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이야기
미아키 스가루 지음, 이기웅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https://hestia0829.blog.me/221561048645

 

 

이 책에서 말하는 이야기는 죄다 거짓말이다.

허구라는 것을 알고 있는데 기억을 제조한다는 의억이라는 기술로 읽는 독자들조차도 혼동을 느끼게한다. 의억기공사라는 생소한 직업을 소재로 세상에서 가장 다정한 거짓말을 만들어낸다는 달콤한 유혹으로 이성을 단단하게 붙잡으며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넘의 사랑이야기는 가슴뭉클함을 만들어 전작 「사랑하는 기생충」에 이어 작가의 매력에 쏙 빠지게 만들었다.

표지에 있는 표정없는 소녀의 위태로운 모습에 가슴저린 이야기일 듯 했다. 영원한 사랑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는 도라지꽃, 그 꽃을 가슴 가득히 움켜쥐고 있는 소녀는 이제 울음을 가득 머금고 있는듯 보여 누군가의 손길이 필요해 보이기도 했다.

레코드판이 재생되는 지금은 반딧불의 빛의 음악이 흐른다. 어린시절 부모나 친구들의 추억조차 가공하고 싶었던 치히로는 의억을 구입한다. 여기서 나오는 대표적인 용어를 알아둬야 하는데 나노로봇에 의한 가공의 기억을 의억, 가공의 청춘시절을 제공하는 그린그린, 특정한 시기의 기억만을 제게해주는 레테 등의 신조어가 나온다. 어쨋든 주인공 치히로는 현실의 삶도 그다지 행복감을 느끼지 못해 자신의 이력을 제공한 후 레테를 구입하게 되는데 업체의 착오로 그린그린을 복용하게 된다. 그리고 등장한 어린 시절 소꿉친구인 긴 머리에 하얀 피부를 가진 나쓰나기 도카다. 의억 속의 가공인물은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지만 그녀와의 만남은 항상 편안하고 포근하기 그지없었다. 의억의 기술발달은 과거는 지울수 없고 미래는 바꿀 수 있다는 의지로 살았지만 오히려 미래가 불명확하고 과거를 바꿀 수 있다면 불명확한 미래가 좀더 나아질 것이라는 개념아래 만들어진 의억은 과연 희망의 불씨일지...

이쯤에서 도카의 이야기를 하자면 의억이 발달함에 따라 병도 진화되었는지 의억은 최초로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는 사람에게 제공하고자 했는데 AD라는 비슷한 증상은 실제 기억을 잊는 것과 동시에 의억도 잊게되는 신종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는 게 바로 도카였다.

이 두 사람의 사랑은 실제였을까... 아님... 의억속의 조각이였을까... 아름다운 이야기를 직접 만나보길...

기억을 제공한다는 참신한 소재가 어쩌면 SF영화 같기도 하지만 저자는 사랑이야기로 아름답고 부드럽게 묘사했다. 하지만 읽는동안 현실에서 이러한 일이 발생한다면 이라는 상상을 할때마다 섬뜩해오는 감각은 무시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상황에 처하더라도 운명적인 사람들은 생각보다 가까운 곳에 있을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