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공부 수학문해력 하나로 끝난다 - 초등학교 4학년, 수포자가 되는 이유
김은정 지음 / 굿인포메이션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 없는 세상에서 살면 얼마나 좋을까?" 수학이라는 학문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 수많은 학생들의 바람 아닐까? 수학은 많은 학생에게 애증의 과목이다. 좋은 대학을 가려면 포기할 수 없는 학문이 수학이다. 그런데 문제는 너무 어렵다.

수학의 어려움은 초등학교 때부터 시작된다. 자연수에 대한 기본적인 연산을 배울 때까지는 괜찮다. 하지만 학년이 올라가며 복잡한 공식과 서술형 문제가 등장하면서 학생이 체감하는 수학의 난이도가 예사롭지 않다.

슬슬 '수포'에 대한 고민이 머리를 드는 시점이 대부분 초등학교 4학년 수학부터다. 아무리 해도 안되는 수학 앞에서 좌절하는 아이들을 보며 애처롭다. 잘하고 싶고, 좋은 점수를 받고 싶은데 도무지 안된다.

<초등공부 수학문해력 하나로 끝난다 / 김은정 / 굿인포메이션>는 현직 초등 교사로 20년 째 초등 수학을 가르치며 본인이 느끼고 경험한 수학 공부의 맹점과 해결책을 알게 쉽게 설명해 주는 책이다.



저자는 왜 우리 아이들이 중학교도 아닌 초등학교 때 벌써 수포자가 되려고 하는 지에 대한 문제의 근본 원인을 짚어준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4학년부터 등장하는 큰 수와 나눗셈의 등장, 문제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의 현저한 저하다. 학원을 다니며 많은 문제를 빨리 풀어보는 데에 익숙한 학생들은 그저 주어진 문제를 기계식으로 빨리 정확히 풀어내는 데에 익숙하다.

왜 그런 답이 나오게 되었는가에 대한 과정을 되짚는 사유의 작업이 삭제되었다. 왜냐하면 그냥 문제를 맞춰서 좋은 점수를 받으면 그만이라는 결과론적 생각을 가지고 있기에 그렇다.

저자는 파트 1에서 수학이 어려운 이유를 진단하며 곧이어 수학을 잘하기 위한 방법을 공개한다.

중등 수학 교사 자격을 가진 20년차 초등 교사가 밝히는 초등 수학 공부를 잘하는 방법은 다름 아닌 독서다. 이게 웬 말인가? 수학 공부를 잘 하는 이유가 국어의 영역이라고 여겨지는 독서란다!

저자는 본서의 상당 부분에서 초등 수학의 가장 기본은 문제를 이해하는 문해력에 있음을 강조한다. 아이들이 수학을 어려워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문제가 요구하는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데 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가면서 등장하는 서술형 문제는 아이들에게 큰 좌절을 선물(?) 한다.

문장으로 기술되는 서술형 수학 문제는 문제 자체가 요구하는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기에 손도 못 댄다. 문제를 이해해야 계산을 시작할 것 아닌가? 그런데 문제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데 어쩌라는 말인가?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로 대변되는 영상 세대에게 활자 독해는 녹록지가 않다. 저자는 수학의 다양한 공식과 연산 법을 익히는 것은 부차적인 문제라고 말하며 우리 아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수학 공부법은 독서를 통한 문해력 개발임을 강조한다. 초등학교 시절 스마트폰을 밀어내고, 미친 듯이 폭발적으로 책을 읽어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자가 말하는 초등 수학 공부 잘하는 두 번째 비결은 자기주도학습으로 복습을 하는 것이다. 스스로 공부의 목적을 이해하고, 계획하며 실행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자기주도적 공부 태도를 갖고, 끊임없는 복습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계속적인 반복의 중요성을 말한다.

세상의 어떤 일이든 한 가지를 완벽하게 습득하기 위해서는 육체와 지성에 아로 새기기 위한 복습, 반복이 필요하다. 초등 수학도 마찬가지다.

더불어 메타인지를 확인하라는 것이다. 메타인지는 어떤 지식을 자신이 완전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인지하는 것이다. 즉 자기가 무엇을 확실히 알고 무엇을 잘 모르고 있는가를 아는 것이 메타인지다.

아이들이 수학에서 메타인지력을 갖출 때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해서 강점은 더 강화시키고, 약점은 더 보충할 수 있다.

탁월함이 아니라 꾸준함이 승리한다고 했다. 저자는 공부도 습관임을 말한다. 매일 빠지지 않고 단 10분이라도 수학 문제를 접하고 풀어보려는 습관적 노력이 중요하다.



부끄럽지만 개인적으로 수포자였다. 고교 2학년 때 수학을 포기했다. 해도 해도 안되는 학문을 왜 만들어서 사람을 힘들게 할까 원망하며 숱한 세월을 보냈다. 그때는 수학이 안되는 이유를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다.

세월이 흘러 학부모가 되고 본서와 같은 책을 통해 알았다. 수학은 국어다! 문해력이 안되면 결코 통과할 수 없는 학문.

내 나라 말도 이해를 못하는 데 어떻게 연산이 가능할까? 초등 수학의 효과적 공부법을 알려주는 본서가 수학으로 힘들어하는 자녀를 둔 부모에게 작지 않은 조언을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