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라와 태양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홍한별 옮김 / 민음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둠에 가려져 있는 태양이지만 태양이 가지고 있는 본성은 열기로 가득차 있음을 의심치 말라고 하듯 붉은 표지가 발하는 빛은 무척이나 강렬하다. SF인지 로맨스인지 아니면 성장소설인지 의문이 들었지만 책을 펼치면 장르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 듯 잔잔하지만 큰 감동을 선사한다.

 

 

인간 소녀 조시와 인공지능 로봇 클라라의 만남은 서로의 바람에 의한 필연의 존재였고, 저버리지 않는 믿음으로 서로가 서로에게 아픔이 되지 않기를 희망한다. 우리가 흔히 인공지능 로봇이라고 하면 부자연스러운 표정에 어눌한 말투를 상상하게 되지만 책속의 클라라는 조시와 같이 성장기 소녀의 호기심과 관심, 그리고 함께 존재함으로서의 행복을 보여주는데 정말이지 부족함없이 차고 넘치도록 감명깊다.

 

 

 

이곳은 인공지능 로봇 AF를 만날 수 있는 곳.

매장에 진열된 클라라는 쇼윈도에 서고 싶었다. 지나가는 사람들이 자신을 쳐다보면 매니저에게 배운대로 '중립적' 미소를 보여야 했고, 태양광을 흡수해야 한다는 선택권도 중요했지만, 진짜 이유는 바깥 세상을 더 세세하게 보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쇼윈도에 선 클라라는 조시를 눈여겨 봤다. 만약 조시가 친구를 필요로 한다면 자신을 선택해 줬음 좋겠지만 그것은 클라라가 가져선 안되는 마음이였다. 오랜시간 기다린 끝에 오로지 자신을 찾으러 온 조시를 따라가기로 했고 그렇게 조시와 함께 방에서 지는 태양을 매일같이 바라봤다.

 

 

조시에겐 평생을 같이 하기로 한 친구가 있었고 그런 감정은 클라라와 같은 AF와는 다르다고 하는데 어떤 감정인지 알지 못해 표정짓기가 어렵다. 조시는 아팠고 언니 샐은 세상에 없었으며 엄마는 지친 기색이 역력했다. 몸이 안좋은 조시를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찾으려 애쓰는 클라라는 해가 쉬어가는 맥베인씨의 헛간을 찾기로 하고 나름 준비했던 바람들을 해에게 전하게 된다.

 

 

인간처럼 득과 실을 따지기전에 역할에 대한 최선과 더 나아가 되지 않는 일을 자신의 의지대로 실현시키기 위해 강행해 나가는 클라라를 보며 가슴을 졸이며 응원하게 될 것이고, 클라라를 통해 보여줬던 조건없는 무조건적인 사랑이 부모자식간에만 존재하지 않는다는걸 확실하게 알려주는 '클라라와 태양'은 차가운 현실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철학적인 질문을 던진다. 인간으로서의 존재는 과연 무엇이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