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승달
모리 에토 지음, 권영주 옮김 / ㈜소미미디어 / 2019년 1월
평점 :
절판


http://hestia0829.blog.me/221445522089

 

 

극적인 스토리보다는 무척이나 잔잔하게 흘러가는 메세지인듯 하나 결코 가볍지만은 않은 주제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간다. 게다가 두께감있는 책은 시대와 세대의 변화를 반복하며 변화되는 학원가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는데 소개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와 별반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60년대의 일본사회를 보여주며 절대적 군국주의적인 교육을 겪었던 지아키는 문부성을 적대시하게 되었고 자신도 그 시대 교육의 실패를 맛봄으로써 학원이라는 또 다른 방법으로의 접근을 시도 했다.

그리고 당시 학교의 조무원으로 일했던 고로는 학교의 업무를 보며 학생들과 친근하게 지내왔는데 어느날 문제가 어렵다며 고로에게 알려달라고 청했고 이후에 고로아저씨가 가르쳐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소문이 퍼져 조무원실은 학생들로 북적이기 시작했다. 지아키의 딸 후키코 또한 이곳에 자주 들러 도움을 받기 시작했는데 이 친구는 학습능력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고로의 교육 방식이 좋았던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를 듣고 지아키는 고로에게 동반자가 되어달라고 손을 내밀었고 고로는 당혹스러웠지만 결국 같은 길을 걷게 된다.

'학교 교육이 태양이라면 학원은 달 같은 존재이다.'라는 말이 맞는 말일까 의문이 든다. 책에서 말하는 진정한 교육은 자신의 머리로 생각해 자신의 언어를 표현하는 것이라는 것에 동감하지만 학교와 학원을 분류하여 교육의 장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또한 함께 동반자의 길을 걷는게 맞는게 아닐까싶다. 예외로 예체능이나 전문기술의 교육을 나누자는 의견도 있지만 요즘은 정규과정 속에서도 자신의 끼를 발현하여 폭넓은 동아리활동을 하는 것도 좋은 예로 들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학원이라는 개념이 선행학습 위주가 되어 공교육에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현실에 교권이 무너져 쉽사리 가라앉지 않는 학원의 열풍을 잠재울 수 있는 대책도 내놓지 못하는 실정에 심각하게 고심해야 할 과제가 남은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