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아 꽃아 문 열어라 - 이윤기 우리 신화 에세이
이윤기 지음 / 열림원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윤기, 우리나라 신화의 썰을 풀다!

나는 학창시절 그리스 로마 신화에 항상 목말라 했다. 그런 당시 출간되었던 『벌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는 나의 갈증을 일소에 해소시켜주었다.
이윤기 선생님. 신화 전문가.
그분이 이번에는 우리나라 신화에 대해 썰을 푸셨다. 그것이 바로 『꽃아 꽃아 문 열어라』.
외국 신화에 대해 정통하다면서 정작 우리나라 신화에 대해서는 잘 몰랐다고 책 내내 '부끄러움'을 드러내시는 저자. 난 그것이 오히려 인간다워 보기 좋았다.
게다가 그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전반적으로 드러내는 양상이기도 하여 어쩌면 선생님은 자신을 채찍질하며 우리에게 한수 가르쳐주고 싶으셨을지도 모르겠다.
 

나는 우리 신화에 대해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다'는 그의 명제를 원용하자는 착상을 떠올렸다. '말하지 않는 것과의 대화'를 가능케 한 그의 방법을 빌려, 나는 '말 그 자체'인 우리 신화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환기시키고자 했다. 무관심은 증오보다도 유독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혹시 우리 신화는 극심한 애정 결핍증을 앓아온 것은 아니었던가, 하고 물어본다. 
 

고조선을 세운 단군 신화, 고주몽, 혁거세, 김알지, 호동왕자 등등 우리에게 친숙한 이야기들을 일연스님의 『삼국유사』를 토대로 할아버지가 손녀에게 잠자리에서 들려주는 것처럼 너무나도 자연스레 서술되어 있다.
게다가 '신화'라는 것이 근본적으로 '영웅'에 중심을 두다 보니, 어느 신화나 비슷비슷하게 마련인데, 우리에게 친숙한 '그리스 로마 신화'와 비교하면서 쉽게 이야기해주시니 말이다.


낙랑공주를 꾀어 자명고를 찢게 하고, 낙랑을 정복한 호동왕자 역시 테세우스와 같은 환영을 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호동왕자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테세우스의 아들 히폴뤼토스가맞은 것과 똑같은 운명이었다. 추락하는 것에는 날개가 있다는 말 함부로 하지는 않겠다. 하지만 정점에 오르면 거기에서 내려올 수밖에 없다.

 

남의 옷을 억지로 맞춰 입은 듯한 어색한 그림
 

『꽃아 꽃아 문 열어라』의 출간이 개인적으로 너무나 반가웠던 만큼, 덥석 집어들어 읽기 시작했던 나로서는 '일러스트'들이 상당히 거슬렸다. 특히 이곳저곳에서 흔하게 쓰이고 있는 일러스트레이터의 그림이어서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이윤기 선생님의 책과는 너무나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치 사이즈가 다른 남의 옷을 억지로 맞춰 입은 듯한 어색함이 들었다. 게다가 '이윤기 우리 신화 에세이'라는 부제가 떡하니 달려 있음에도 일러스트를 사용하여 '동화책'처럼 만들어버린 의도를 알 수 없었다. 정체성을 상실해버린 『꽃아 꽃아 문 열어라』. 그저 안타까움만이 들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