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현대지성 클래식 48
알베르 카뮈 지음, 유기환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세기 실존주의 작가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재독한다.

주인공 '뫼르소'는 평범한 직장인이다. 어느 날 요양원에 계신 어머니의 부고 소식을 접한다. 요양원으로 달려간 뫼르소는 어머니의 장례를 치른 다음 날 바닷가에서 수영을 하고, 여자친구와 영화를 보며 밀회를 즐긴다.

이후 아파트 이웃인 '레몽'의 부탁으로 인해 우연한 사건에 휘말리게 된다. 그 과정 중에 아랍인 한 명을 권총으로 살해하기에 이르고 구속되어 재판을 받는다.

사회의 부조리와 억압적 관습을 고발하는 카뮈의 작품을 통해 우리 사회가 가진 불합리성과 인간에 대한 몰이해를 발견한다. 주인공 뫼르소는 독자의 눈에도 매우 무미건조한 인물로 비친다.

함께 살던 어머니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요양원으로 모실 수밖에 없었고, 어머니의 죽음 앞에서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았다. 장례 전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영면한 얼굴마저 보기를 거절했다.

어머니의 장례식 다음날에는 바닷가에서 여자친구와 수영을 하고, 희극 영화를 보며 잠자리를 갖는 등 평범한 독자의 머리로는 결코 이해할 수 없는 주인공의 행태가 낯설기만 하다.

그러나 뫼르소는 범법자가 아니다. 그저 자신의 내면과 감정에 지극히 충실한 한 명의 평범한 사람일 뿐이다. 단지 그가 일반적인 사람들과 다른 점은 보통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감정선이 그에게는 뚜렷하지 않다는 것뿐.

슬픈 것을 봐도 크게 슬퍼하지 않는 무미건조한 성향과 마음의 상태, 회사로부터 더 좋은 조건으로의 발령도 고사하는 모습과 커리어에 대한 무욕, 삶을 바라보는 그 플랫한 느낌들...

우리와 같이 평범하다 자부하는 사람들이 볼 때 주인공 뫼르소, 그는 이 사회가 요구하는 무형의 관습, 감정의 규범을 중시하지 않는 소위 '이방인'이다.



2부의 재판 이야기를 통해 독자는 뫼르소 자신이 사회가 요구하는 무형의 규범과 억압된 관습에 얼마나 용감하게 맞서는지를 목도한다. 자신의 마음과 느낀 감정에 대해 조금의 수정을 가하기만 하면 재판에서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음을 알았다. 하지만 뫼르소는 이 사회의 박제화 된 잣대와 고착된 관습의 요구를 용기 있게 거절한다.

어쩌면 그것은 숨기거나 인위적으로 변개할 수 없는 뫼르소 자신의 본성 자체였기에 그럴 수밖에 없는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선택이었을 것이다.

어머니의 장례식 때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았다는 이유, 어머니의 관 앞에서 밀크커피를 마시며 담배를 태웠다는 사실, 장례식 다음날 여자친구와 밀회를 즐겼다는 점 등 평범함을 요구하는 사회가 가진 그들만의 기준과 관습에 부합하지 않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마침내 뫼르소는 사형이라는 극형을 통해 사회로부터 영원한 이방인으로 격리된다.

인간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 같지만 유무형의 규범과 관습을 내세워 획일성과 통일성의 잣대를 들이대며 소위 '튀는' 존재를 용납하기 어려워하는 세상이 지금 우리가 발을 딛고 살아가는 이 사회가 아닌가?

"이렇게 살아야 하고, 이렇게 느껴야만 하며 이렇게 행동하는 것만이 올바른 인간의 모습이야!"라고 여기는 무자비한 관습의 틀.

사회의 정당한 룰과 질서, 규범을 반대하는 것이 아닌 단지 인간의 몰개성을 요구하는 부조리에 맞선 주인공 뫼르소의 용기 있는 외침을 본다.

어쩌면 카뮈가 말하는 진정한 이방인은 사회의 관습에 대항한 죄인으로 낙인찍혀 영원히 이 사회로부터 격리되는 뫼르소가 아니다. 오히려 인간 실존을 정직하게 대면하지 못한 채 사회적 규범과 틀에 박힌 인습의 망령을 숭앙하며 뫼르소에게 사형을 언도하는 배심원석 우리일 수도 있지 않을까?

⠀⠀⠀⠀⠀⠀⠀⠀⠀⠀⠀⠀⠀⠀⠀

책장을 덮으며 자문한다. 나는 배심원석에 앉아 주인공 뫼르소에게 실소를 날리며 그를 단두대로 보내는 일에 가학적 즐거움을 느끼는 이방인인가? 아니면 피의자석에 앉아 사회가 벌려놓은 억압되고 부조리한 관습의 부비트랩에 걸려 신음하는 깨어있는 이방인인가?

내가 속해 있는 관습의 프레임 속에서 다른 이들에게 억지로 웃음을 팔며 맞장구쳐줘야 하고, 쥐어짜듯 그들의 슬픔에 공감해 줘야 하는 이 작위적 세상 속에서 자신의 진짜 모습을 죽음으로 지켜 낸 주인공 뫼르소의 용기에 다함없는 박수를 보낸다.

제발 강요하지 마라! 웃고 싶지 않으면 웃지 않아도 되고, 울고 싶지 않으면 울지 않아도 된다!

인간 실존의 문제를 사회의 부조리하고 억압된 관습의 부표를 이용하여 수면 위로 끄집어 올린 작가, 알베르 카뮈의 문학적 천재성에 경의를 표한 저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