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의 기억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http://hestia0829.blog.me/221364835215

 

 

열아홉의 사랑은 모험이고 스물다섯이 되어야 안정된다는 해설적 설명은 책의 마지막을 넘길때까지 의견의 일치는 없었다. 줄리언 반스의 작품을 처음 만나는 독자로서 쉼표의 머무름과 흔들리는 듯한 고뇌의 글귀가 무척이나 애처롭고 안타까웠다. 사랑을 해서 행복하고 사랑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불행한 것이 아니라 어쨋든 고난과 역경을 만난다면 거센 파도 한가운데서 마음이 가는 보이지않는 형태로 흘러갈 것이라면 아파도 사랑이였음을 추억하는 이 책은 남이 쉽게 보는 그저그런 로맨스가 아니다.

제비뽑기로 파트너를 정했던 테니스클럽의 복식멤버 수전은 열아홉의 나보다 두배는 많은 기품있는 여성이다. 운전을 해서 집에 데려다주던 폴은 이룰 수 없는 관계이고 이룰 수 있다해도 그게 바람직한 것인지 판단이 서지 않았고 그저 사춘기 시절의 어른을 우월하게 보는 그런게 아니라고 느꼈다. 그렇게 폴의 첫사랑은 꽤나 부드러웠고 열정적이였으며 진정한 사랑이였다. 도피한 삶은 행복하기만 할 줄 알았건만 우울에 빠진 수전의 알콜중독 증상은 연인이란 이름의 허물을 서서히 벗게 만들었고 그렇게 기나긴 첫사랑의 기억을 습작하는 끄적임이다. 단 하나의 기억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행동의 습관은 아픈 기억일지... 아니면 추억일지... 이것도 진정한 사랑이 맞는 것일까? 물음을 던진다면 어쩔 수 없이 고개를 주억거리게 된다.

폴의 입장에서 씌여진 일인칭 시점의 스토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이 따뜻한 남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다락방에 갇힌듯 지냈던 수전의 내면의 언어가 많은 뜻을 내포하고 있지만 애틋함에 마음을 울리고 전율하게 되는 그녀의 모습이 그려져 애잔해지기도 했다.
연애는 뿌리 뽑을 수 없는 망상이 아니라 추억의 습작일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