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X - 남자 없는 출생
앤젤라 채드윅 지음, 이수영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hestia0829.blog.me/221489702472

 

 

순결하고 고결한 백합과 같은 이미지 속의 X와 X의 염색체가 침범하고 있다. '우리가 아이를 갖는 데 이제 남자는 필요 없어.'라는 강력한 문구는 혐오사회를 연상하게 하고 인류의 역행적인 반항인가 의문도 가지기도 하지만 인종의 차별이나 종교적 사상이 들어있지 않기를 바라게 했다. 이런 형태의 스토리가 부조리하다는 등의 불이익을 받지 않았음 좋겠다는 생각 또한 들었다. 레즈비언의 사랑으로 만든 결실의 XX가 게이의 사랑의 결정체인 XY도 있다는 인식을 하며 파격적인 소재지만 다름을 그대로 편안하게 받아들이면 이 소설은 정말 기가막힌 소설일거다.

 

 

12년째 함께 살고 있는 줄스와 로지는 레즈비언이다. 그들의 삶에서 가장 큰 이슈는 제퍼슨 교수가 연구하는 '두 어머니 사이 체외수정'이였고 사회의 큰 혼란과 종교적 갈등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법안이 통과되어 인간에게도 시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줄스와 로지는 이를 임상시술에 자원을 하지만 신원이 노출되면서 극한 질타의 대상이 된다. 게다가 신문기자인 줄스는 화제의 주요인물에다 자신의 신문사보다 타 신문사에서 먼저 보도가 되었다는 이유로 상사로부터 질타를 받으며 불합리적인 업무에 쌓이게 되는데, 수정된 태아는 로지의 뱃속에 있고 자신의 위치가 부모 중 아빠의 역할에 더 비중이 있다는 심리직 압박에 괴로워한다.

사랑하는 사람끼리 영원을 약속하고 함께 사는 사람이 과연 남자와 여자만의 조합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동성의 자녀탄생은 아직 생각해 본적도 없어 신기하기만 했다. 그리고 과학의 발전의 속도를 감안해 본다면 가능할 것도 같다. 더이상 깊은 생각은 접어두고 저자의 창작노트에서 언급한 물음의 습작이 멋지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