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토옙스키가 사랑한 그림들 - 아름다움은 인간을 구원하는가
조주관 지음 / arte(아르테) / 2022년 10월
평점 :
일시품절



아름다움은 인간을 구원하는가

『 도스토옙스키가 사랑한 그림들 』

조주관 / arte







예술과 문학을 마주하는 우리는 무엇을 얻고자 그것에 그렇게나 갈망하는가?란 의문이 생겼다. 러시아의 대문호라 일컫는 도스토옙스키는 여행을 통해 미술작품들을 만나면서 자신의 문학 속에도 녹아내리게 했는데, 이상을 향한 궁극적인 믿음도 있었지만 인간의 본질을 향한 갈증이 누구보다도 간절했던 것같은 느낌이 들었다. 빛과 어둠, 선과 악, 아름다움과 추함 그리고 더 나아가 삶과 죽음에 대해서도 말이다. 

당시 부유하지 못했던 도스토옙스키는 가족의 생계와 빚을 갚기 위해 돈을 벌어야 했던 생계형 작가로 인간의 본질이 돈과 힘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음을 몸소 느꼈다는 점... 또한 페트라솁스키 사건으로 시베리아 유형지에서 족쇄에 얽매어 있었으니 그곳에서 의지할거라곤 성경뿐... 오로지 허락된 책은 성경뿐이었다. 끊임없는 고뇌와 인내를 통해 인간 내면에 가까이 다가간 도스토옙스키는 자신의 작품 속에 가치를 불어넣었다.

미술애호가로도 유명했던 그가 미술평론가로서 선보이는 <도스토옙스키가 사랑한 그림들>이 앞으로 만날 그의 작품에 짙은 의미를 선사할 듯 하다. 러시아문학자 조주관님은 도스토옙스키를 예술의 신이라 표현하며 그림을 통한 언어 확장의 세계를 경험하게 한다는 극찬과 함께 그의 미술관에 동행해 본다.








도스토옙스키우 소설에서

어둠은 인간의 고통을 상징하고,

빛은 구원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의 소설은 온갖 종류의 고통받는 인물로 가득 찬 백과사전이다.



언어로서 대화하는 인간은 대화중에 자연스레 드러나는 이념이 있고, 언어가 갖는 구심력과 원심력의 힘은 지배층과 민중의 언어로 구분되어지기도 한다. 도스토옙스키는 사실주의를 바탕으로 인간은 빛과 그림자 속에 살고 있으며 빛의 아름다움은 고통으로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그러니까 고난없이는 결코 구원도 없다는거... 이런 말들을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서 천사처럼 죄가 없는 아이들을 사랑하라며 어린아이와도 같은 삶을 살라는 심중의 글귀를 남기기도 했다.

언어에 이어 인간 관계에서 기본적인 고리로 연결되어 있는 건 바로 '돈'... 도스토옙스키는 작품 속에서 '돈이 말을 한다'라는 표현을 쓰며 돈에 의한 사랑과 증오, 우정이나 연민, 더나아가 죽고 죽임을 당하는 돈 때문에 빚어진 비극을 그려내고 있었다. 

또한 도스토옙스키는 아름다움을 탐구한 작가이기도 했는데 '백치'에서 표현한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라는 것은... 외적인 미를 보는 어리석음이 아니라 온전한 형상의 미를 말하며, 인간으로선 자기비움이 바로 아름다운 삶의 시작이고 끝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구원하는 게 지식이나 권력의 힘이 아닌 영적으로 아름다운 사람들이라고 말이다.



인간의 삶이란

한순간도 헛되게 낭비할 수 없는 시간의 연속인 것이다.

순간을 영원처럼 살 수 있게 된다면 그것은 축복일 것이다.



도스토옙스키의 구원의 미술관은 칠흑같은 어둠에서 쏘아낸 빛줄기와도 같았다. <도스토옙스키가 사랑한 그림들> 속의 예술작품을 통해 그의 작품을 더욱 깊이 인지할 수 있었고 그 속에서 적지않은 희망과 마주할 수 있었다. 

삶과 죽음 그리고 쉼없는 시험에 빠지는 인간의 고뇌가 아주 작은 빛의 소망으로 일어난다는거... 스스로 경험하지 못하는 죽음 앞에서도 인간은 유토피아같은 끝없는 이상을 꿈 꾼다는거... 그것만으로도 도스토옙스키가 그려 낸 예술은 우리의 세계를 확장시켜 준다. 여행을 좋아하는 도스토옙스키가 미술관에서 느꼈던 흔적들로 작품과 연결시켰다니 <도스토옙스키가 사랑한 그림들>은 이 가을과 어울리는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