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체 한 구가 더 있다 ㅣ 캐드펠 수사 시리즈 2
엘리스 피터스 지음, 김훈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8월
평점 :

캐드펠 수사 시리즈의 두번 째 책은 살인 사건의 배경이 웨일스였던 첫 권과 달리 주요 무대를 캐드펠 수사가 거주하는 잉글랜드의 슈루즈베리로 설정했다.
1138년 잉글랜드의 왕권을 둘러싸고 스티븐 왕과 모드 황후 간 피비린내 나는 내전이 일어났다. 서로 간 왕위의 정당성을 논하며 자신이 잉글랜드의 적통 왕위를 잇는 자임을 내세우며 죽고 죽이는 혈전이 벌어진 것이다.
평화로운 슈루즈베리 수도원에도 전운이 감돌기 시작할 즈음 여전히 허브 밭을 가꾸며 신 앞에서 자신의 죄를 속죄하는 마음으로 수도 생활에 전념하고 있던 캐드펠 수사에게 낯선 소년 한 명이 맡겨진다.
슈루즈베리 성에서 온 이 낯선 소년에게 알 수 없는 묘한 기운이 풍긴다. 자신의 몸보다 지나치게 큰 통자루같은 옷을 걸친 소년은 과연 누구일까?


소년이 소녀로 밝혀진 것은 탁월한 추리력과 직관의 소유자 캐드펠 수사의 날카로운 관찰력에 의해서다. 캐드펠은 소년으로 분한 아름다운 소녀 고디스가 소년으로 분하여 수도원에 오게 된 이유를 듣게 되고 어떻게든 고디스를 안전하게 지켜주리라 맹세한다.
스티븐 왕과 황후 모드 간의 왕위를 둘러싼 내전 속에서 고디스의 아버지 피챌런은 모드 황후를 지지하는 편에 선 귀족이었다. 전세가 스티븐 왕에게 유리하게 돌아가는 상황 속에서 스티븐 왕의 군대가 슈루즈베리를 포위한 채 성의 함락이 초 읽기에 들어갔음을 직감한 고디스의 아버지가 딸을 슈루즈베리 수도원에 맡긴 것이다.
드디어 스티븐 왕의 군대가 슈루즈베리 성을 공격하기 시작했고, 성은 소규모의 수비대를 제압하며 큰 어려움 없이 함락되었다. 인류의 전쟁이 그렇듯 성의 함락은 곧 성내에 있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폭력의 시작이며 재앙의 시초를 의미한다.
그러나 입성한 스티븐 왕은 자신의 군대에게 약탈 금지 명령을 내리며 슈루즈베리에 평화를 선물한다. 하지만 끝까지 무기를 버리지 않은 채 대항하다가 생포된 포로 94명 전원을 처형토록 한다.
94명의 생목숨을 성벽에 매다는 교수의 방식으로 처형하는 피의 살육이 시작되었다. 왕의 군대가 주저하는 일을 왕의 용병들이 말끔하게 해치우기 시작한다. 처절하게 절규하는 이들을 결박하여 목에 올가미를 건 채로 교수하는 집단 학살이 이루어진 후 이들의 시체를 처리하는 일이 남았다.
자신의 신념에 따라 모드 황후 편에 섰던 슈루즈베리 수비대 94명의 시체를 처리해야 하는 과업이 주인공 캐드펠 수사에게 내려졌다. 십자군 전쟁에서 잔뼈가 굵은 퇴역 군인 출신이기에 캐드펠이 시체 수습에 적임자로 뽑힌 것이다.
자원하는 다른 동료 수사들을 이끌고 시신이 쌓인 도랑으로 내려가 역한 임무를 수행하는 도중 캐드펠 수사는 특이한 장면을 만나게 된다. 목이 꺾이고 뼈가 으스러진 시신의 수가 이상하다. 분명 94명의 사람들이 처형 당했는데 시체의 수는 95구다.
그러면서 다른 이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죽임 당한 이상한 시신 한 구를 발견하며 캐드펠 수사의 촉이 발동하기 시작한다. 과연 95번째 시체는 누구일까? 그리고 왜 그 시체가 여기에 함께 버려지게 되었을까? 캐드펠 수사의 추리 본능이 꿈틀대기 시작했다.

<캐드펠 수사 시리즈 2 : 시체 한 구가 더 있다>는 끔찍한 내전의 희생이 된 이들의 아픔 속에서 또 다른 범죄를 마주하게 된 캐드펠 수사가 기지를 발휘하여 95번째 희생자의 억울함을 풀어주기 위한 노력으로 점철된다.
역시나 자극적이며 들뜨지 않고, 차분하며 조용하게 사건의 실마리를 풀어가는 캐드펠 수사의 이야기는 정통 추리 소설이 가진 특성을 그대로 간직했다. 추리문학의 흥미 뿐 아니라 캐드펠 수사가 내뱉는 대화와 문장 속에서는 인류를 향한 인생의 깊은 조언이 가득하다.
처음 만난 캐드펠 수사에게 자신은 스티븐 왕보다는 모드 황후를 지지한다는 위험천만한 발언을 행하는 고디스에게 "생각을 머릿 속에만 담아두면 안전하다"라는 조언은 다른 이의 생각을 퍼 날라서 밥을 먹고 살아가는 이들로 가득한 세상 속에서 자신의 생각을 손쉽게 발설하는 일의 위험성을 재고케하는 의미심장한 대사다.
또한 증오가 없어도 살인할 수 있다. 낯 동안에 구걸하여 받은 거지의 돈 마저도 빼앗기 위해서 죽이는 세상이라는 표현 등은 지금을 살아가는 이 시대를 정확하게 대변하는 놀라운 통찰이다. 작가인 엘리스 피터스는 추리문학 안에 시대를 조망하는 놀라운 시각을 녹여냈다.
캐드펠 수사와 함께 95번째의 시체를 찾아가는 시간 속에서 정의와 부조리의 세상을 마음껏 헤쳐 모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