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한국사 1 -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처음 한국사 1
김정호.이희근 글, 한용욱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만나는 것들은 참 중요하다. 첫 선생님, 첫 직장, 첫 친구, 첫 사랑.... 역사도 예외일 순 없다.

내가 학창시절 가장 싫어했던 과목이 서글프게도 국사란 과목이었다. 왜 국사를 그리도 싫어했나 돌이켜보니

처음 국사수업을 받았을 때 너무 재미가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듣도보도 못한 용어들을 무조건 외워야하고, 지루하기 짝이 없었던 국사 시간은 유일하게 졸음이 쏟아졌던 기억밖에 없다.

어른이 되어서야 왜 우리 역사를 알아야하는지 깨닫게 되어 역사책이란 책은 들고 파기 시작한 나 자신이

아이를 키우는 지금에서야 부끄럽고 후회스럽기까지 하다.

다행히 지금 초등 4학년 아들은 역사를 아주 좋아하고 역사책, 옛이야기책이라면 자다가도 보는 편이다.

초등 5년에 올라가면 역사를 배우게 되어서인지 또래 친구들은 역사 논술 수업을 엄마의 강요에 의해 들어야 한다고들 한다.

그런 친구들이 조금 더 일찍 초등 저학년 때 재미있는 역사책을 접할 수 있었더라면 역사 수업시간을 좋아하지 않았을까.

초등 저학년 역사에 대해 처음 접해주고 싶을 때 자연스럽게 역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처음 한국사' 책을 추천하고 싶다.

 

 

이 책에서 이야기해 줄 내용의 흐름을 연표를 통해 한눈에 보여주고나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리고 단락마다 그 시대의 지도를 먼저 보여주어 그 당시 나라의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마치 그 시대에 살고 있는 조상에게 당시 하루 생활 이야기를 직접 전해듣는 듯한 구성도 독특하다.

그림과 지도를 함께 보여주고 있어 자연스럽게 그 당시 시대의 특징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본격적으로 그 시대의 역사적 사실과 왜 구석기, 신석기, 고조선, 청동기, 철기 시대라 불리게 된 것인지

그 원인과 이해관계를 이야기말로 풀어 놓아 처음 듣는 내용이라 하더라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 준다.

또 관련 도구나 유적 사진과 그림을 함께 실어 놓아 딱딱하지 않고 이해를 돕고 있다.

 

아이들이 신화라고만 알고 있을 단군왕검 신화의 뜻도 사실적 배경을 토대로 잘 설명해 주고 있어 참 좋았고,

현재에도 쓰이고 있는 찜 요리방법이 고조선 시대의 시루에서 시작되었다는 사실도 흥미로웠다.

또 윷놀이가 부여에서 시작된 사실과 가축 기르는 것을 중요하게 여겨 돼지,개,양,소,말을 뜻하는 이름을 붙힌 사실도 인상적이었다.

 

<깊이 보는 역사> 코너에서는 각 시대에서 조금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고 있어 추가적인 역사지식을 얻을 수 있어 알찬 구성이 마음에 든다.

우리 역사를 제대로 알고 어떻게 발전해왔고 현재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게 되었는지 그 의미를 되새겨 보는 시간을

이 책과 함께 시작해 보길 바란다.

우리 아이들의 미래가 더욱 밝고 건강해지길 바라며 서평을 마칠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