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문명 1~2 - 전2권 고양이 시리즈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면서 문제시 된 인류세는 결국 인간의 멸망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오래 전부터 예견되어 왔다. 과학발전을 위한 무분별한 연구는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전염병을 가져왔고 살상무기의 개발과 전쟁은 인간 스스로 만들어 낸 폐해와도 같았다. 이렇게 벼랑끝에 선 인간의 문명이 미래에는 인간 중심이 아닌 다른 존재에 지배당할 수 있음을 심각하게 경고하는 베르나르베르베르의 <문명>은 저자만의 기발한 상상력으로 그려냈다.

 

이야기되지 않는 모든 것은 잊힌다.

먼 훗날 내 이야기를 들려줄

고양이 이야기꾼이 될테니

잘 기억하고 있다가 후대에 남겨야 해.

 

문명의 스토리는 에드몽 웰즈가 쓴 <상대적이고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을 통해 세상의 문을 연다.

 

 

 

지나친 완벽주의자인 암고양이 바스테트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종이 서로 소통할 수 있게 만드는 원대한 계획'을 가졌다. 그의 집사인 나탈리는 자신에게 반말을 하며 하대하는 듯 괴씸하기도 하지만 잘 해주니까 그냥 넘어간다는 거만한 생각도 하는 보통이 넘는 고양이다.

 

인간은 공존을 위한 연대는 뒤로한 채 전쟁을 일삼고 동족을 죽이며 짐승으로 변해갔고 세상의 지배를 꿈꿨던 쥐들은 그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실험쥐였던 티무르는 인간이 제공한 <제 3의 눈>을 가지고 지구를 정복하려는 광범위한 계획을 실행에 옮긴다.

제 3의 눈이란, 인간이 동물의 이마에 구멍을 뚫어 USB단자를 꽂아 소통을 하기 위한 도구로 갑작스레 밀려오는 광범위한 정보로 미치거나 죽었다고 한다. 하여튼 쥐의 황제 티무르는 제 3의 눈을 가진 존재였고 바스테트와 함께 여정을 떠나는 피타고라스도 제 3의 눈을 가졌다.

 

쥐들의 반란으로 도망치던 바스테트 일행은 시뉴섬에 도착하지만 엄청난 번식력과 지능을 가지고 공격해오는 쥐들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공존을 위해 연합을 형성하려 하지만 같은 종족에게 배신당하고 두려움에 나서려하지 않는 다른 동물들에 맞서 문명은 다시 새롭게 시작할 수 있을지 그들의 여정에 함께 동행해 본다.

 

마치 SF가 어디까지가 공상이고 과학인지 가늠할 순 없지만 책 속에서 언급한 동물들의 재판에서, 공룡이 멸종했듯이 인간이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지금 살아있는 생물들은 여전히 존재할 것이라는 말은 지나치지말고 심각하게 생각해야 하는 문제다. 인간은 자신의 종족만을 위한 개발과 멈추지 않고 필요에 의해서만 가축을 번식시킨다면 미래에 다가올 새로운 문명은 암담한 현실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