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심은 사람
장 지오노 지음, 피터 베일리 그림, 유영만 옮김 / 나무생각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http://hestia0829.blog.me/221156247079

 

이 책을 미리 알았더라면 내가 삶을 대하는 태도가 조금은 달랐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장 많이 했다.
고전 작품을 탐독했다던 저자 장 지오노님은 가난한 유년생활을 보내며 이렇게나 짧은 글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는 게 존경스럽기까지 했다.  책을 읽은 후 잠시 눈을 감고 사색에 잠기며 나 자신의 지나온 삶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자신의 땅도 아니고 누구의 땅인지도 관심이 없는 엘제아르 부피에라는 남자는 농장을 소유했었고 어느날 하나밖에 없었던 아들을 잃은 후 또 얼마지나지 않아 아내마저 잃는 절망에 빠져 척박한 산악지대로 들어와 홀로 삶을 영위해 나갔다.
책 속의 주인공은 알려지지 않은 오래된 고산지대를 여행하다가 부피에를 만났는데 무척이나 인상적이여서 하룻밤을 더 신세지기로 했고, 그의 행동과 삶의 방식에 매료되 매년 그를 찾게 되었다.

부피에는 세상사에는 아무런 관심이 없었고 오로지 그 척박한 땅에 나무를 심는 일에 열중했다. 제1차 2차 세계대전도 그의 관심밖이다. 그는 오로지 황폐한 땅에 도토리와 자작나무를 심으며 10분의 1이라도 살아남으면 그걸로 됐다는 그런 사람이다.
결국 그곳은 울창한 숲이 되었고 절대로 이루어질 수 없을 것만 같았던 그곳에서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헌신과 노력의 결과를 본 후 생을 마감했다는 감동적인 이야기다.
책속에 작가의 삶이 포함되어 실화인줄 알았는데 작가의 상상에서 뿜어져나온 허구라고 해서 약간은 김이 빠졌지만 어쩔수없는 마음의 울림은 쉽게 가시지 않았다.

2017년의 마지막 달 12월....
새해에 다짐했던 일들은 해냈는지 못했는지는 12월에 결정을 지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내가 무엇을 할 것'이란 계획보다 '내가 무엇을 하고 있다'는 실천을 보여줌의 마음가짐보다 현재 어찌되었든 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나무를 심은 사람」은 우리에게 지금 당장 움직이라고 무관심한 척 던지는 말로 이야기를 하는 것 같지만 스토리만큼 길게 써내려간 유영만 옮긴이의 말도 따뜻하게 다가온다.
모든 기적은 작은 흔적을 끊임없이 축적할 때, 그리고 뚜렷한 목적을 갖고 부단히 흔적을 축적할 때 어느 날 갑자기 우리 앞에 나타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