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양장)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윤성원 옮김 / 문학사상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무라카미 하루키의 처녀작이다. 이 소설이 문학상 공모전에 입상하며 하루키의 소설가 인생이 시작됐다. 전통에서 벗어난 소설 양식을 두고 '이걸 소설로 인정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농후했다고' 한다. 그때 심사위원들은 하루키가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가 될 줄 몰랐겠지 흐흐.

짧은 소설 속에서 주인공 에피소드 외에 간간이 다른 이야기들이 지나간다. 하루키의 글쓰기에 대한 자전적 에세이, 주인공의 친구 '쥐', 지역 라디오 DJ, 가상의 작가 하트필드의 이야기도 하나하나 뭉클하다. 지역 라디오 디제이가 불치병 투병 중인 청취자의 사연을 읽고 그 환자가 내려다봤다는 항구에 가서 울음을 터트렸다는 이야기가 특히 좋았다. 디제이는 청취자를 동정해서 눈물을 흘린 게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이어 말한다 "나는, 여러분을, 좋아한다." 위로에서 동정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렇게 간단하고 분명하다.

어쨌든 청춘엔 필연적인 상실이 있고 누구라도 그것을 섣불리 위로할 수 없는 법이다. 소설 속 가상의 작가 하트필드의 소설에서 화성의 말하는 바람은 주인공에게 말한다. "말하고 있는 건 자네지. 나는 자네의 마음에 힌트를 주고 있을 뿐이야." 바람이 마음속에서 휘이, 소리 내며 지나갔을까? 이 장면은 영화 <봄날은 간다>의 마지막 장면을 연상시킨다. 유지태는 아픈 이별을 겪고 난 후 바람 소리를 녹음한다. 그리고 웃음 짓는다. 유지태는 바람의 노래 속에서 무엇을 들었을까. 소설 주인공은 이야기 말미에 이렇게 생각한다. '모든 건 스쳐 지나간다. 누구도 그걸 붙잡을 수는 없다. 우리는 그렇게 살아가고 있다.' 바람의 노래를 통해 들은 것이 자신의 목소리든, 무엇이든 상관없을 것이다. 돌이킬 수 없는 것도 있음을 알면 된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