저자의 안타까움이 나온다. 여타 과학 선진국과는 달리 한국은 망자의 뼈로 하는 연구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아 뼈 표본 확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시신 기증이야 그렇다 쳐도 유적지에서 발견된 인골도 이전에는 족족 화장해버렸다고 하니 얼마나 기가 막힌가.


거의 다 잊어만 가는 의학/생물학 지식을 복기해볼 수 있어서 괜히 기분이 좋았다. 내게 이 책은 과학의 아름다움으로도 읽힌다. 글의 아름다움은 새벽 두시 감성 에세이에만 있지 않다. 실증적인 지식을 얻기 위한 어려움과 그걸 딛고 해낸 발견의 기쁨, 그리고 그것이 인류를 한 걸음 진보시킨 기록은 정말 아름답다. 결국 인류의  발전은 실증에서 비롯된 것 아니겠느냐며 이과 우월론자의 서평을 마쳐본다. (농담! ㅎㅎ)

멜라닌 세포는 피부색뿐만 아니라 눈동자 색도 결정한다. 호주의 까무잡잡한 원주민들이 선글라스 끼는 걸 본 적이 있으신지? 그에 비해 파란 눈의 백인들은 해가 많이 나지 않는 날에도 선글라스를 끼고 다닌다. 한국 사람이나 호주의 원주민처럼 눈동자가 갈색인 사람들은 눈동자에 유멜라닌이 많다. 검은 피부가 천연 자외선 차단제인 것처럼 검은 눈동자는 천연 선글라스다. 그러다 보니 대부분의 한국 사람은 해가 쨍쨍 내리쬐는 날에도 그걸 참지 못할 정도로 눈을 부셔하지는 않는다. 그에 비해 백인의 파란 눈은 유멜라닌이 없어서 검은 눈동자보다 햇빛에 훨씬 민감하다. 유난히 피부가 하얀 내 동생은 햇빛에 나가면 특히 눈부셔 한다. 어렸을 때 찍은 사진을 보면 해가 있는 곳에서는 늘 얼굴을 잔득 찌푸리고 있다. 아무래도 피부와 눈동자에 모두 유멜라닌 색소 양이 적은 게 틀림없다. 179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