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자수 빛깔있는책들 - 민속 6
한영화 글/사진 / 대원사 / 198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전통문화교육은 시대에 맞게 해석되고 재창조되나 근본적으로 옛 선조들의 가치관을 통해 한국적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

1. 우리의 전통문화를 이해시키는 과정을 통해 민족 주체적 민족성 함양

2. 한국 고유의 문화 정체성 확립

3. 세계화 시대에 타문화와 구별되는 우리 문화의 독특성 표현

4.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문화를 연결해 주는 핵심요소

- 전통문화교육이란 전통문화를 가르치는 전반적인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과거에 이루어진 문화적인 생활들을 이해하고, 이를 현재에 어떻게 반영하며, 미래로 어떻게 연결 지을 것인지를 가르치는 것이다(정재걸, 1999).

- 전통문화가 가지고 있는 변화성, 지속성, 고유성, 역사성의 네 가 지의 특성들을 현재의 교육과 연결하고, 전통과 현재,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사고와 전통문화를 현재에 맞게 재창조하고 재해석하는 전통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우실하, 19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