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 물었다, 어떻게 살 거냐고 - 찬란한 생의 끝에 만난 마지막 문장들
한스 할터 지음, 한윤진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 사는 것에 대한 고민만큼 잘 죽는 것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는 시대, 지금이 바로 그러한 때다. 육체의 문화가 판을 치는 세대 속 잘 죽는 의미를 생각해 보자는 주장은 불경스럽다.


그만큼 우리에게 잘 죽는다는 물음은 무의미하다. 우리는 어떻게든 잘 먹고 잘 사는 것만이 미덕인 시대를 살아간다. 그렇기에 죽음은 영원한 불청객이며 결코 가까이 할 수 없는 타자화된 객체다. 최근 죽음과 삶이 갖는 철학적이며 인문학적 성찰을 밀도 있게 그려낸 독특한 책 한 권을 만난다. <죽음이 물었다, 어떻게 살 거냐고 / 한스 할터 지음 / 한윤진 옮김 / 포레스트북스 펴냄>는 독자의 심상을 죽음에 대한 내밀한 성찰로 이끈다.


인류 역사 가운데 크고 작은 족적을 남기고 떠난 유명 인사들의 마지막은 어떠했을까? 그들이 마지막 최후의 순간을 맞이할 때 남긴 단말마적 외침은 무엇이었을까? 기막힌 호기심이다.



책의 저자 ‘한스 할터’는 의사이며 작가다. 그는 아무도 생각지 못했던 묘한 궁금증을 책으로 엮었다. 역사 속 다양한 인간 군상이 보인 최후의 한 마디! 궁금하지 않은가? 그러나 본서는 단지 그들이 남긴 유언 같은 말 한마디에만 집중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의 삶을 통해 살아있는 현재의 소중함을 일깨운다.


각양각색 다양한 삶의 빛깔을 갖고 살다간 사람들의 삶은 행복함과 비참함이 공존한 삶이었다. 평온한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이 있었던 반면 끔찍스럽게 죽임 당함으로써 영화로운 삶의 막을 내려야 했던 사람들도 있었다. 죽음을 맞이한 방식과 태도는 달랐지만 이들의 죽음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 한 가지는 유명 인사이든 무명의 범부이든 간에 죽음은 모든 이에게 공평하게 찾아온다는 사실이다.


공평하게 찾아오는 죽음에 대해 윈스턴 처칠은 “모든 것이 지루하구나”라고 탄식했고, 마르틴 루터는 “아프고 두렵지만 그곳으로 갑니다”라고 말했으며 아인슈타인은 “이 세상에서 내가 할 일을 다 한 것 같구나”라고 말했다. 한편 피카소는 “나를 위해 축배를 드시오”라고 말함으로써 자신의 죽음을 축제의 피날레로 생각했다. 이렇게 보면 죽음은 모든 이들에게 공평하게 찾아오며 그것을 맞이하는 사람들의 반응 또한 제각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찰스 다윈은 “나는 죽음 앞에서 일말의 두려움도 갖고 있지 않다”라고 말했으며 프로이센의 국왕 빌헬름 1세 또한 “죽음이여! 난 네가 두렵지 않다!”라고 외쳤다. 죽음에 대한 이례적 반응이다. 두려움과 공포에 잠식되어 다가오는 죽음에 대해 발악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다윈이나 빌헬름 1세처럼 의연한 자세로 죽음을 담담히 받아들이는 사람도 있다. 죽음에 대한 깊은 이해가 싹트는 대목이다.


책은 독자에게 죽음이 가진 어두움을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죽음을 생각할 때 지금의 삶을 더 깊이 사색하며 사유할 수 있다는 인문학적 통찰을 제공한다. 나의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며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먹고 살기 바쁘고, 자식들 키우는 데 정신이 없기에 지금의 우리는 언젠가 직면할 자신의 죽음에 대해 제대로 된 깊은 숙고를 행치 못한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눈앞에 도착해 있는 죽음의 실체 앞에서 좌절과 절망으로 몸부림친다.



언젠가 맞이할 희미한 죽음을 직시할 때 현재의 우리네 삶은 한없이 투명해진다. ‘메멘토 모리’라는 말이 한 때 유행했다. 죽음을 기억하며 사는가? 죽음과 삶은 백지장의 양면과 같다. 생의 한 면을 뒤집으면 죽음이다. 태어남은 축복임과 동시에 죽음을 향해 걸어가는 여정의 출발이다. 그렇게 생각하면 출생과 죽음은 축복을 공유한다. 모든 사람이 죽는다는 공평한 사실은 우리에게 축복이며 환희다. 죽음이 모든 이에게 동일하게 주어졌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가슴이 벅찬다. 


3000년 역사 속 크고 작은 의미를 남긴 사람들의 마지막 한 마디를 통해서 우리는 확실한 삶의 철학을 발견한다. 죽음을 깊이 생각할 때 내가 살아가야 할 이유를 발견하게 되며 그 안에서 삶이 뿜어내는 생을 향한 소망이 희열로서 다가온다.


그렇다면 나는 죽을 때 마지막으로 어떤 말을 남기며 세상을 떠날 것인가? 잘 살고 싶은가? 뜻깊은 삶의 궤적을 따라가고 싶은가? <죽음이 물었다, 어떻게 살 거냐고>를 집어 들고 그 안에 담긴 현자들의 음성에 귀 기울여보라! 영원한 이국의 언어인 죽음이 갖는 의미는 농밀해지며 삶을 대하는 태도는 또렷해진다. 기뻐하라! 찬란한 삶의 끝에서 만나게 될 그것, 잠시 후 우리 모두는 공평하게 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