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 1 - 왕의 목소리
임정원 지음 / 비욘드오리진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중금', 드라마 제작 확정!

『 중금 : 왕의 목소리 1 』

임정원 / 비욘드오리진







나는 꿈을 꾼다.

백성이 이 땅의 주인인 나라를.



요즘같이 어지러운 정국에 <중금>같은 역사소설을 만나면 무척이나 마음이 무거워진다. 제일 먼저 바뀌어야할 '백성이 주인인 나라'가 절대 권력 앞에 무력으로 무릎을 꿇는 일 없기를... 그리고 역사의 잘못된 인식과 해석으로 아픔이 대물림되는 무자비함을 겪지않기 위해서 말이다.


<중금 : 왕의 목소리 1>의 글귀 하나로 가슴의 울림을 주었던 이 책은 간신들의 입발림과 계략으로 어진 군주로서의 역할을 묵살시키는 어리석은 자들의 소행을 가감없이 그려내고 있었다. 입밖으로 내어 말하지 못하는 것을 국금(국금 : 책에는 기록할 수 없는 중요한 기록을 중금을 통해 남기는 것)을 통해 남겨야했던 왕의 본심... 그 이야기가 '중금'을 통해 펼쳐지고 있다.




역사소설 <중금 : 왕의 목소리 1>에서는 뒤주에 갇힌 사도세자로 거슬러 올라간다. 왕위를 이어야 할 인물이었던 사도세자... 그저 부왕의 노기로 아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던 것은 아니었다. '내가 죽어야 네가 산다'는 말은 정조를 두고 한 말이었을까? 휘령전의 문이 닫히고 더이상 아무것도 들려오지 않을때, 사도세자는 조용히 숨을 거두었다.

고려 7왕때부터 '중금'이란 기록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주로 국왕과 왕실의 주요 인사의 호위도 담당했다는 중금은 왕의 목소리를 대신하기도 했다. 용모와 언행이 방정해야하며 항상 왕의 곁을 떠나지 않으므로 무술 또한 출중해야 한다. 그곳에 눈에 띄는 인물이 있었으니 바로 신효명과 이재운이었다.







늘 가슴에 품고 다니면서 새기고 또 새기거라.

사람이 공부를 하는 이유는입신양명이 목적이 아니라,

세상을 올바로 보고 바르게 이끌기 위한 것이다.



아침부터 내시의 간드러진 목소리가 듣기 싫다며 중금에게 아침잠을 깨우라 명했던 경종... 중금 최헌직은 성품이 곧고 선했던 신효명과 재능을 타고난 재운의 둘도없는 우정이 부러웠다. 

왕에게 먼저 말을 걸면 안되는 중금이었지만, 오늘 아침 왕의 음성에서 짙은 절망과 외로움을 느꼈던 재운은 말을 걸고야 말았다. 이것이 문제가 되어 근신 처분을 받게 된 재운... 뭔가 달라졌다. 왕의 은밀한 명으로 '국금'이 된 재운은 역모의 모함을 받아 의금부로 끌려갔고 그를 돕기위해 효명은 자신의 목숨을 내어주고 만다. 이 모든 것을 중금 최헌직이 보았고 이어 왕이 승하했다....

이 세상 사람이 아니어야했던 이재운은 깊은 산중의 독골마을로 들어가 이용술이란 이름으로 아들 지견과 숨죽여 살게 된다. 우연히 그곳의 지주와 시비가 되어 정체가 드러날 위기에 처했던 그... 아들 지견에게 두 가지의 가르침과 궁으로 들어가라는 유언을 남기고 명을 달리하고 만다. 아버지의 품행과 목소리를 그대로 물려받은 지견의 앞날은 과연...



자신을 대신하여 죽은 효명과의 우정 그리고 백성을 위하는 정치를 고민했던 어진 왕이 남긴 메세지를 아들 지견에게 남긴 재운... <중금 : 왕의 목소리>가 드라마 제작이 확정되었다고는 하나 보지않고도 머릿속에 영상이 재생되듯 무척이나 선명하게 그려졌다. 백성의 나라를 만들려고 했던 어진 왕 그에맞선 탐관오리들의 치졸한 악행을 보며 변혁의 바람이 일어나길 간절히 바랐던 역사소설이었다.

재물은 가질 수 있으나 사람의 마음은 결코 가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인정이다. <중금 : 왕의 목소리 2>편에서 후대의 중금이 된 지견을 마주하길... 끊을 수 없었던 우정과 충정의 진실과 백성의 나라에 빛이 발하길 기대해 본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