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이제 그만 저 좀 포기해 주세요 - 살려고 받는 치료가 맞나요
김은혜 지음 / 글ego prime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집하며 울다가 출간이 늦어진 도서!

『 선생님, 이제 그만 저 좀 포기해 주세요 』

김은혜 / 글ego






더이상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를 만나는 한의사... 일반인들이 생각하면 무슨 한의사가 암환자를 돌보는지 의아해 할 수도 있겠지만 한방병원에서 근무하면서 만난 환자를 보면 끊어질 듯 보이는 마지막 생명줄을 잡기위한 간절함이 그대로 전이되는 듯 했다. 독자인 나도 곁에서 그분들을 마주하는게 감당할 수 없을정도로 힘들어 그만두었으니까...

특히 마지막 길에 나에게 원망의 말을 쏟아냈던 할머니가 가장 많이 생각나게 했던 책... 어느날 할머니가 아파서 견딜 수 없다면서 엄마에게 전화를 걸어왔다. 근무중에 전화를 받은 나는 원장님께 말씀을 드렸고 괜찮으니 얼른 모시고 오라는 말씀에 감사함을 표하며 퇴근시간에 맞춰 할머니의 진맥을 본 원장님... 굳어지는 표정에 혹시나~하며 내심 불안감을 숨겼지만 할머니의 생이 한달 남짓 남았다는 말에 당시 어떻게 집으로 왔는지 기억나질 않는다. 진통제로 버티는 것도 하루이틀이지 연세가 많이 드신데다 병원치료가 버거워 뼈만 앙상하게 남은 할머니를 면회하며 고향에 가시자 말한 나에게 독한 말을 쏟아내신 할머니가 "엄마가 보고 싶다"며 한참을 우셨다. 뭔가 석연치 않았던 가족은 의논 끝에 할머니의 고향 땅을 밟게 해드렸고 바로 다음날 눈을 감으셨다. 동행하진 않았지만 손녀딸에게 미안하고 고맙다는 말을 남기셨다고...

<선생님, 이제 그만 저 좀 포기해 주세요>는 삶의 끝자락에 선 이들의 사연을 담고 있다. 차마 눈물없이는 마주할 수 없었던 가슴 아픈 그들의 투쟁을 말이다. 저자는 환자와 그 가족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며 그저 그들의 인생이야기를 허물없이 들어주길 바라는 마음에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자신 앞에 놓인 죽음이라는 암과 사투를 벌이는 그들의 이야기...





이 글을 읽는 동안에는

그들의 '인생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주길 바란다.

비록 내가 대신 전하게 된 이야기지만

생의 마지막에서

이토록 치열하게 싸운 사람이 있었음을 누군가 기억해주길,

그 기억으로 인해 남은 가족들이

조금이라도 더 평안해지길 기도한다.



보통 몸이 안좋다 싶으면 동네 의원을 방문하고 2차 의료기관을 거쳐 더이상 안된다 싶으면 대학병원으로 가는 사람들... 그들의 희망이 무너질즈음 찾아오는 마지막 종착역즈음에 한의사인 저자는 그곳에서 환자를 돌본다고 한다. 그들의 의무기록지를 살펴보면 대부분 '시도 가능한 항암 치료 선택지 없음'이나 '호스피스 완화 기관 권유'등의 메세지가 적혀있으니 차마 본인조차도 할 수 있는 일이 그리 많지 않음에 그저 그들의 얘기를 들어주는 것 밖에 없다는 사실에 마음아파하는 모습이 보여지는 듯 했다.

죽음을 준비하는 환자 앞에 살 수 있다는 희망을 내비치는 보호자... 그런 모습을 보며 환자는 의사에게 자신을 포기해 달라고 한다. 대책없는 통증에 몸도 가누지 못해 팔과 다리를 절단해 달라는가 하면, 곧 죽음을 예견하고 집으로 돌아가 생을 마감하는 사람들도 있다. 절절히 마음 아픈 사연이 있는가하면 임종을 앞두고 유산상속으로 분란을 일으켰던 가족도 있었는데 차마 입밖으로 표현할 수 없는 자신의 입장에 대한 한탄도 있었다는거... 저자 또한 견딜 수 없었던 시간이 있었으니, 수없는 사망선고에 점점 지쳐갔던 그녀는 그저 오늘도 감당할 수 있는 만큼만 힘들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했다고 한다.

독자로서 바라는 점이 있다면 <선생님, 이제 그만 저 좀 포기해 주세요>를 통해 그 아픔을 공감하며, 지금 잘 하시고 계시니 오늘도 조금만 힘드셨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본다. 태어남과 죽음은 선택할 수 없는 인간의 일생... 그 아픔의 크기를 알 수 없어서 감히 힘내라고 말을 꺼내기조차 조심스럽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의 끈을 놓지않기를 간절히 바라본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