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만의 방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283
버지니아 울프 지음, 공경희 옮김, 정희진 분류와 해설 / 열린책들 / 2022년 11월
평점 :
열린책들 세계문학 283
『 자기만의 방 』
버지니아 울프 / 열린책들
<나>는 실존하지 않는 누군가를
편리하게 지칭하는 대명사일 뿐입니다.
이 문장은 아주 오랜시간 나에게 사색의 시간을 주었습니다. 현재의 <나>는 실존하지만 기억하는 과거의 <나>였던 누군가와 공존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시작으로 동시대가 아닌 저마다 존재했던 역사의 순간까지, <나>라는 존재를 실제하는 <나>로 만들기 위한 수단일 뿐이란 결론을 내게되었지요.
다시 만나는 <자기만의 방>을 현대시대에 맞춰 '마음의 방'으로 재해석 해보려 합니다. 시대는 변했고 이제는 마음이 판단하는 성적인 차별을 말이죠.
책 속에서 버지니아 울프는 다른 무엇보다 오로지 자기 자신이 되는 것만 생각하라는 말을 했습니다. 페미니즘 문학의 작가로 <자기만의 방>이 교과서와도 같은 대표 문학에 자리매김하면서 버지니아 울프는 당시 1900년대의 영국사회의 모습과 알게 모르게 스며져 있었던 책 속의 성차별적 이야기를 보여 줍니다.
'여성과 픽션'을 주제로 강연한 사례를 바탕으로 본질적 의미의 차별을 주장한 비평서이자 독립된 여성으로서의 거듭나길 기원하는 부드러운 문체의 에세이기도 합니다.
어떻게 해서든 여러분이 여행을 하고
느긋하게 지낼 비용을 확보하면 좋겠습니다.
세계의 미래나 과거를 사유하고,
책을 보면서 꿈꾸고, 길모퉁이를 배회하고,
생각의 낚싯줄을 강물 깊이 드리울 수 있는 돈을 갖기 바랍니다.
과거 남성의 절대 지위와도 같았던 명예와 권력...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은 성차별, 배움, 직위 등의 생물학적 차별보다는 본질화된 보수적 의미의 차별을 말하고 있습니다. 글에는 단순히 여행을 하고 책을 읽고 마음껏 움직일 수 있는 수단으로 돈을 말하고 있지만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어쩌면 의아해 할 수도 있지요. 왜? 이정도는 누리고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당시 가부장적 사회에서의 여성의 위치란 그저 자신을 지적으로 꾸미고 조용히 내조를 해야했던 <나>라는 주체가 상실된 삶이었죠. 그에 저자는 여성의 주체성 확립과 기회의 평등을 주장했으니 무척이나 발칙한 사상을 가졌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겠네요. <나>로서의 삶으로 사고의 인식과 흐름에 따라 돈과 자신만의 방을 소유한다는 것은 가난에서 벗어나 창작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거나 열등한 존재로서의 글쓰는 여성 등의 이유로 기회의 평등을 논할 수 있는 소재가 되는 것을 뜻하는게 아닐까 합니다.
'여성과 픽션'이란 주제로만 생각해도 돌려 말하는 법없이 단호하게 자신만의 방과 돈을 직시하게 해준거지요. 그렇다면 지금의 우리가 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판단이 서겠지요...?
지금의 우리는 <자기만의 방>을 가지고 자연스레 직업라는 사회에 속해 돈을 벌고 있습니다. 물론 모두가 그렇지는 않지만요... 과거보다 여성들의 주체성은 차곡차곡 적립이 되는 듯 하지만 '마음의 방'은 아직 부족한 것 같습니다. 존재하는 나로서의 가치를 부족하게 여기고 돈에 의해 지배를 받는 삶 말이죠.
페미니즘의 고전문학으로 나를 실존하게 만드는 <자기만의 방>을 갖길 바라는 마음에서 존재하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무엇보다도 나 자신을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