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유괴
덴도 신 지음, 김미령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나약한 듯 강인한 멋진 할머니! 


돈이 없어서, 냉혹한 현실에서 어떻게든 살아보려고 '유괴'라는 마지막 선택을 하는 세 명의 남자 마사요시, 헤이타, 겐지. 하지만 '아이'를 유괴하는 것은 아이에게도 부모에게도 못할 짓이라는 생각에 부유한 '할머니 유괴'를 계획한다. 즉 이들은 잔혹하지 못한 눈물 많고 마음 여린 남정네들이었던 것이다.

그렇게 유괴당한 할머니는 26킬로그램, 140센티미터도 되지 않는 82세의 너무나도 나약하고 나약한 존재였다. 그런데, 이 할머니 늙어빠지고 다 죽어가는 노인네가 아니다?!
유괴범들을 지휘하기 시작한 것이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경찰에게 잡히기 십상이라며, 자기 자식처럼 보듬으며 은신처까지 마련해주는 것이다. 즉 이 얼치기 유괴범 3인조는 인질의 도움을 받으며 유괴극을 벌이기 시작한 것이다.
게다가 5천만 엔만 뜯어내려던 이들의 계획은 자신의 몸값이 그 정도밖에 안 되냐며 생난리를 치는 할머니 덕에 '100억 엔'으로 올리는 사상초유의 일까지 발생한다. 


유괴범이 인질의 도움을 받아 은신처를 마련한다……, 물론 비상식적이라는 건 너무나 잘 안다. 하지만 상식 같은 거 엿 먹으라지. 사방팔방 다 막혀 독 안에 든 쥐 꼴인 지금, 이것밖에는 방법이 없질 않은가.

 

유쾌하면서도 유쾌하지 않은 현실이 엿보인다……


하지만 이 작품 『대유괴』는 유괴당한 천재 할머니의 이야기로만 단정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천재적인 두뇌로 정부와 치열한 머리싸움을 하는 점도 이 책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보다 다른 점에 초점을 두고 싶다. 그것은 100억 엔이라는 돈의 가치에 대해서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100억 엔이라는 숫자와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100억 엔이라는 돈의 가치. 그 차이는…… 아마도 할머니가 일부러 자신의 몸값을 올린 것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이 쓰여진 시기는 1978년. 게다가 저자는 이미 고인이 되었다. 그럼에도 이 작품에서 시대적인 차이에서 나타나는 거부감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것은 홀대하는 노인이 늘어가는 우리네 가슴 아픈 현실에서 깨닫는 바가 크기 때문은 아닐까? 자식들에게 홀대당하면서도 끊임없이 자식 걱정을 하는 우리 부모님. 어쩌면 예전 우리 민담 '고려장'이 떠오르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실상 조상한테 물려받은 재산을 야금야금 빼먹으며 사는 백수나 마찬가지야.

 
부모님이 주신 소중한 것을 당연하다는 듯이 받고 있는 우리. 이 작품이 '교훈'을 주는 작품이라고 평하기는 조금 무리가 있지만, 이런 식의 생각도 충분히 가능하게 한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