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 2 - 왕의 목소리
임정원 지음 / 비욘드오리진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은 백성이 주인인 나라여야 했다

『 중금 : 왕의 목소리 2 』

임정원 / 비욘드오리진








어진 왕으로서 백성의 안녕을 위하고자 했던 힘없는 조선의 왕... 선대 왕이 이뤘던 위대한 역사를 되새기며 백성과 함께 노래할 그날을 꿈 꿨던 그들은 무너지는 수많은 역경에 부딪히게 된다. 국금으로서 자신의 목을 벨 수밖에 없었던 재운... 그리고 그 무거운 짐을 어린 아들에게 떠맡겼던 그의 죽음이 헛되질 않기를 간절히 바랐었다.



<중금 : 왕의 목소리 2>에서는 궁으로 들어가라는 아버지의 뜻을 이뤘던 지견... 국금으로서 지켜내야 했던 침묵과 역사를 잇기 위한 그의 헌신을 마주하게 된다. 



한 왕이 있었습니다.

그분께서는 당신의 힘으로는 세상을 바꿀 수 없음을 아시고,

후대의 어진 왕에게 유지를 남기셨습니다.

뜬 눈으로 아름다운 세상,

백성이 행복한 나라를 꿈꾸시던 그분께서는

먼 훗날의 그날을 기다리며 큰 뜻을 품으셨습니다.



상선내시 서승은 세 명의 조선의 왕을 모시며 무서울 것 없는 권력을 휘둘렀다. 자신을 이을 자식도 없었으므로 꼭두각시가 필요한 차에 강원 어딘가에서 아이를 훔쳤고 유일하게 자신의 힘이 미치지 못했던 중금의 인재로 키워낸다. 문제는 출신도 미천했던 지견이 나타났다는 점... 게다가 이 둘은 왕과 세자의 중금으로 선택되었으니 그렇게 서승의 양아들 서무일과 지견의 보이지않는 신경전은 긴장감을 놓지 못하게 하였다. 갖은 모략으로 도무지 빛이 보이지 않았던 지견은 연모하던 재인마저 자신의 손에 무너지는 아픔과 마주하게 되는데...






권력을 쥔 자들은 참다운 인재가 쓰이는 것을 두려워한다.

바른 사상과 충심으로 무장한 이가

임금 곁에 있는 것을 위협으로 여긴다.

자신들의 자리가 흔들릴 것 같으면 여지없이 싹을 자른다.



상선내시 서승의 행보는 그야말로 극악무도하다. 왕을 왕으로 여기지 않았던 노론 그리고 대신들, 왕은 그저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허수아비 뿐이었다는거... 자신과 뜻이 같지않고 자신의 앞날에 걸림돌이 될 듯 싶으면 수단을 가리지않는 죽음으로 처단했던 그의 말로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리고 조정을 손아귀에 쥔 권력가의 양아들이었던 서무일은 과연...

형제의 우애는 돈독했으나 독살의 오명을 뒤집어 쓴 영조는 자신의 아들 사도세자가 굳건한 왕으로서의 자리를 차지하길 원했지만 대리청정으로 기가 눌렸던 사도세자는 자신의 한계를 느끼게 된다. 하지만 중금 지견과 우정을 맺어 국금의 유지를 위한 눈물의 역사를 이어가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는데 과연 모두가 웃을 수 있을지...



우리는 모두가 알고 있다. 왕이 바로 서야 나라 또한 바로 선다는 사실을... 탐욕으로 불거진 역사의 대물림이 여전히 반복되는 가운데 역사소설 <중금 : 왕의 목소리>는 큰 깨달음을 선사한다. 드라마 제작이 확정되었으니 영상으로 다시 만나는 날을 기다려 본다. 한국소설로 조선의 아픈 역사를 그려내고 있지만 흔들리지 않는 신념으로 지키고자 했던 인물의 고귀함을 느낄 수 있었다.

마지막 경종이 남긴 국금... "조선은 백성이 주인인 나라여야 했다. 하지만 오늘날 이 나라는 관료들의 세상이 되고 말았다." 말이 짙게 새겨졌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