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
한국역사인문교육원(미래학교) 지음 / 창해 / 202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https://blog.naver.com/hestia0829/222271852287

궁이란 왕의 공간으로 왕과 왕실 사람들의 모든 생활을 엿볼수 있는 곳이다. 조선왕조가 1392년~1910년 약600년 동안의 역사를 품고 있다. 실질적으로는 세종때 학자들을 위한 집현전을 마련하면서 궁궐로서 자리잡기 시작했는데 임진왜란으로 많은 부분이 소실되는 아픔을 겪었으나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에 의해 재정비 되었다고 한다. 이 많은 사람들이 함께 살면서 저마다의 생활공간과 역할을 분배하여 왕실을 유지했으며 그 공간에 함께 했던 궁궐사람들을 소개하면서 우리가 알아야 할 개념과 상징하는 의미 등을 알려주며 궁궐에 속한 사람들이 하는 일, 그리고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더 나아가 건축양식이 상징하는 바를 보여준다.
왕의 어원은 하늘과 땅, 인간을 상징한다고 한다. 절대권력을 쥐고 있는 왕은 입법권과 사법권, 행정권까지 모든 힘을 손에 쥐고 국가의 흥망성쇠를 좌우했다. 왕이 원자로서 탄생하고 이후 세자가 되기까지는 십년이 채 걸리지 않으나 왕이 되기위한 자질을 키우기 위해 쉼없는 교육을 받아야 했다. 세자가 되면 동쪽에 떠오르는 태양과도 같은 존재이기에 동궁에 거주하게 되는데 이런 왕의 일상을 모두 보여준다. 차기 군주를 생산해야 하며 궁궐의 살림을 책임지는 왕비, 왕이 되지 못한 왕자는 사가로 나가 왕자의 눈에 띄지 않게 살아야 했으며, 공주 또한 혼인을 한 후 사가로 출궁했으나 조선의 여성은 이름이 없는 경우가 많아 봉호로만 불렸던 일도 많았다. 외롭고 힘든 삶을 살았던 궁녀는 생각시 시절을 거쳐 정식궁녀가 되었고 혼인도 할 수 없었던 그녀들은 생을 마감할 때도 곁을 지키는 사람이 없어 화장을 했다. 왕의 그림자와 같은 내시는 결혼도 하긴 했으나 그 목적은 궁에서 일할 인원을 충원하기 위함이였고 온전한 남성으로 살지는 못했으나 권력자의 곁에서 재력과 권력은 가질 수 있었다고 한다. 어찌되었든 왕은 존엄의 상징이였으며 용안, 용포, 용상 등의 천상의 용은 결국 군주를 뜻하며 결코 짧지않은 궁궐과 왕릉의 문화를 담아내고 있다.
조선의 문화를 정의하고 궁궐의 모습을 그린 이 책은 사전에 있는 것처럼 개념과 호칭, 등급 등을 구분하여 정확하게 궁궐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위치를 보여준다. 특히 이 책은 한국역사인문교육원에 소속된 여러명의 전문강사들이 출간한 책으로 각 주제마다 다른 느낌으로 읽을 수 있다. 그래서 특정 인물에 한정되었다는 아쉬움도 있었지만 역사극을 보면서 주연뿐만 아니라 세세한 역할까지 다른 시선에서 만날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이 생겼다.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