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모든 사람을 위한, 그리고 그 누구를 위한 것도 아닌 책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이진우 옮김 / 휴머니스트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은 죽었다!"라는 너무나 유명한 명제를 남긴 19세기 독일 허무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의 명성은 철학의 문외한인 모든 이들에게조차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에 좋은 기회가 생겨 그의 대표작 중 한 권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펼치게 된 순간 많은 사람들이 본서를 읽다가 포기했다고 말한 이유를 5분도 채 지나지 않아 금세 확인할 수 있었죠. 마치 글자의 미로 속으로 빠져든 것만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니체만의 사고와 글의 향연이 머리를 어지럽게 만들었습니다. 정말 "모든 사람을 위한, 그리고 그 누구를 위한 것도 아닌 책"이라는 부제에 걸맞듯 책은 마치 어떠한 독자에게도 쉽사리 자신의 속 마음을 내비치기를 거부하는 것만 같더군요. 그만큼 이 책은 손쉽게 접근해서 그 진의를 모두 이해하고 빨아들이기에는 역부족인 저작이 맞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개신교 신자로서 인간과 삶을 이해하는 데 있어 성경과 대척점에 서 있는 대표적인 허무주의 철학자로서 니체의 저작 한 권 정도는 반드시 읽어봐야 한다는 의무감 아닌 의무감이 책을 손에서 뗄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이렇듯 메시지의 난해함을 느꼈을 때 찾을 수 있는 꿀팁은 바로 역자 해제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죠. 역자의 해제는 책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나 같은 가련한 독자들에게 니체가 본서에서 말하고자 하는 key를 마치 지름길을 알려주듯 친절하게 알려줍니다. 해제를 먼저 읽고 차근차근 읽기 시작했을 때 대략적인 책의 윤곽이 보였습니다.

우선 이 책은 철학자의 책이지만 내용이 모두 철학적 용어로 이루어진 것은 아닙니다. 논리적이거나 사변적이지도 않고 수많은 철학적 담론으로 가득한 책도 아닙니다. 그렇기에 독자는 니체의 말을 마치 논술시험 보듯 머리로 이해하려고 시도하기보다는 하나의 그림을 감상하듯 마음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역자는 이 책을 이미지와 비유의 보고라고 표현했습니다. 논리와 철학적 명제를 개념적으로 연결한 것이 아니라는 말이죠. 그렇기에 문학적이라고 보기도 어렵고 철학서라고 보기도 어려운 비철학적 형식의 책입니다.

"신은 없다!"라는 대전제를 깔고 들어가는 저작답게 니체는 인간들에게 참된 존재의 의미를 가르치기 위해서 노력합니다. 신이 없는 세상에서 인간은 주어진 삶의 다양한 정황 속에서 넘어서는 인간, 즉 초인(超人)을 지향합니다. 니체의 시각에서 보았을 때 존재하지 않는 신을 의지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는 것이죠. 인간 스스로가 세상 속에서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는 길은 바로 넘어서는 인간이 되어야 한다는 깨달음은 이 책의 백미입니다.

논리적, 분석적, 철학적으로 접근해서는 절대 이해하기 어려운 난해한 이미지들의 조합이 코드화된 니체의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19세기 독일과 유럽의 시대정신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저작입니다. 근대 유럽의 정신세계를 휩쓴 계몽주의와 이성주의의 사상적 파도 속에서 어쩌면 니체와 같은 철학자와 작품의 탄생은 필연적 귀결인 것이죠. 그런데 책을 통해 발견한 흥미로운 사실 한 가지는 "신은 없다!"라고 외쳤던 니체에게 있어 진정한 신은 바로 삶 자체였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인간의 삶을 사랑한 무신론적 허무주의자! 표현 자체가 모순과 반전이 가득하죠! 니체에게 있어 참된 신은 아버지와 외할아버지가 목사였으며 본인 또한 신학공부를 했지만 그 안에서 목도한 개신교의 신이 아닌 인간 실존 그 자체가 아니었을까요?

현대, 특별히 코로나19라는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니체의 사상이 다시금 주목을 받는 이유는 도덕적 절대 기준이 사라진 시대 속에서 자신 스스로가 합리적 결정의 기준과 행동의 주체가 됨으로써 주어진 상황들을 극복해내야 한다는 니체의 메시지가 가진 독특한 매력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여담이지만 아이러니컬한 사실은 신을 배제한 인간 이성의 무한 신뢰와 인본주의가 팽배했던 19세기 유럽의 시대정신은 곧이어 20세기 초 전 유럽을 피로 물들인 제1차 세계대전의 참상을 통해 사상적 패닉에 빠진다는 것이죠. 아무튼 책을 덮은 이후 프리드리히 니체는 나에게 있어서만큼은 삶을 사랑한 허무주의 철학자라는 반전 가득한 인물로 기억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논리와 개념이 아닌 이미지로 이해할 것! 저자의 개인적인 삶과 시대적 배경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숙지할 것! 이 두 가지는 니체가 만들어 놓은 지적 미궁에 갇혀 그리스 신화의 우두인신 괴물 미노타우로스와 같은 신세가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독자들이 염두에 두어야 할 tip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