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계급론 (무삭제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4
소스타인 베블런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hestia0829.blog.me/221372950583

 

 

유한계급에 대한 정의는 '생산 활동에 종사하지 않으면서 소유한 재산으로 소비만 하는 계층'으로 경제학 고전이라는 소개를 하고 있지만 이 책은 현재에도 적용되는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있다.
책속의 차례를 보면 뒷부분에 기록되어 있는 저자의 연보와 내용을 더욱 쉽고 가독성있게 읽을 수 있는 대표적 용어의 정의가 들어있어 순서를 달리해서 읽기 시작했다. 고전 인문서는 어려운 문체때문에 실패를 많이 했으나 이 책은 구성의 체계가 효율적으로 되어있어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책의 가독성을 위해 옮긴이가 문단마다 소제목을 붙였는데 요약된 부분만 봐도 이 책의 흐름을 쉽사리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서로 상반된 단어를 두고 강력하게 비판의 논쟁을 벌이는 이 책은 경제만을 얘기하는 경제 인문서가 아니였다.

선사시대부터 시작된 계급사회는 가진 자의 부유에 따라 신분제도가 생기고 이는 생산과 비생산으로 인한 약탈의 강제 권력이 생성되었음을 보여준다. 금전적 소유로 인한 사유재산은 성공을 대표하는 권력을 주었고 이는 명예와 품위가 함께 따른다고 생각되었다. 더 나아가 아내의 소비와 값비싼 낭비와 반려동물에 의한 취향도 부의 권력이라 했다.

무척이나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뿌리깊게 썩어버린 이 사상은 현대에 와서도 쉽게 변하지 않는다. 권력에는 지위와 돈이 수식어처럼 자연스레 따라 붙는다. 아무리 가격이 치솟아도 과시욕으로 인한 소비를 뜻하는 '베블런 효과'는 이 시대가 어느 시점에 있고 앞으로 어떻게 현명하게 판단해야 할지는 독자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