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물 1 ㅣ 세계신화총서 6
쑤퉁 지음, 김은신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이 세상 여성의 눈물을 다 흘려버린 비누!
중국의 북산이라는 마을에는 한 가지 금기가 있었다. 그것은 절대로 눈물을 흘려서는 안 된다는 것. 아니 그것은 '눈'으로 흘렸을 때만 해당하는 말이다. 얼굴에 눈물 자국이 남겨져 있을 때는 가차없이 죽음을 당했기에 주민들은 '눈'이 아닌, 다른 신체부위로 우는 법을 터득해야 했다. 울고 싶을 때 울 수 없다는 고통이야말로 얼마나 끔찍한 일인가.
이 마을에서 태어난 '비누碧奴'라는 여성은 머리카락으로 울던 어머니의 기술을 이어받았다. 하지만 일찍 돌아가신 탓에 제대로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그러던 그녀가 성실한 고아 청년 '완치량'이라는 남자에게 시집을 갔다. 그런데 만리장성 노역에 끌려가고 만다.
이때부터 비누의 여정은 시작되는 것이다. 추운 겨울 옷 하나 제대로 챙기지 못하고 노역에 끌려갔던 남편을 위해 겨울옷을 싸들고 그를 찾아가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그런 그녀의 '순정'을 이해해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혼자서 고독하게 떠나야만 했던 낯선 길. 그것이 비누에게는 큰 고통이었을 것이다.
아이들은 마치 천진난만한 악마들처럼 그녀의 눈물을 불러내고 비누의 별자리를 떨어뜨렸다. 도촌 사람들은 모두 알고 있었다. 눈에서 눈물이 흘러내리면 그 두 눈을 영원히 감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쑤퉁이 선보인 중국의 신화
중국의 대표적인 작가인 쑤퉁은 영국의 한 출판사가 기획한 '세계신화총서'에 중국의 대표작가로 선정 이 작품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이런 기획과 쑤퉁이 아니었다면 중국 신화에 '맹강녀'가 있다는 사실조차 알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 작품으로 인해 중국의 만리장성에서 남편을 그리워하며 몇날 며칠을 눈물 흘린 끝에 남편의 유골을 찾았다는 '맹강녀'를 접할 수 있었다.
작품 『눈물』 속에서 너무나 어처구니없게, 또 자연스럽게 거짓말을 해대는 쑤퉁.
눈물을 몸으로 울어낸다는 비현실적인 이야기. 그리고 『눈물』에는 존재하지 않을 법한 사슴인간, 말인간, 멧돼지인간, 그리고 말하는 청개구리 등 다양한 인간상을 보여주고 있다. 아마도 이런 과장된 표현법으로 오히려 현실적으로 직시한 것이 아닐까 싶다.
"정말 훌륭합니다! 완벽한 눈물이에요. 짜지 않으면서 달기도 하고, 달면서 약간 시기도 한 것이 쓴맛과 매운맛도 약간씩 섞여 있는 것 같아요! 정말이지 오곡성 최고의 완벽한 눈물인 것 같습니다!"
『눈물』 속에서 머리로, 손으로 다른 신체 부위로만 울어야만 했던 북산 속 사람들. 그들이, 그리고 비누가 흘린 눈물은 그 양을 도저히 짐작할 수 없을 정도다. 너무나 큰 고통과 슬픔 속에 비누가 흘렸던 눈물은 바로 우리네 여인들이 남몰래 흘렸던 눈물과 다르지 않다. 그것은 어머니, 누나, 여동생의 눈물이었던 것이다. 쑤퉁은 현대인들이 간과하고 있는 눈물의 소중함을, 그리고 그 힘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