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인류 - 인류의 위대한 여정, 글로벌 해양사
주경철 지음 / 휴머니스트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부 아시아 해양 세계의 역동성




인도양을 통과하는 아시아의 해상 실크로드 진주길... 당시 동쪽으로는 진제국과 한제국이 있었고 서쪽으로는 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있었다. 인도양과 태평양을 잇는 교역은 주변 바다와 인접한 열도와 어우러져 문화와 사상 그리고 인력과 물자 등의 활발한 교역을 이루는 계기가 되어 넓게 퍼져나갔다. 특히 중국과 동남 아시아의 해양 네트워크의 구축으로 외국인들이 들어와 거류지를 형성하기도 했으나 봉기와 학살로 평화롭지만은 않았다는 사실... 지역의 질서를 교란시키고 반란 세력을 통해 극단적 행동을 하였으니 이 또한 지금과 다르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교역 대부분은 바닷길로 이루어져 있다. 선박기술과 세계를 잇는 아시아의 길목이기때문이 아닐까? 또한 오대양 중 가장 큰 태평양이 품고있어 풍부한 해양자원과 더 나아가 아시아의 지리적 장점으로 다양한 산물이 존재한다는 것... 막연히 알고 있는 것을 확고하게 기억하게 해주는 책!! 페이지를 넘길때마다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지는 <바다 인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