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징검다리 - 어느 난민 가족의 여행 ㅣ 철학하는 아이 10
마그리트 루어스 지음, 이상희 옮김, 니자르 알리 바드르 사진, 정우성 해설 / 이마주 / 2018년 6월
평점 :
돌멩이로 이렇게 애잔하고 따뜻하기도 한 느낌을 낼 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
접착제 살 돈이 없어서 작품을 만들고 사진을 찍은 후 해체시켜야 했던 예술가가 이 책을 냄으로 해서 작품을 간직할 수 있고, 다른 작품도 만들 수 있다는 말이 다행스럽기도 하고,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돌멩이로 표현한 인물들은 폭탄이 떨어지는 고향을 떠나 평화를 찾아가는 어느 한 가족이다.
뉴스나 여러 매체들을 통해 지금 이 순간에도 총알이 날아다니고, 폭탄이 터지는 곳이 있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다.
우리는 그들의 실상을 알려주는 영상이나 글을 보면 가슴 아파하고, 어떤 도움을 주려 한다.
하지만 그 순간이 지나면 다시 일상으로 스며든다. 나 또한 마찬가지이다.
개인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생각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전쟁이 일어나고 있는 나라들은 대부분 이해관계가 얽혀있거나 종교적인 문제가 대부분인 걸로 안다.
억울하게도, 전쟁을 원하지 않은 일반 국민들은 죽고, 고향을 버리고 떠난다.
그렇게 떠난 사람들을 난민이라고 부른다.
난민만을 위해 일하는 유엔 난민기구도 있다.
이 책의 판매 수익금 일부와 해설 글 고료는 유엔 난민기구에 기부된다고 한다.
난민을 물질적으로 도와주는 것과 더불어 난민에 대한 일반 사람들의 인식에 변화에도 많은 공을 들여야 된다고 생각한다.
전쟁이 일어나는 대부분의 지역이기도 해서이지만 난민이라고 하면 이슬람 문화권 사람들이 떠오른다. 그 생각들이 긍정적이라고만은 못하겠다.
난민에 대해 오해하는 부분들을 바로잡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
그 시작으로 이 책이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